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스티븐 소더버그

다른 표기 언어 Steven Soderbergh 동의어 스티븐 앤드루 소더버그, Steven Andrew Soderbergh
요약 테이블
출생 1963년 1월 14일
본명 스티븐 앤드루 소더버그(Steven Andrew Soderbergh)
수상 1989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 2001년 아카데미 최우수감독상(<트래픽>)
데뷔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Sex, Lies, and Videotape, 미국, 1989)

요약 스티븐 소더버그는 데뷔작인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Sex, Lies, and Videotape)로 혜성처럼 등장했다. 이후 그는 자신의 대표작인 <트래픽>(Traffic)과 주류 상업영화 <오션스 일레븐>(Ocean`s Eleven) 등을 만들었다.

스티븐 소더버그

Steven Soderbergh

ⓒ Denis Makarenko/Shutterstock.com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미국의 영화감독이자 제작자, 시나리오작가, 촬영감독. 스티븐 소더버그(Steven Andrew Soderbergh)는 1963년 1월 14일 조지아 주 애틀랜타(Atlanta)에서 태어나 루이지애나(Louisiana)주 바톤 루즈(Baton Rouge)에서 성장했다. 그의 아버지 피터(Peter Soderbergh)는 스웨덴 및 아일랜드계였고, 어머니는 이태리계였다. 13세부터 영화를 만들기 시작한 소더버그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로스앤젤레스 지역을 여행하며 편집 프리랜서로 일했으며, 이 시기 다큐멘터리, 드라마, 뮤지컬 등 여러 장르에 걸친 실험이 이후 그의 영화연출에 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로스앤젤레스 지역에 머물면서 그는 할리우드에 진출하려 시도했으나 여의치 않았다. 그는 그 후 고향으로 돌아와 단편영화를 찍던 중 1986년 록 그룹 ‘예스(Yes)’의 콘서트 전 과정을 촬영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여 그래미상 후보에 올랐다.

메인스트림과 인디의 영역을 오가며 탁월한 역량을 보여주는 연출가로서의 역할 외에도 소더버그는 각본, 촬영, 편집, 기획 등의 역할을 맡아 다방면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고 있으며, 특히 제작자로서 많은 활동을 하고 있다. 조지 클루니와 함께 설립한 ‘섹션 에잇’을 통해서 그는 <플레전트빌>(Pleasantville, 1998)을 비롯해서 <인썸니아>(Insomnia, 2002), <파 프롬 헤븐>(Far From Heaven, 2002), <크리미널>(Criminal, 2004), <굿 나잇 앤 굿 럭>(Good Night, and Good Luck, 2005), 그리고 <마이클 클레이튼>(Michael Clayton, 2007) 등 40여 편의 영화를 제작했다. 그는 또한 본인의 작품을 포함하여 24편의 영화에서 촬영감독을 맡았으며, 잘 알려지지 않은 작가와 감독들을 발굴하여 그들의 작품을 제작하는 일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작품세계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

Sex, Lies, and Videotape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스티븐 소더버그는 자신이 직접 대본을 쓰고 연출, 녹음, 편집까지 맡아 완성한 영화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Sex, Lies, and Videotape, 1989)로 화려하게 데뷔를 했다. 그를 일약 전 세계의 주목을 받는 감독으로 만든 이 장편 데뷔작에서 소더버그는 복잡하게 얽힌 네 남녀의 성적 관계를 통해 현대인들의 성의 문제를 심도 있게 해부하고 있다. 소더버그가 8일 만에 대본을 쓰고 약 120만 달러의 예산으로 5주 만에 촬영한 것으로 알려진 이 영화는 선댄스영화제(Sundance Film Festival)에서 관객상을 수상한데 이어 1989년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Palme d'Or)과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뿐만 아니라 이 영화의 큰 성공으로 소더버그는 ‘독립영화(independent film)’를 통해서도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고 주류 관객들을 사로잡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갖게 됐다. 그런 의미에서 이 영화는 ‘독립영화’의 개념을 재규정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소더버그가 1991년에 발표한 그의 두 번째 장편 극영화는 제1차 세계대전 후 프라하를 배경으로 하여 소설가 프란츠 카프카(Franz Kafka)의 일상을 창조적으로 재해석한 영화 <카프카>(Kafka, 1991)였다. 제레미 아이언스(Jeremy Irons)가 주연을 맡은 이 영화는 카프카의 작품 속에 나타나는 메시지를 주관적으로 형상화하여 표현주의적인 양식으로 연출한 대단히 실험적인 작품이었다. 하지만 소더버그가 칸의 여세를 몰아 야심차게 도전했던 <카프카>는 그러나 그의 작가적 역량에 의문만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기도 했다. 문학천재 카프카와 영화천재 소더버그의 일대일 대응공식에 너무 집착했던 탓이었을까?

