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버스비 버클리

다른 표기 언어 Busby Berkeley 동의어 윌리엄 버클리 에노스, William Berkeley Enos, 버클리
요약 테이블
출생 1895년 11월 29일
사망 1976년 3월 14일
본명 윌리엄 버클리 에노스(William Berkeley Enos)
수상 1971년 베를린국제영화제 유니크릿 상(UNICRIT Statuette)
데뷔 <그녀는 예라고 말했다>(She Had to Say Yes, 미국, 1933)

요약 버스비 버클리는 <1935년의 황금광들>(Gold Diggers of 1935)이라는 뮤지컬 영화로 유명해졌다. 그는 자신의 연출작뿐만 아니라 로이드 베이컨(Lloyd Bacon) 감독의 <풋라이트 퍼레이드>(Footlight Parade), 머빈 르로이(Mervyn LeRoy) 감독의 <1933년의 황금광들>Gold Diggers of 1933), 그리고 프랭크 터틀(Frank Tuttle) 감독의 <로마 스캔들>(Roman Scandals) 등에서 안무(按舞)를 맡았다.

버스비 버클리

Busby Berkeley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미국의 영화감독 겸 안무가. 버스비 버클리(Busby Berkeley)는 1895년 11월 29일 미국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Los Angeles)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윌리엄 버클리 에노스(William Berkeley Enos)다. 무대배우의 아들로 태어난 그는 정식으로 춤이나 안무를 교육받은 적이 없었음에도 가정환경, 선천적인 재능, 브로드웨이 극장에서의 경험, 그리고 무엇보다도 그만의 고유한 시각적 특성으로 자신을 드러낼 수 있었다. 그는 1918년 군복무 중에 자신의 경력을 시작했는데, 포병 장교로서 군 퍼레이드를 연출했던 것이다.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귀국한 그는 연극배우 및 조연출이 되었다.

1929년은 할리우드 뮤지컬이 만개(滿開)하기 시작한 시기였다. 이 영화 장르는 음악적 본질을 브로드웨이에서 빌려 왔는데, 아울러 연주자, 작곡가, 편곡자, 지휘자를 공급 받았다. 바로 이런 시기에 버클리는 할리우드로 와서 장차 위대한 안무가가 될 준비를 한다. 1930년대에 연출활동을 시작한 버클리는 50년대 중반까지 32편의 연출작을 남겼고, 숱한 영화에서 안무 및 무용연출을 맡았다. 그는 1971년 베를린국제영화제(Berlin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유니크릿 상(UNICRIT Statuette)을 수상했다. 그는 1976년 3월 14일 80세를 일기(一期)로 팜스프링스(Palm Springs)에서 사망했다.

1933년의 황금광들

Gold Diggers of 1933

작품세계

할리우드와 브로드웨이의 차이는 전자에서는 본질적으로 모든 노래와 안무가 카메라의 움직임과 편집에 맞추어 진다는 점이었다. 영화의 관람자는 이 움직임과 리듬으로 시각적 쾌락을 얻는다. 브로드웨이의 고정된 연극무대에서 넘어 온 버스비 버클리의 장기는 춤과 노래를 영화 속으로 자유롭게 풀어놓으며 시각적 쾌락을 확보한 혁신적인 안무로 알려져 있다. 아울러 그의 카메라는 세트 전체를 조망하는 롱-쇼트(long shot)에서 춤추는 신체를 비추는 클로즈업(close-up)에 이르기까지, 그의 독특한 세트와 정교한 안무를 강조하며 유기적으로 전환된다. 그런 전환 속에서 하늘 위를 날아다니는 듯한 카메라의 시선은 환상적인 기하학적 패턴을 창조한다.

그의 영화들은 엄청난 규모의 쇼걸들이 동원되고 성적 판타지를 강조하는 요소로서 소품들을 즐겨 사용하여, 각 영화 장면들을 스펙터클 자체로 구성한다. 버클리가 춤과 노래를 위해 창조한 <풋라이트 퍼레이드>(Footlight Parade, 1933)에서의 폭포를 형상화 한 사운드스테이지는 지금까지 지어진 가장 거대한 것 중 하나였다. 서사에 별로 신경 쓰지 않았던 워너에서의 버클리의 안무는, <로마의 스캔들>(Roman Scandals, 1933)과 <1933년의 황금광들>(Gold Diggers of 1933, 1935) 시리즈에서 선보인 엄청난 수의 코러스 걸들이 표상하는 구성미와 <42번가>(42nd Street, 1933)의 춤추는 마천루 빌딩들 같은 도시 속에서의 사실적인 백 스테이지 플롯들로 정평이 나 있었다. 워너에서의 성공 이후, 버클리는 MGM에서 작사가 겸 제작자인 아서 프리드의 요청으로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 1939)의 스타 주디 갈랜드(Judy Garland)를 기용하여 <풋내기들>(Babes in Arms, 1939)을 연출한다. 이 영화는1939년 MGM 최대 흥행작 중 하나가 되었다.

