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아오이 유우

다른 표기 언어 AOI Yu , 蒼井優 , <일>あおいゆう 동의어 나츠이 유우, 夏井 優
요약 테이블
출생 1985년 8월 17일 일본 후쿠오카
본명 아오이 유우(蒼井優)
수상 일본영화 프로페셔널대상 여우주연상(<하나와 앨리스>(花とアリス, 2004)), 일본 아카데미, 블루리본, 요코하마영화제 여우주연상(<훌라 걸스>(フラガ-ル, 2006)), 타마영화제 여우주연상(<오버 더 펜스>(オーバー・フェンス, 2016))
데뷔 <릴리 슈슈의 모든 것>(リリイ・シュシュのすべて, 2001)

요약 아오이 유우는 일본의 영화배우다. 초등학생 때부터 광고모델로 활동하다가 2001년 <릴리 슈슈의 모든 것>(リリイ・シュシュのすべて)으로 영화배우로 데뷔하였다. 귀엽고 순수한 외모로 대중들에게 어필하였고, 이후 몇 편의 흥행작에서 인상적인 연기를 선보이며 배우로서 인정받았다. 현재 일본영화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여배우이면서 동시에 의심할 여지없는 동시대 스타다. 주요출연작으로 <하나와 앨리스>(花とアリス, 2004), <훌라 걸스>(フラガ-ル, 2006), <오버 더 펜스>(オーバー・フェンス, 2016) 등이 있다.

아오이 유우

蒼井優(AOI Yu)

ⓒ 다음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일본의 영화배우. 1985년 후쿠오카현(福岡県) 가스가시(春日市)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때부터 모델 매니지먼트사에 소속되어 다수의 광고에 출연하였고, 1999년 뮤지컬 <애니> 공개 오디션에서 1만 대 1의 경쟁률을 뚫고 본격적으로 연예계에 데뷔했다. 데뷔 초기에는 귀엽고 순수한 외모와 순진함을 바탕으로 동정심을 유발하는, 모에(萌え) 마케팅에 의존한 배우였지만, 오늘날에 그녀는 ‘미야자키 아오이(宮﨑あおい), 나가사와 마사미(長澤まさみ)와 함께 일본 여자 배우계의 기둥(『현대 일본영화 인명사전 여배우편 現代日本映画人名事典 女優篇』)’으로 높이 평가받고 있는 스타-배우이다.

작품세계

아오이 유우의 데뷔작은 이와이 슌지(岩井俊二)의 <릴리 슈슈의 모든 것>(リリイ・シュシュのすべて, 2001)이다. 친구들에게 따돌림을 당하는 순진한 여중생 츠다 쉬오리 역할로, 약점을 잡혀 원조교제를 강요당하고 그 돈까지 친구에게 상납하다가 결국 투신자살하는 인물을 맡았다. 여기서 긴 생머리의 앳되고 순수한 외모와 어눌한 말투로 사춘기 여중생의 불안한 감성을 섬세하게 표현한 아오이 유우는 작은 역할임에도 뚜렷한 인상을 남겼다.

같은 해에 출연한 <해충>(害蟲, 2001)에서도 모에 전략은 계속된다. 시오타 아키히코(塩田明彦) 감독의 <해충>은 호스티스로 일하는 어머니와 단둘이 살아가는 여고생의 삶을 통해 현대 일본 사회의 부조리를 고발하는 영화이다. 아오이 유우는 미야자키 아오이가 연기하는 여고생 주인공의 친구로 출연하였다. 이 시기 아오이 유우는 사회적 갈등을 외면화하여 관객의 동정심을 유발하는 캐릭터를 자주 맡았다. 다른 십대 여배우들이 일상적이고 사적인 갈등을 통해 귀여움과 순진함을 전면에 내세울 때, 아오이는 사회적 부조리를 통해 순수한 외모 이면의 어두움을 표현하는 배우라고 평가받곤 하였다.

