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아미르 나데리

다른 표기 언어 Amir Naderi
요약 테이블
출생 1946년 8월 15일, 이란 아바단
본명 아미르 나데리(Amir Naderi)
수상 1985년 낭뜨3대륙영화제 최우수작품상(<달리는 아이들>), 1989년 낭뜨3대륙영화제 최우수작품상(<물, 바람, 먼지>)
데뷔 <친구여 안녕>(Goodbye Friend, 이란, 1971)

요약 아미르 나데리는 이란 영화감독으로 이란 뉴웨이브영화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이란 영화를 국제적으로 알린 초창기 인물 중 한 사람으로 <달리는 아이들>(The Runner, 1985), <물, 바람, 먼지>(Water, Wind, Dust, 1989)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아미르 나데리

Amir Naderi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이란의 영화감독. 1946년 이란 아바단(Abadan)에서 태어났다. 가난한 집안환경 탓에 학교도 제대로 다니지 못했고 어린 시절부터 돈벌이에 나서야 했다. 영화와 사진에 관심이 많았던 그는 독학으로 영화를 공부했는데,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Henri Cartier Bresson)의 일상을 포착한 사진과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 미학에 심취했다. 스틸촬영기사로 영화계에 발을 들였으며, 1971년 <친구여 안녕>(Goodbye Friend)을 연출해 감독으로 데뷔했다. 이후 <달리는 아이들>(The Runner, 1985), <물, 바람, 먼지>(Water, Wind, Dust, 1989)로 국제적인 명성을 얻었다. 영화에만 매진해 가족의 생계를 돌보지 못한다는 이유로 이혼했으며, 이란 정부의 영화탄압에 못 이겨 1990년 미국 뉴욕으로 이주했다. 그리고 그는 매일 한 편씩 영화를 본다고 알려질 정도로 영화광이다.

작품세계

아미르 나데리의 데뷔작 <친구여 안녕>(Goodbye Friend. 1971)은 악행을 저지르는 일에 고용된 세 명의 친구가 음모와 배신으로 하나 둘 죽음을 맞이한다는 내용이다. 영화광이었던 나데리는 이탈리아 네오리얼리즘의 영향을 받아 자연광을 이용한 로케이션 촬영으로 이란인들의 궁핍한 현실을 카메라에 그대로 담았다. 저예산으로 만들어진 이 영화는 당시 이란영화계에 도래했던 뉴웨이브 영화의 경향을 따르면서도, 여타 영화에 등장하지 않았던 '성난 젊은이(Angry Young Man)'(『Iranian Cinema-A Political History』) 캐릭터를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친구여 안녕>에서 보여준 그의 절망적 세계 인식은 두 번째 영화 <난관>(Deadlock, 1973)에서도 반복되었다. 이 영화는 가난한 협잡꾼들, 불에 타 죽은 형제의 복수 등 테헤란 뒷골목 사람들의 삶을 다소 충격적으로 묘사하며 그들의 고뇌와 분노, 공포와 절망을 표현했다. 당시 테헤란은 100만 명 이상의 극빈층이 거주하고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극심한 빈곤에 시달리고 있었는데, 나데리는 이런 사회현실을 사실적으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이런 그의 성향은 헛된 희망과 지킬 수 없는 계획을 말하는 정부와 그런 정부정책 때문에 파괴된 건물에서 살아야하는 사람들을 그린 <엘레지>(Elegy, 1978)에서도 반복된다. 이후에는 1979년 혁명의 날을 포착한 <서치 원>(Search One, 1980), 이란-이라크 전쟁에 참전한 군인을 다룬 <서치 투>(Search Two, 1981)를 통해 복잡한 정치적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는 사람들의 심리를 주제로 한 영화들을 발표했다.

달리는 아이들

The Runner, 1985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아미르 나데리는 1985년 작 <달리는 아이들>(The Runner)로 세계 영화인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다. 전쟁으로 부모를 여의고 버려진 배에서 홀로 사는 주인공 소년은 생계를 위해 어른들과 사투를 벌이고, 미래를 꿈꾸면서도 문맹인 탓에 낙담한다. 큰 비행기를 쳐다보는 것이 유일한 삶의 낙인 이 소년은 친구들과 숨이 턱에 차오를 때까지 달리는 것에 점점 빠져든다. 이 영화는 전쟁에 대한 직접적 묘사 없이 이란-이라크전쟁의 폐해를 소년의 심리를 통해 전달한 수작이란 평가를 받았다. 이 작품으로 그는 낭뜨3대륙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며 전 세계에 이름을 알렸다. 이후 심각한 가뭄과 굶주림에 시달리는 피난 행렬에서 부모를 잃고 찾아 헤매는 소년을 그린 <물, 바람, 먼지>(Water, Wind, Dust, 1989)로 다시 한 번 낭뜨3대륙영화제 그랑프리를 수상하는 기염을 토했다. 이로써 그는 다리우스 메흐르지(Dariush Mehrjui), 바흐람 베이자이(Bahram Beizai) 등과 더불어 이란 뉴웨이브영화의 선구자로 평가받게 되었다.