풋라이트 퍼레이드

Footlight Parade

버클리는 1936년 본인이 연출한 <1935년의 황금광들>(Gold Diggers of 1935, 1935)을 필두로 해서 1937년에 로이드 베이컨(Lloyd Bacon)이 연출한 <1937년의 황금광들>)Gold Diggers of 1937, 1936), 그리고 1938년에는 윌리엄 나이리(William Keighley)가 연출한 <바서티 쇼>(Varsity Show, 1937)로 3년 연속 아카데미시상식(Academy Awards)에서 최우수 무용연출(Best Dance Direction) 부문 후보에 올랐지만 안타깝게도 수상은 하지 못했다. 이는 그의 무용연출 실력이 그만큼 뛰어났다는 것을 잘 말해준다. 그가 장기를 십분 발휘했던 거대하며 풍성한 뮤지컬 영화의 시대가 쇠퇴를 하자 버클리는 범죄영화 같은 몇 편의 드라마를 촬영했으나, 예전의 영광은 누리지 못했다.

영화사적 평가

작가주의 비평에서는 흔히 감독 외의 역할에 대해서 간과하기 쉬운데, 특히 뮤지컬 영화(musical movie)에서 안무와 연기는 작품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런 점에서 버스비 버클리는 완벽한 뮤지컬 장르의 작가였다. 버클리는 감독뿐만 아니라 안무가로서 그의 필모그래피를 통해 무대의 스펙터클, 기하학적 안무 패턴, 노래와 춤을 판타지 층위로 상승시키는 카메라 워크를 일관되게 보여준다. 그는 영화 속 노래와 뮤지컬적인 표현 사이의 완벽한 조화를 이루도록 하는데 발군의 능력을 보였다. 특히 버클리는 그의 스펙터클한 세트 위에서의 정교한 안무로 유명하다. 그는 만화경을 통해 볼 수 있는 복잡한 기하학적 무늬를 형상화하는 시도들로 안무를 종종 구성하는데, 화려하고 추상적인 댄서들의 춤과 연기는 정교하게 양식화된 형상으로 카메라에 새겨진다.

브로드웨이의 연인들

Babes on Broadway

영화평론가 김시무 따르면, "버클리는 인간의 신체를 이용하여 에로틱한 감정을 이끌어 내는데 초점을 맞추었는데, 최초로 여성의 나체를 뮤지컬에 넣었으며, ‘가랑이 쇼트(crotch shots)’로도 유명했다"고 한다. 안무가 혹은 감독으로 50편 이상의 뮤지컬 영화를 만들었던 버클리는 프레드 아스테어(Fred Astair), 어빙 벌린(Irving Berlin)과 함께 1930년대 할리우드 스튜디오 체제에서 뮤지컬 장르를 확립했다. 브로드웨이 무대 안무가로 출발하여 할리우드 영화감독으로 입지를 확고히 했던 버클리는 유성영화의 도래와 함께 등장한 가장 천부적인 뮤지컬 영화감독 중 한 명이었다.

작품목록

(연출)
<그녀는 예라고 말했다>(She Had to Say Yes, 미국, 1933) George Amy 공동연출
<여인네들>(Dames, 미국, 1934) Ray Enright 공동연출
<1935년의 황금광들>(Gold Diggers of 1935, 미국, 1935)
<브라이트 라이츠>(Bright Lights, 미국, 1935)
<사랑을 위한 삶>(I Live for Love, 미국, 1935)
<싱잉 키드>(The Singing Kid, 미국, 1936) William Keighley 공동연출
<스테이지 스트럭>(Stage Struck, 미국, 1936)
<더 고 겟터>(The Go Getter, 미국, 1937)
<할리우드 호텔>(Hollywood Hotel, 미국, 1937)
<남자들란 이런 바보>(Men Are Such Fools, 미국, 1938)
<가든 오브 더 문>(Garden of the Moon, 미국, 1938)
<코멧 오버 브로드웨이>(Comet Over Broadway, 미국, 1938) John Farrow 공동연출
<그들이 나를 범죄자로 만들었다>(They Made Me a Criminal, 미국, 1939)
<풋내기들>(Babes in Arms, 미국, 1939)
<분노의 질주>(Fast and Furious, 미국, 1939)
<포티 리틀 머더스>(Forty Little Mothers, 미국, 1940)
<스트라이크 업 더 밴드>(Strike Up the Band, 미국, 1940)
<금발의 영감>(Blonde Inspiration, 미국, 1941)
<지그펠드 걸>(Ziegfeld Girl, 미국, 1941) Robert Z. Leonard 공동연출
<레이디 비 굿>(Lady Be Good, 미국, 1941) Norman Z. McLeod 공동연출
<브로드웨이의 연인들>(Babes on Broadway, 미국, 1941)
<나와 나의 애인을 위하여>(For Me and My Gal, 미국, 1942)
<하늘의 오두막>(Cabin in the Sky, 미국, 1943) Vincente Minnelli 공동연출
<걸 크레이지>(Girl Crazy, 미국, 1943) Norman Taurog 공동연출
<갱스 올 히어>(The Gang’s All Here, 미국, 1943)
<신데렐라 존스>(Cinderella Jones, 미국, 1946)
<로맨스 온 더 하이 시스>(Romance on the High Seas, 미국, 1948) Michael Curtiz 공동연출
<테이크 미 아웃 투 더 볼 게임>(Take Me Out to the Ball Game, 미국, 1949)
<애니여 총을 잡아라>(Annie Get Your Gun, 미국, 1950) George Sidney 공동연출
<푸른 면사포>(The Blue Veil, 미국, 1951) Curtis Bernhardt 공동연출
<빅 타운>(Big Town, 미국, 1954-1955, TV 시리즈)
<엠지엠 퍼레이드>(MGM Parade, 미국, 1956, TV 시리즈)