하나와 앨리스

花とアリス(Hana and Alice)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2004년, 첫 주연작인 <하나와 앨리스>(花とアリス)는 아오이 유우를 스타덤에 올려놓았다. <릴리 슈슈의 모든 것>부터 같이 작업해온 감독 이와이 슈운지는 “본인은 눈치채지 못했지만 천재”(『Next Plus』, 2007. 06. 27.)라고 칭찬할 만큼 그녀의 연기에 신뢰를 보냈는데, <하나와 앨리스>는 ‘그냥 추억을 만들려고 연기를 하는’ 어린 소녀를 연기자로 발돋움하게 한 작품으로 주목할 만하다. 두 여고생의 사랑과 우정을 다룬 성장 영화 <하나와 앨리스>에서 앨리스 역을 맡은 아오이 유우는 엉뚱하고 발랄하며 때로는 여리면서도 무심한 여고생의 모습을 잘 소화하였다. 특히 영화 후반부에 오디션을 보러 가서 종이컵과 테이프로 만든 토슈즈를 신고 춤을 추는 5분여 동안의 발레 장면이 깊은 인상을 남기며 화제가 되었다. 아오이 유우는 첫 주연작으로 일본영화 프로페셔널대상(日本映画プロフェッショナル大賞)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면서 일본 영화의 미래를 이끌어갈 배우로 주목받게 되었다.

<하나와 앨리스>의 성공에 힘입어 아오이 유우는 2005년과 2006년에 무려 13편의 영화에 출연하였다. 이 시기 대체로 비슷한 캐릭터를 유지하였으며, 그 중에서 연기변신을 꾀한 작품으로는 뇌수술 후 인격이 변한 애인을 눈물로 지켜보는 <변신>(變身, 2005)과 처음 시도하는 판타지 시대극 <무시시>(むしし, 2006)가 있다.

훌라 걸스

フラガ-ル(Hula Girls)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2006년 이상일(李相日)의 <훌라 걸스>(フラガ-ル)를 통해 아오이 유우의 인기와 평가는 정점에 오른다. 후쿠시마(福島) 탄광촌에서 폐광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훌라 무용단을 결성하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훌라 걸스>는 그해 키네마준보(キネマ旬報) 베스트10에서 일본영화 1위로 선정되는 등 각종 영화제에서 작품상을 받은 그해의 화제작이었다. 아오이 유우는 여기서 훌라춤을 배우는 것에 반대하는 엄마와 싸우고 집을 나와 교습소에서 지내는 소녀 역을 맡아 감독으로부터 "한 장면으로 영화를 바꾸는 힘이 있는 배우"라는 평가를 받으며 요코하마 영화제(ヨコハマ映画祭) 여우주연상 등 12개의 트로피를 수상하였다.

영화사적 평가

일부에서 ‘연기와 역할이 상당 부분 기호성에 얽매여 있다’(모리 나오토 森直人, 『일본발 영화 제로세대 日本発映画ゼロ世代』)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있지만, 현재 일본영화계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배우이면서 동시에 의심할 여지없는 동시대 스타이기도 하다. 2008년에 <흔들리는 도쿄>(シェイキング東京)로 봉준호 감독과 작업하기도 하였으며 2012년에 구로사와 기요시(黒沢清)의 <속죄>(贖罪) 두 번째 이야기에서 '살아있는 인형' 역할을 맡아 인상적인 내면 연기를 선보이기도 했다. 오즈 야스지로(小津安二郎)의 <동경이야기>(東京物語, 1953)를 리메이크한 야마다 요지(山田洋次)의 <동경가족>(東京家族, 2012)에서는 원작에는 없는 막내아들의 어른스러운 여자친구 역을 특유의 쾌활한 친밀감으로 소화하였다. 또한 야마시타 노부히로(山下敦弘) 감독의 <오버 더 펜스>(オーバー・フェンス, 2016)에서 아오이 유우의 배우로서의 성장과 이미지 변신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영화에서 그녀는 강박증세가 있고 심리적으로 불안정한 인물 사토시를 생생하게 소화하여 타마영화제 최우수 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최근작은 <동경가족 두 번째 이야기>(家族はつらいよ, 2016)이다.

