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54년 10월 23일 대만 차오저우 |
---|---|
본명 | 리안(李安) |
수상 | 베를린영화제 금곰상(<결혼 피로연>(喜宴, 1993)), 아카데미 감독상(<브로크백 마운틴>(Brokeback Mountain, 2005), <라이프 오브 파이>(Life of Pi, 2012)) |
데뷔 | <쿵후 선생>(推手, 1992) |
요약 리안은 대만 출신의 영화감독이다. 대만국립예술대학을 졸업한 후 미국으로 건너가 뉴욕대에서 영화연출을 공부하였다. 졸업 후 6년간 가사 일을 돌보다가 자작 시나리오로 ‘대만 아버지’ 3부작을 연출하여 국제적으로 주목받았다. 이후 할리우드에 안착하여 작가영화부터 블록버스터까지 다양한 규모와 장르의 영화들을 내놓으며 성공적인 경력을 이끌어갔다. 아시아계 감독으로는 최초로 아카데미 감독상을 2회 수상하였다. 대표작으로는 <와호장룡>(臥虎藏龍), <브로크백 마운틴>(Brokeback Mountain, 2005), <라이프 오브 파이>(Life of Pi, 2012)가 있다.
생애와 이력
대만 출신의 영화감독, 각본가, 제작자. 1954년 대만 남부의 농촌 지대인 핑둥(屏東)의 차오저우(潮州)에서 태어났다. 리안은 1949년 중국 국민당을 따라 대만으로 이주한 외성인 부모 밑에서 엄격한 교육을 받으며 자라났다. 이 시기 중국문화와 예술, 서예 등 중국의 전통예술을 고루 익혔던 리안은 아버지가 교장으로 있었던 대남제일고등학교(Provincial Tainan First Senior High School)를 졸업한 후 두 번의 대학입시 실패 끝에 대만국립예술대학교(National Taiwan University of Arts)에 들어갔다. 아들이 교수가 되기를 바랐던 아버지의 바람과 달리 드라마나 예술 쪽에 관심이 있었던 리안은 군 복무 후 미국으로 건너가 일리노이대학교 어바나-샴페인(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에서 연극을 공부하며 연기자가 되기를 꿈꾼다. 그러나 언어의 한계 때문에 전문적인 영어 연기자가 되는 데에 어려움을 겪게 되고, 영화 연출로 방향을 전환하였다.
영화에 꿈을 품은 리안은 이후 뉴욕대학교 대학원 과정인 티쉬예술학교으로 진학하여 영화연출을 공부하였다. 뉴욕대 재학 시절에 만든 단편영화 <호수의 그늘>(The Shades of the Lake, 1982)로 대만 정부가 주는 최고 단편상을 수상하였고, 졸업 작품으로 만든 <분계선>(Fine Line, 1984)은 뉴욕대학 영화학교에서 우수한 작품을 대상으로 수여하는 와서먼 상(Wasserman Award)을 받기도 했다. 이안은 40분 정도의 중편인 <분계선>으로 대형 엔터테인먼트 기획사 윌리엄 모리스 에이전시(William Morris Agency)를 비롯한 다양한 제작사로부터 주목을 받게 되지만 결과적으로 뉴욕대 졸업 후 6년 동안 어디에도 적을 두지 못했고, 작품을 연출할 기회를 얻지도 못했다. 대신 6년 동안 리안은 분자생물학자인 부인 제인 린(Jane Lin)이 생계를 책임지는 동안 집에서 요리를 하거나 아이들을 돌보면서 틈틈이 시나리오를 쓰면서 지냈다. 이 시기 완성한 두 개의 시나리오는 대만 정부가 주최한 시나리오 콘테스트에서 나란히 우승과 준우승을 차지하였다. 이는 훗날 장편 데뷔작인 <쿵후 선생>(推手, 1992)과 <결혼 피로연>(喜宴, 1993)으로 완성된다.
작품세계
<쿵푸 선생>과 <결혼 피로연>은 미국에 정착하려는 중국인들이 겪는 동양과 서양간의 문화 충돌, 전통문화와 현대문화 간의 갈등, 세대 간의 소통불능을 테마로 하였다. 대만에서 성공적인 흥행 성적과 평단의 지지를 동시에 이끌어낸 이 두 작품은 리안의 이름을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쿵후 선생>은 베를린영화제 파노라마 부문에서 상영됨과 동시에 아시아태평양영화제에서 최고 작품상을 수상하고 대만의 아카데미영화상이라 할 수 있는 금마장상 시상식에서 9개 부문 후보, 3개 부문 수상이라는 화려한 실적을 거두었다. <결혼 피로연> 또한 베를린영화제 황금곰상 수상,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및 골든글로브 외국어영화상 후보, 금마장상 작품상 및 감독상 포함 5개 부문 수상 등으로 단숨에 이안을 아시아의 떠오르는 스타 감독으로 부상시켰다.