1980년대 이란영화계는 엄격해지는 검열시스템과 정부의 탄압으로 영화제작이 점차 어려워졌다. 이에 많은 영화인들이 이란을 떠났고, 나데리 역시 1990년 미국으로 이민했다. 그는 뉴욕에 거주하면서 저예산 독립영화를 만들었는데, 이른바 ‘뉴욕 3부작’으로 불리는 <1, 2, 3, 4 맨해튼>(Manhattan by Numbers, 1993), (A, B, C... Manhattan, 1997), <마라톤>(Marathon, 2002)으로 세계적인 호평을 받았다. 특히 실직한 미혼모, 연인과 헤어진 록커 지망생, 강아지를 잃어버린 펑크족, 이 세 명의 친구를 통해 1990년대 뉴욕 재개발지역에 살며 진정한 보금자리를 찾아 방황하는 사람들을 그린 은 칸 영화제에 출품되기도 했다. 2005년 작 <사운드 배리어>(Sound Barrier)에서는 자신의 비밀을 알기위해 죽은 엄마가 남긴 카세트테이프를 찾아 듣기를 갈망하는 농아 소년의 심리를 제한된 대사와 음향, 분절된 쇼트 편집만으로 표현하는 실험적 시도를 선보이기도 했다.

Cut, 2011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세계 영화사 걸작에 대한 오마주이자 영화를 향한 사랑을 담은 영화찬가 <컷>(Cut, 2011)을 발표했다. 구로사와 기요시(Kurosawa Kiyoshi), 아오야마 신지(Aoyama Shinji)의 도움으로 완성된 이 영화는 자신이 사랑하는 진정한 영화를 위해 세상과 맞서 싸우는 가난한 독립영화감독의 이야기다. 영화 후반부 주인공은 야쿠자에게 빌린 돈을 갚을 수 없어 인간 샌드백처럼 매를 맞는다. 이때 주인공은 세계영화사의 위대한 작품 100편을 떠올리며 고통을 견디는데, 자막으로 삽입된 100편의 영화는 예술성과 오락성을 겸비한 진정한 영화를 꿈꾸는 나데리의 애정이 담긴 리스트였다. 이 영화는 세계영화팬들의 뜨거운 반향을 불러일으켰는데, 베니스 영화제에서는 관객들의 거센 요구로 예정에 없던 상영시간이 추가로 편성되는 이례적인 사태가 벌어지기도 했다. 과거 존 카사베츠(John Cassavetes)의 연출부로 일했던 나데리는 이 영화를 그에게 바친다고 말하기도 했다.

영화사적 평가

네오리얼리즘의 영향을 받은 아미르 나데리는 데뷔작에서부터 전쟁과 궁핍한 경제로 고통 받는 이란 민중의 현실을 사실적으로 담아내는 영화 만들기에 주력해왔다. 그러나 그의 표현방식은 과격하거나 직접적인 것이 아니었다. 인물, 특히 소년이 처한 상황과 심리를 섬세하게 묘사하는 방법으로 정부의 검열시스템을 우회한 그는 다리우스 메흐르지(Dariush Mehrjui), 바흐람 베이자이(Bahram Beizai) 등과 더불어 이란 뉴웨이브영화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이란영화는 1980년대 중반에 들어서야 처음으로 세계영화계에 소개되기 시작했는데, <달리는 아이들>(The Runner)이 그 대표작 중 하나였고 나데리는 이란 영화가 국제적으로 각광받게 되는데 크게 기여했다.

작품목록

<친구여 안녕>(Goodbye Friend, 이란, 1971)
<난관>(Deadlock, 이란, 1973)
<하모니카>(Harmonica, 이란, 1973, 단편)
<탕시르>(Tangsir, 이란, 1973)
<웨이팅>(Waiting, 이란, 1974, 단편)
<샥테 이란>(Sakhte Iran, 이란, 1978)
<엘레지>(Elegy, 이란, 1978)
<더 위너>(The Winner, 이란, 1979)
<서치 원>(Search One, 이란, 1980)
<서치 투>(Search Two, 이란, 1981)
<바란데쉬>(Barandeh, 이란, 1984, 단편)
<달리는 아이들>(The Runner, 이란, 1985, 감독/각본)
<물, 바람, 먼지>(Water, Wind, Dust, 이란, 1989, 감독/각본)
<다바데쉬>(Davandeh, 이란, 1990)
<1, 2, 3, 4 맨해튼>(Manhattan by Numbers, 미국, 1993, 감독/각본)
(A, B, C... Manhattan, 미국, 1997, 감독/각본)
<마라톤>(Marathon, 미국, 2002)
<사운드 배리어>(Sound Barrier, 미국, 2005)
<라스베가스의 꿈>(Vegas: Based on a True Story, 미국, 2008)
<컷>(カット, Cut, 일본/프랑스/미국/영국/터키, 2011, 감독/공동각본)
<60 세컨즈 오브 솔리튜드 인 이어 제로>(60 Seconds of Solitude in Year Zero, 에스토니아, 2011, 옴니버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아미르 나데리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