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클래식 백과

접촉

다른 표기 언어 Kontakte 동의어 칼하인츠 슈톡하우젠
요약 테이블
시대 20세기 이후
분류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1958년~1960년
작곡가 칼하인츠 슈톡하우젠(Karlheinz Stockhausen, 1928~2007)
헌정 오토 토메크(Otto Tomek, 1928~2013)
편성 전자 음향(Nr. 12) / 전자음향, 피아노, 타악기(Nr. 12½)

요약 〈접촉〉은 슈톡하우젠이 전자음악의 역사에 남긴 걸작으로 1958년에서 1960년에 걸쳐 작곡되었다.

슈톡하우젠(1928~2007)

ⓒ Hulton-Deutsch Collection / CORBIS | All rights reserved

음악적 순간의 접촉

작품의 제목 〈접촉〉이라는 단어는 “한편으로는 어쿠스틱 악기와 전자 음향 간의 접촉을 의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 자체로 충분하고 강렬한 특징을 지닌 순간들의 접촉”을 뜻한다고 슈톡하우젠은 밝히고 있다. 이와 더불어서 작곡가는 이 작품의 연주를 위해 설치되는 4채널의 스피커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공간적 움직임들 간의 접촉을 의미하기도 한다고 설명한다. 〈접촉〉은 2개의 버전으로 작곡되었다. 첫 번째 버전은 오로지 전자 음향만으로 구성된 형태로 슈톡하우젠의 작품 카탈로그에서 작품번호(Nr.) 12번으로 매겨져 있다. 이와 함께 〈접촉〉은 전자음향, 피아노, 타악기를 위한 버전으로도 연주되는데, 이것은 그의 작품 카탈로그에서 작품번호 12½로 되어 있다. 이와 함께 〈접촉〉의 두 번째 버전에 사용된 모든 사운드는 1961년 작곡된 극작품 〈Originale〉(Nr. 12⅔) 그대로 쓰이기도 했다.

〈접촉〉은 독일 쾰른의 서독 라디오방송(WDR)의 전자음악 스튜디오에서 작곡가 고트프리트 미하엘 쾨니히(Gottfried Michael Koenig)의 도움으로 연주되었다. 작품은 오토 토메크(Otto Tomek)에게 헌정되었다.

WDR 스튜디오에서의 슈톡하우젠

ⓒ Kathinka Pasveer / Wikimedia Commons | CC BY-SA 3.0

방송국의 장비들을 이용하여

〈접촉〉이 쓰였던 1959~1960년에는 오늘날 전자음악에서 흔히 쓰이는 도구인 신서사이저와 컴퓨터가 등장하기 이전이었다. 사실상 이 곡을 실현하기 위해서 쓰였던 장비들은 음악을 하기 위한 장비들이 아니라, 라디오 방송국에서 방송을 위해 만들어진 장비들이었다. 임펄스 생성기, 필터, 앰프 등 이러한 방송 장비는 극단적으로 거친 소리를 만들어냈고, 이것이 당시 슈톡하우젠이 사용할 수 있는 전자 음악 장비의 모든 것이었다. 1950년대 후반 슈톡하우젠은 이미 이러한 장비들을 이용하여 어떻게 작곡을 해야 할지를 알고 있었고, 어떻게 하면 풍부하면서도 복잡한 음향을 구현할 수 있을지를 알고 있었던 것이다. 당시 그는 〈접촉〉을 작곡하기 이전 이미 두 곡의 전자음악을 위한 연습곡을 만들어냈고, 전자음악 〈Gesang der Jünglinge〉를 쓰기도 했던 것이다. 하지만 〈접촉〉은 훨씬 더 진보한 모습을 보여준다.

슈톡하우젠이 사용했던 믹싱 콘솔

지금은 쾰른의 WDR 전자음악 스튜디오에서 보관중이다.

ⓒ McNitefly (Own work) / Wikimedia Commons | CC BY-SA 3.0

이 곡에서 슈톡하우젠은 일정한 전자적인 펄스(pluse, 맥박) 속도를 증가시키면, 개개의 소리들이 합쳐져서 일정한 음고를 가진 음이 형성된다는 점을 발견했고, 이 속도를 높일수록 음고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이렇게 만들어진 음향의 리듬과 음고 사이의 연속성을 발견했다. 곡의 17분 무렵 우리는 하나의 음이 올라갔다 내려갔다를 반복하는 것을 듣다가 갑자기 급 하강하여 다시 일련의 개개의 클릭 사운드로 바뀜을 목격하게 된다. 이렇게 이 곡에서 우리는 공간 내에서의 음향, 음향의 위치, 그리고 주어진 음향이 공간 내에서 어떤 방향으로 진행하는지, 어떤 속도로 진행하는지에 대한 흥미로운 경험을 하게 될 것이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 음악세계 & 음악사연구회(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음악세계와 음악사연구회가 공동 개발한 것으로,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정이은 집필자 소개

서울대학교 작곡과 이론전공과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교에서 음악학을 공부한 뒤, 홍콩대학교 음악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출처

클래식 백과
클래식 백과 | 저자이보경 외 전체항목 도서 소개

클래식 음악의 개요는 물론, 작곡가와 음악에 담긴 이야기들까지 세세하게 풀어낸다.

음악세계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접촉클래식 백과, 이보경 외, 음악세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