1994년에는 칸국제영화제 감독주간 개막작이면서,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에 두 번 연속 후보로 오르게 된 <음식남녀>(飮食男女, 1994)를 발표했다. <음식남녀>는 <쿵후 선생>과 <결혼 피로연>과 함께 “아버지들이 가장 잘 안다(Fathers Knows Best)” 3부작, 또는 ‘대만 아버지’ 3부작으로 묶인다. 미국을 배경으로 한 앞선 두 작품과 달리 대만을 배경으로 한 <음식남녀>는 은퇴한 요리사와 그의 장성한 세 딸 간의 세대 갈등이나 결혼과 인생에 대한 사뭇 다른 가치관에서 벌어지는 다양한 에피소드들을 밀도 있게 그려냈다. 베이징덕 요리를 만드는 장면으로 시작하는 이 영화는 대만의 다양한 음식문화들을 보여주는 훌륭한 요리 영화로도 손꼽힌다. <음식남녀>는 한국 개봉에서 주연여배우인 오청련(吳倩蓮)의 인기에 힘입어 큰 인기를 누렸으며 북미 개봉에서도 좋은 성적을 얻었다.
리안은 대만 아버지 3부작에서 선보인 드라마 솜씨와 특히 웃음과 감동을 끌어내는 자연스러운 연출력을 인정받아, 본격적으로 할리우드에서 활동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그 첫 번째 작품이 제인 오스틴(Jane Austen)의 『이성과 감성』을 각색한 <센스 앤 센서빌리티>(Sense And Sensibility, 1995)다. 동양인의 눈으로 19세기 영국을 재해석한 이 영화에 대해 리안은 “한 세기 전의 영국은 지금의 타이완과 흡사하다. 이미 서구에서 사라져 버린 것이 동양에 있다. 점점 사라지는 것, 점점 멀어지는 관계가 내 관심사다”라는 연출의 변을 내놓았다. 비록 의사소통 및 문화적 차이의 문제로 현장에서 배우들과 잦은 갈등을 빚기도 했으나 출연 배우이자 각본가였던 엠마 톰슨(Emma Thompson)의 코믹하면서 감동적인 대사들과 리안의 드라마 연출 감각은 긍정적인 시너지 효과를 가져왔다. <센스 앤 센서빌리티>는 베를린국제영화제 황금곰상, 아카데미 영화상 7개 부문 노미네이트, 아카데미 각색상(엠마 톰슨), 골든 글로브 작품상 등을 수상하였다. 리안의 연출 방식에 대해 엠마 톰슨은 “그는 머릿속에 이미 어떤 장면을 가지고 있었고, 배우들이 스스로 그 장면에 가깝게 다가가는 것을, 조용히 기다렸다”라고 회고한 바 있다. 이후 <아이스 스톰>(The Ice Storm, 1997)과 <라이드 위드 데블>(Ride With The Devil, 1999)을 내놓았지만 비평적 찬사에도 불구하고 흥행성적은 신통치 않았다.
2000년, 그의 경력에 또 하나의 전환점이 찾아왔다. 대만으로 돌아가서 만든 영화 <와호장룡>(臥虎藏龍)이 그것이다. 동양의 전통적인 무협 장르에 웨스턴의 상상력과 최첨단 와이어 액션을 결합한 이 작품은 국제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리안은 <와호장룡>으로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며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고, 할리우드의 러브콜도 다시 쇄도하였다. 놀랍게도, 리안의 차기작은 슈퍼히어로 프랜차이즈 영화 <헐크>(Hulk, 2003)였다. 원작인 마블 코믹스와는 전혀 다른 리안의 재해석으로 다시 태어난 <헐크>는 비평적으로 극과 극으로 나뉘었고 박스오피스 성적은 그저 그런 수준에 머물렀다. <헐크>에 큰 공을 들였던 리안은 이 결과에 좌절하여 은퇴까지 고려하게 된다. 이 시기 아버지의 지지와 격려로 리안은 재기할 용기를 얻었다 한다. 아버지는 그가 국제적인 감독이 된 후에도 끊임없이 아들에게 교수나 교사를 하라고 종용했던 이였다.
리안은 2005년에 <헐크>의 차기작으로 <브로크백 마운틴>(Brokeback Mountain)을 내놓았다. 애니 프루의 단편소설을 옮긴 이 영화는 미국 서부의 광활한 자연을 무대로 두 명의 카우보이가 사랑에 빠지고 이별하는 과정을 담은 게이 멜로드라마다. 비교적 적은 예산으로 만든 <브로크백 마운틴>은 박스오피스 히트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엄청난 파급효과를 일으켰다. 아마도 퀴어영화로는 국제적으로 가장 광범위한 지지를 얻은 작품일 것이다. 리안은 이 영화로 동양인 최초로 아카데미영화상 감독상과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였다. 그밖에도 감독조합․작가조합․제작자조합 작품상, 골든글로브 작품상, BAFTA 작품상 등 각종 국내외 영화상에 123회 노미네이트되었고 그 중 71개의 상을 받았다.
