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클래식 백과

피아노 협주곡 F장조

다른 표기 언어 Piano Concerto in F Major 동의어 조지 거슈윈
요약 테이블
시대 20세기 이후
분류 20세기 음악>기악곡
제작시기 1925년
작곡가 조지 거슈윈(George Gershwin, 1898~1937)
초연 1925년 12월 3일, 뉴욕 카네기 홀, 조지 거슈윈 피아노, 월터 담로쉬 지휘, 뉴욕 심포니 오케스트라
출판 1927년

요약 조지 거슈윈의 〈피아노 협주곡 F장조〉는 1925년 12월 3일 미국 뉴욕의 카네기 홀에서 초연되었다. 이 작품은 당시 뉴욕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였던 월터 담로쉬가 위촉한 것으로 유명하다.

조지 거슈윈(1898~1937)

ⓒ Bettmann / CORBIS | All rights reserved

〈랩소디 인 블루〉가 이어준 인연

조지 거슈윈은 재즈와 예술음악이라는 이질적 전통을 결합한 〈랩소디 인 블루〉로 명성을 얻었다. 〈랩소디 인 블루〉의 초연을 보았던 뉴욕 심포니 오케스트라의 상임 지휘자 월터 담로쉬는 “거슈윈은 재즈를 귀부인으로 만들었다”며 격찬하였고, 그에게 뉴욕 심포니 오케스트라를 위한 피아노 콘체르토를 위촉하였다. 그리하여 거슈윈은 〈랩소디 인 블루〉보다 더욱 콘체르토 형식에 가까운 〈피아노 협주곡 F장조〉를 작곡하게 되었다.

거슈윈의 노력으로 얻어 낸 결실

거슈윈은 〈랩소디 인 블루〉 작곡 당시 고급 작곡, 화성, 오케스트레이션 등 정규 음악 교육을 받지 않은 상태였다. 그래서 〈랩소디 인 블루〉의 오케스트레이션은 화이트만 밴드의 편곡자였던 퍼디 그로페(Ferde Grofé)가 작업하여 무대에 올렸었다. 반면 〈피아노 협주곡 F장조〉는 달랐다. 담로쉬가 피아노 콘체르토를 위촉한 이후 거슈윈은 콘체르토 형식과 이론, 오케스트레이션에 대한 책을 구입하여 필요한 기술들을 스스로 익혔고, 1925년 11월, 거슈윈은 이 콘체르토의 오케스트레이션 전부를 자신의 힘으로 완성해 냈다. 이후 그는 사비를 들여서 55인 편성의 오케스트라단을 고용하여 작품의 초안을 연주해 보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기도 했다.

화이트먼 밴드의 편곡가, 퍼디 그로페

ⓒ Bain News Service, publisher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거슈윈의 인기

〈피아노 협주곡 F장조〉가 초연됐을 당시 콘서트는 전석 매진될 만큼 대중들의 반응은 좋았다. 그러나 작품에 대한 의견은 분분했다. 이 작품을 재즈나 클래식으로 분류할 수 없다는 비판이 제기되기도 했고, 동시대 작곡가였던 스트라빈스키는 거슈윈의 〈피아노 협주곡 F장조〉가 천재의 작품이라 언급한 반면 프로코피예프는 이를 극도로 싫어했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거슈윈은 〈랩소디 인 블루〉와 〈피아노 협주곡 F장조〉를 발표하면서 대중들의 사랑을 받는 작곡가가 되었으며 1925년에는 미국 작곡가로서는 처음으로 미국의 대표적 주간지인 《타임》의 표지인물이 되기도 했다. 오늘날 우리에게 〈피아노 협주곡 F장조〉는 〈랩소디 인 블루〉보다 생소한 감이 있지만, 2010년 밴쿠버 동계 올림픽에서 김연아 선수가 프리 스케이팅 배경음악으로 사용하여 많이 알려지게 되었다.

전통적 콘체르토 형식과 재즈의 리듬

〈피아노 협주곡 F장조〉는 협주곡의 전통적 3악장 형식이다. 이 작품은 재즈의 역동적 리듬이 특징이지만 클래식 전통 형식에 기반을 두고 있다. 1악장은 큰북의 리듬감 있고 힘찬 연주로 시작되며 ‘찰스턴각주1) 모티브’가 등장한다. 거슈윈은 이를 빠르게 고동치는 젊고 열정적인 미국인의 삶을 나타내는 것이라 설명했다. 오케스트라 도입 후 피아노 솔로가 등장하는 부분이 인상적이며, 웅장함과 섬세함이 대조를 이루며 진행된다. 2악장은 클라리넷 3중주 반주와 트럼펫 솔로의 우아한 선율이 블루스를 상기시킨다. 3악장은 래그타임각주2) (ragtime)의 요소를 가져와 활기참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새로운 음악 소재(요소)를 활용할 뿐 아니라 2악장의 선율이 다시 등장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찰스턴 댄스

ⓒ Joe Mabel / Wikimedia Commons | CC BY-SA 3.0

조지 거슈윈과 그의 친필사인

ⓒ Mishkin / Wikimedia Commons | Public domain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 음악세계 & 음악사연구회(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음악세계와 음악사연구회가 공동 개발한 것으로,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유경아 집필자 소개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이론전공을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학 석사과정을 수료하였다. Mast Media & Entertainment에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현재는 예원학교에 ..펼쳐보기

출처

클래식 백과
클래식 백과 | 저자이보경 외 전체항목 도서 소개

클래식 음악의 개요는 물론, 작곡가와 음악에 담긴 이야기들까지 세세하게 풀어낸다.

음악세계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피아노 협주곡 F장조클래식 백과, 이보경 외, 음악세계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