이 작품 이후에 소더버그는 <리틀 킹>(King of the Hill, 1993), <폴른 엔젤스>(Fallen Angels, 1993), <언더니쓰>(Underneath, 1995), <스키즈폴리스>(Schizopolis, 1996), 그리고 <그레이스 어네토미>(Gray's Anatomy, 1996) 등의 작품을 발표하며 다채로운 시도와 가능성을 보여주었으나, 이들 작품들은 데뷔작이 받았던 만큼의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다만 <리틀 킹>은 자본주의가 시작된 이래 최악의 재앙이었던 1930년대 대공황기에 도시빈민들이 겪는 고통을 어린이의 시각에서 예리하게, 그러면서도 따뜻하게 묘사하고 있는 지극히 미국적인 영화로 소더버그의 지향을 잘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소더버그는 범죄소설 작가 엘모어 레너드(Elmore Leonard)의 원작을 바탕으로 하여 만든 오락영화 <조지 클루니의 표적>(Out of Sight, 1998)을 통해 대중영화의 패러다임 안에서 빛나는 재능을 발휘하면서 다시 평단과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이후 그는 딸을 잃은 아버지의 복수극이 개인적 기억과 교차되며 진행되는 <라이미>(Limey, 1999)로 화려한 스타일과 짜임새 있는 구성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그 이듬해 소더버그는 자신이 만든 두 편의 영화 <트래픽>(Traffic, 2000)과 <에린 브로코비치>(Erin Brockovich, 2000)로 2001년 아카데미시상식에서 최우수감독상을 놓고 경합을 벌이는 진풍경을 보여주면서 새로운 전성기를 맞이하게 된다. 결국 <트래픽>으로 감독상을 수상했다. <에린 브로코비치>는 한 평범한 여성이 비윤리적인 대기업을 상대로 법정소송을 벌인 실화(實話)를 영화화하여 줄리아 로버츠(Julia Roberts)에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안긴 작품이다.

트래픽

Traffic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한편 미국과 독일의 제작사들이 합작으로 만든 <트래픽>은 미국 오하이오주, 캘리포니아주 샌디애고, 멕시코의 국경 등 세 공간을 중심으로 마약 문화의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다양한 사람들을 보여주며 마약밀거래의 현실을 다룬 영화로, 아카데미 감독상, 각색상, 편집상, 남우조연상을 수상했다. <트래픽>의 주된 내러티브는 결국 하나로 합쳐지게 되는 세 개의 지류를 각각 대표하는 세 명의 주요 등장인물을 축으로 하여 얽히고설킨 실타래를 풀어 가는 방식으로 구조화되어있다. 미국 대통령 직속 마약단속국 국장 로버트(마이클 더글라스), 마약 거래선 중간보스의 아내인 헬레나(캐서린 제타 존스) 그리고 멕시코의 한 일선 경찰관인 하비에르(베니치오 델 토로)가 영화의 중심 캐릭터들이다. 이 영화는 이처럼 서로 독립적인 세 가지의 이야기가 얽힌 치밀한 구성과 핸드 헬드 카메라로 촬영된 거친 영상, 뛰어난 편집촬영 기법 등으로 인해 평단의 좋은 반응을 얻었다.

<조지 클루니의 표적> 이후 재기에 성공한 소더버그는 주로 큰 예산 규모의 주류(主流) 영화 영역에서 성공적인 성과를 거둬왔다고 할 수 있다. <트래픽>과 <에린 브로코비치>가 대중적 흥행과 평단의 평가 모두 성공적인 성과를 보여준 데 이어, 2001년에는 브래드 피트(Brad Pitt), 줄리아 로버츠(Julia Roberts), 조지 클루니(George Clooney) 등 스타들을 대거 기용하여 만든 <오션스 일레븐>(Ocean`s Eleven, 2001)으로 범죄영화를 연출하는 숙련된 솜씨를 보여주며 전 세계에서 4억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오션스 일레븐>은 이후에 <오션스 트웰브>(Ocean’s Twelve, 2004), <오션스 13>(Ocean's Thirteen, 2007)으로 이어지며 화려한 스타군단이 대거 등장하는 대중적 오락영화의 한 유형을 만들어냈다.