갱스 올 히어

The Gang's All Here

(안무 및 무용연출)<후피>(Whoopee!, 미국, 1930, 무용) Thornton Freeland 연출
<플라잉 하이>(Flying High, 미국, 1931, 무용) Charles Reisner 연출
<키키>(Kiki, 미국, 1931, 무용) Sam Taylor 연출
<펄미 데이즈>(Palmy Days, 미국, 1931, 무용) A. Edward Sutherland 연출
<버드 오브 파라다이스>(Bird of Paradise, 미국, 1932, 안무) King Vidor 연출
<걸 크레이지>(Girl Crazy, 미국, 1932, 안무) William A. Seiter 연출
<나이트 월드>(Night World, 미국, 1932, 안무) Hobart Henley 연출
<스카이 데빌>(Sky Devils, 미국, 1932, 안무) A. Edward Sutherland 연출
<더 키드 프롬 스페인>(The Kid from Spain, 미국, 1932, 음악-뮤지컬 넘버) Leo McCarey 연출
<42번가>(42nd Street, 미국, 1933, 무용) Lloyd Bacon 연출
<풋라이트 퍼레이드>(Footlight Parade, 미국, 1933, 음악-뮤지컬 넘버) Lloyd Bacon 연출
<1933년의 황금광들>Gold Diggers of 1933, 미국, 1933, 음악-뮤지컬넘버) Mervyn LeRoy
<플레인 너츠>(Plane Nuts, 미국, 1933, 안무, 단편) Jack Cummings 연출
<로마 스캔들>(Roman Scandals, 미국, 1933, 음악) Frank Tuttle 연출
<여인네들>Dames, 미국, 1934, 연출, 음악-뮤지컬 넘버) Ray Enright 공동연출
<원더 바>Wonder Bar, 미국, 1934, 음악-뮤지컬 넘버) Lloyd Bacon 연출
<1935년의 황금광들>(Gold Diggers of 1935, 미국, 1935, 안무)
<칼리엔테에서>(In Caliente, 미국, 1935, 음악-뮤지컬 넘버) Lloyd Bacon 연출
<스타 오버 브로드웨이>(Stars Over Broadway, 미국, 1935, 음악-뮤지컬 넘버) William Keighley 연출
<1937년의 황금광들>)Gold Diggers of 1937, 미극, 1936, 무용) Lloyd Bacon 연출
<할리우드 호텔>(Hollywood Hotel, 미국, 1937, 안무)
<더 싱잉 마린>The Singing Marine, 미국, 1937, 음악-뮤지컬 넘버) Ray Enright 연출
<바서티 쇼>(Varsity Show, 미국, 1937, 음악-뮤지컬 파이널 넘버) William Keighley 연출
<파리의 황금광들>(Gold Diggers in Paris, 미국, 1938, 무용) Ray Enright 연출
<브로드웨이 세레나데>(Broadway Serenade, 미국, 1939, 음악-뮤지컬 파이널 넘버) Robert Z. Leonard 연출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 미국, 1939, 안무) Victor Fleming 연출
<지그펠드 걸>(Ziegfeld Girl, 미국, 1941, 음악-뮤지컬 넘버) Robert Z. Leonard 공동연출
<걸 크레이지>(Girl Crazy, 미국, 1943, 연출, 음악-뮤지컬 넘버) Norman Taurog 공동연출
<투 윅스 위드 러브>(Two Weeks with Love, 미국, 1950, 안무) Roy Rowland 연출
<콜 미 마스터>(Call Me Mister, 미국, 1951, 안무) Lloyd Bacon 연출
<브로드웨이로 가는 두 장의 티켓>(Two Tickets to Broadway, 미국, 1951, 안무) James V. Kern 연출
<백만 달러 인어>(Million Dollar Mermaid, 미국, 1952, 안무) Mervyn LeRoy 연출
<이지 투 러브>(Easy to Love, 미국, 1953, 안무) Charles Walters 연출
<스몰 타운 걸>(Small Town Girl, 미국, 1953, 안무) Leslie Kardos 연출
<빌리 로즈스 점보>(Billy Rose’s Jumbo, 미국, 1962, 안무) Charles Walters 연출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버스비 버클리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