작품목록

<릴리 슈슈의 모든 것>(リリイ・シュシュのすべて, All About Lily Chou-Chou, 일본, 2001)
<해충>(害蟲, Harmful Insect, 일본, 2001)
<키네마로의 사람들>(キネマ通りの人々, Kinema Tori no Hitobito, 일본, 2002)
<달려라! 켓타맨>(走れ!ケッタマシン ウエディング狂騒曲, Hashire! Kettamashin: Wedding Kyoso Kyoku, 일본, 2002)
<메모리>(メモワール, MemoiR, 일본, 2003, 단편)
<우연하게도 최악의 소년>(偶然にも最惡な少年, Worst by Chance, 일본, 2003)
<1980>(イチキューハチマル, 1980, 일본, 2003)
<하나와 앨리스>(花とアリス, Hana and Alice, 일본, 2004)
<마스크 41>(マスク ド フォーワン, Mask De 41, 일본, 2004)
<괭이 갈매기>(海猫, Sea Cat, 일본, 2004)
<주계>(呪戒, Jukai, 일본, 2005)
<철인 28호>(鐵人28號, Tetsujin 28, 일본, 2005)
<편지>(ニライカナイからの手紙, Letters from Kanai Nirai, 일본, 2005)
<거북이는 의외로 빨리 헤엄친다>(龜は意外と速く泳ぐ, Turtles Swim Faster Than Expected, 일본, 2005)
<별이 된 소년>(星になった少年, Shining Boy and Little Randy, 일본, 2005)
<변신>(變身, Henshin, 일본, 2005)
<남자들의 야마토>(男たちの大和, Yamato, 일본, 2005)
<허니와 클로버>(ハチミとクローバー, Honey and Clover, 일본, 2006)
<무시시>(むしし, Bugmaster, 일본, 2006)
<훌라 걸스>(フラガ-ル, Hula Girls, 일본, 2006)
<슈가 앤 스파이스 - 풍미절가>(シュガー&スパイス 風味絶佳, Sugar & Spice Fumi Zekka, 일본, 2006)
<철콘 콘크리트>(鐵コン筋クリ-ト, Tekon Kinkuritot, 일본, 2006, 애니메이션)
<무지개 여신>(虹の女神, Rainbow Song, 일본, 2006)
<콰이어트 룸에서 만나요>(クワイエットル-ムにようこそ, Welcome To The Quiet Room, 일본, 2007)
<미요리의 숲>(ミヨリの森, The Forrest of Miyori, 일본, 2007, 애니메이션)
<남의 섹스를 비웃지마>(人のセックスを笑うな, Don’t Laugh At My Romance, 일본, 2008)
<내일에의 유언>(明日への遺言, Best Wishes for Tomorrow, 일본, 2008)
<도쿄!- 흔들리는 도쿄>(TOKYO! - シェイキング東京, TOKYO! - Shaking Tokyo, 한국/프랑스/일본, 2008, 옴니버스)
<백만엔 걸 스즈코>(百万円と苦虫女, One Million Yen And The Nigamushi Woman, 일본, 2008)
<하와이언 레시피>(ホノカアボーイ, Honokaa Boy, 일본, 2009)
<이케와 나>(いけちゃんとぼく, Good Bye, My Secret Friend, 일본, 2009)
<남동생>(おとうと, Younger Brother, 일본, 2010)
<플라워즈>(フラワーズ, Flowers, 일본, 2010)
<번개나무>(雷桜, The Lightning Tree, 일본, 2010)
<레드라인>(レッドライン, Redline, 일본, 2010, 애니메이션)
<노다메 칸타빌레 최종악장>(のだめカンタービレ 最終楽章 後編, Nodame Cantabile: The Final Score - Part II, 일본, 2010, TV드라마 극장판)
<양과자점 코안도르>(洋菓子店コアンドル, Patisserie Coin de Rue, 일본, 2011)
<우연히>(たまたま, By Chance, 일본, 2011)
<후쿠시마 훌라걸스>(がんばっぺフラガール! フクシマに生きる 彼女たちのいま, Fukushima Hula Girls, 일본, 2011, 다큐멘터리)
<바람의 검심>(るろうに剣心, Rurouni Kenshin, 일본, 2012)
<뱀파이어>(ヴァンパイア, Vampire, 미국/일본, 2012)
<속죄>(贖罪, Penance, 일본, 2012)
<동경가족>(東京家族, Tokyo Family, 일본, 2012)
<캡틴 하록>(キャプテンハーロック, Harlock : Space Pirate, 2013, 애니메이션, 목소리 출연)
<봄을 짊어지고>(春を背負って, Carrying Spring, 일본, 2014)
<바람의 검심 : 전설의 최후편>(るろうに剣心 伝説の最期編, Rurouni Kenshin: The Legend Ends, 일본, 2014)
<바람의 검심 : 교토 대화재편>(るろうに剣心 京都大火編, Rurouni Kenshin: Kyoto Inferno, 일본, 2014)
<해안가로의 여행>(岸辺の旅, Journey to the Shore, 일본, 2015)
<하나와 앨리스: 살인사건>(花とアリス殺人事件, The Case of Hana & Alice, 일본, 2015, 애니메이션, 목소리 출연)
<재패니즈 걸즈 네버 다이>(アズミ・ハルコは行方不明, Japanese Girls Never Die, 일본, 2016)
<오버 더 펜스>(オーバー・フェンス, Over the Fence, 일본, 2016)
<동경가족 두 번째 이야기>(家族はつらいよ, What a Wonderful Family!, 일본, 2016)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아오이 유우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