리안은 2007년 <색, 계>(色, 戒)로 다시 국제적인 화제를 모았다. 양조위(梁朝偉)와 탕웨이(汤唯)를 주연으로 한 <색, 계>은 일제식민 치하의 상하이를 무대로 항일운동에 가담하였던 탕웨이와 친일파 정보부 대장인 양조위의 치명적인 사랑을 그렸다. 두 주연배우의 연기에 찬사가 쏟아졌지만 정작 그들은 과감한 성적 재현을 문제삼은 중국정부로 인해 곤경을 겪기도 했다. 리안에게 이 영화는 생애 두 번째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안겨주었다.
그는 2009년 <테이킹 우드스탁>(Taking Woodstock)을 거쳐, 2012년 <라이프 오브 파이>(Life of Pi)를 내놓았다. <라이프 오브 파이>에서 리안은 스페인계 캐나다인 소설가 얀 마텔(Yann Martel)의 동명소설을 3D 이미지로 옮겼다. 그의 첫 3D 영화에 극찬이 쏟아졌다. 그의 3D 효과는 공간의 입체적 환영이나 스펙터클의 강화에 머물지 않고, 스토리를 더욱더 시각적이고 극적으로 전달하는 ‘3D 예술’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식의 호평이 잇따랐다. “3D를 단순한 기술로써 사용한 것이 아니라 스토리와 놀랍도록 자연스럽게 결합시켰다”는 제임스 카메룬(James Cameron) 감독의 극찬도 그중 하나이다. <라이프 오브 파이>는 그에게 두 번째 오스카 감독상을 안겨주었다. 그는 현재 유니버설픽쳐스와 손잡고 3D 복싱영화 제작에 착수하였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복싱 부흥기를 그릴 이 영화에서 그는 전설적인 두 복서인 무하마드 알리와 조 프레이져의 생생한 움직임을 3D를 통해 되살려낼 예정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영화사적 평가
리안은 아시아계 감독 중 할리우드에서 가장 크게 성공한 감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대만에서 출생했지만 청년기를 미국에서 보낸 탓에 그는 자신의 정체성을 “동양인도 서양인도 아닌” 혼종적인 것으로 간주하였다. 그래서 할리우드에 완전하게 정착하지도, 중화권에서 전적으로 환영받지도 못하는 어중간한 위치에 놓이게 된 것을 자주 의식하였다. 그러나 동서양의 경계 위에 있는 그의 정체성은 리안에게 보다 다문화적이고 다층적으로 전 세계에 산재한 이방인들에 대한 영화를 만들 수 있는 자양분을 제공해주었다. 리안은 어떤 일관된 스타일을 관철하는 감독이라기보다는 동서양의 문화적 경계를 넘나들며 주어진 소재를 그 고유한 문화적 프레임에 충실하게 짜넣을 수 있는 희귀한 재능의 소유자다. 유연하면서 변화무쌍한 그의 영화 세계는 하나의 개념으로 규정되는 것을 거부한 채 작가적 스펙트럼을 넓혀가고 있는 중이다.
작품목록
<호수의 그늘>(The Shades of the Lake, 미국, 1982, 단편)
<분계선>(Fine Line, 미국, 1984, 중편)
<쿵후 선생>(推手, Pushing Hands, 대만, 1992)
<결혼 피로연>(喜宴, Xi yan, 미국/대만, 1993)
<음식남녀>(飮食男女, Eat, Drink, Man, Woman, 홍콩, 1994)
<센스 앤 센서빌리티>(Sense And Sensibility, 미국/영국, 1995)
<소녀소어>(少女小漁, Siao Yu, 대만, 1995, 제작/각본)
<아이스 스톰>(The Ice Storm, 미국, 1997)
<라이드 위드 데블>(Ride With The Devil, 미국, 1999)
<와호장룡>(臥虎藏龍, Crouching Tiger, Hidden Dragon, 대만/홍콩/미국/중국, 2000)
<토르틸라 스프>(Tortilla Soup, 미국, 2001, 원안)
<헐크>(Hulk, 미국, 2003)
<브로크백 마운틴>(Brokeback Mountain, 미국/캐나다, 2005)
<색, 계>(色, 戒, Lust, Caution, 미국/중국/대만/홍콩, 2007)
<할리우드의 중국인>(Hollywood Chinese: The Chinese in American Feature Films, 미국, 2007, TV 다큐멘터리, 출연)
<리틀 게임>(A Little Game, 미국, 2008)
<테이킹 우드스탁>(Taking Woodstock, 미국, 2009)
<라이프 오브 파이>(Life of Pi, 미국, 2012)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