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광고사전

라디오 광고

다른 표기 언어 radio advertising
라디오 광고

ⓒ dizain/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라디오를 매체로 이용한 광고. 청각생리학적, 음향심리학적으로 보면 가장 수면학습적 효과가 높아 잠재의식에의 접근을 특징으로 한다. 즉, 라디오 광고를 통해 구두 전달에 의한 독특한 이해와 기억효과를 얻을 수 있다. 장점을 요약하면 라디오는 다른 일을 하면서 듣는 매체이므로 광고가 별다른 저항을 받지 않고, 청각에 호소하여 정서적 소구에 적합하며 광고비가 저렴하고 제작 기간도 짧아 광고 활동을 비교적 손쉽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형태로는 프로그램 제공 형식의 프로그램 광고와 토막 광고, 일기예보나 교통정보 스폿, 시보 스폿 등이 있다.

라디오 광고의 가장 주목할 만한 점은 청취자의 성향을 세분화할 수 있다는 것인데 가령 오전 시간에 방송하는 주부 대상의 사연 프로그램과 전문 팝음악 프로그램의 청취자는 상당히 다르다. 또한 프로그램의 진행자, 디제이의 개성에 따라서도 청취자 성향을 세분화할 수 있다. 광고매체로서 라디오는 영상매체와 온라인매체에 밀려 주변 매체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으며 광고주에게는 단지 보조매체로 이용되는 추세다.

우리나라 라디오 광고의 기억할 만한 사례는 1983년 시작한 대우전자의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 캠페인으로 '야경꾼 딱딱이 소리', '고란사 풍경 소리', '변사의 소리' 등 잊혀져가는 100여 편의 소리를 시리즈로 담아냈다. 아래는 그 한 편이다. "(통통배 소리) 섬마을 처녀가 뭍으로 가네. 이장님 중매로 선보러 가네. 사진으로만 만난 신랑감 얼굴을 식구들 몰래 그려보다가, 처녀는 혼자서 낯을 붉히네. 통통배 소리처럼, 처녀 가슴은 자꾸만 뛰네. 우리의 소리를 찾아서."(대우전자, 1983)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김광철 집필자 소개

1963년생. 영화 주간지 <FILM2.0>을 비롯해 여러 영화 잡지에서 일했다. 2007년부터 시각문화 전문지 계간 <GRAPHIC> 에디터 겸 발행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펼쳐보기

출처

광고사전
광고사전 | 저자김광철 | cp명프로파간다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인터넷 시대의 새로운 광고사전. 1550 여 개의 광고 용어를 새로운 감각으로 정리했다. 용어의 단순한 정의를 넘어 광고현장의 실제 사례를 풍부하게 끌어들여 살아있는 ..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광고

광고와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라디오 광고광고사전, 김광철, 프로파간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