오션스 일레븐

Ocean`s Eleven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소더버그는 2008년에는 남미의 전설적인 혁명가 체 게바라의 삶을 묘사한 4시간 18분짜리 전기(傳記)영화 <체 게바라>(Che, 2008)를 발표했는데, 파트 원 <체: 아르헨티나인>(The Argentine, 2008)과 파트 투 <체: 게릴라>(Guerrilla, 2008)로 나누어 상영했다. 이 작품에서는 베니치오 델 토로(Benicio Del Toro)가 혁명전사 체 게바라를 맡아 열연했다.

영화사적 평가

평자들은 스티븐 소더버그 감독을 ‘영화천재’라고 부르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그도 그럴 것이 그는 1989년 불과 26살의 나이에 그의 첫 장편영화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라는 작품으로 세계영화계에 혜성(彗星)같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당대 젊은이들이 갖고 있는 섹스에 대한 통념을 때로는 다큐멘터리(진실)처럼 때로는 픽션(거짓)처럼 보여주고 있는 이 특이한 영화로 소더버그는 그해 칸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거머쥐면서 거장들만 모셔지는 만신전(萬神殿)에 한 자리를 미리 예약했던 것이다. 소더버그가 이 영화로 황금종려상을 수상할 때 당시 심사위원장이었던 빔 벤더스는 “이 영화가 우리에게 영화의 미래에 대한 확신을 주었다”고 논평했으며, 많은 비평가들로부터 ‘<시민 케인> 이후 가장 인상적이고 중요한 데뷔작’이라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소더버그는 ‘<오션스> 시리즈’에서 보듯이 할리우드 메인스트림의 영역에서 성공적인 성과들을 거두면서도 동시에 틈틈이 비상업적인 작은 영화 혹은 독립영화를 만들며 다양한 행보를 보였다. 그는 2002년에는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Andrei Tarkovski)가 1972년도에 영화로 만들었던 스타니스와프 렘(Stanislaw Lem)의 철학적인 SF소설을 각색하여 <솔라리스>(Solaris, 2002)를 만들며 그의 작품들 가운데 가장 전위적(前衛的)인 경향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또한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의 비공식 속편이라 할 수 있는 <풀 프론탈>(Full Frontal, 2002)과 미국 중서부 지방의 노동자들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저예산 스릴러 영화 <버블>(Bubble, 2005) 등 미국사회의 이면을 드러내는 ‘작은 영화’들을 만들었다. 특히 소더버그는 기존 ‘홀드백 시스템’ 관행을 깨고 <버블>을 극장과 케이블 TV, DVD로 동시에 개봉하는 파격적인 배급방식을 시도했는데, 이는 ‘작은 영화들의 살 길을 모색한 의미 있는 실험’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영화평론가 김시무는 "<트래픽>(Traffic, 2000)을 그의 후기 걸작이라"고 평가하기도 한다.

작품목록

<예스: 9012 라이브>(Yes: 9012 Live, 미국, 1986, 다큐멘터리)
<전 지역 접근>(Access All Areas, 미국, 1985, 단편 비디오)
<윈스턴>(Winston, 미국, 1987, 단편)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Sex, Lies, and Videotape, 미국, 1989)
<카프카>(Kafka, 미국/프랑스, 1991)
<리틀 킹>(King of the Hill, 미국, 1993)
<언더니쓰>(Underneath, 미국, 1995)
<폴른 엔젤스: 조용한 방>(Fallen Angels: The Quiet Room, 미국, 1993, TV 시리즈)
<폴른 엔젤스: 전문인>(Fallen Angels: The Professional Man, 미국, 1995, TV 시리즈)
<그레이스 어네토미>(Gray’s Anatomy, 영국/미국, 1996)
<스키즈폴리스>(Schizopolis, 미국, 1996)
<조지 클루니의 표적>(Out of Sight, 미국, 1998)
<라이미>(Limey, 미국, 1999)
<에린 브로코비치>(Erin Brockovich, 미국, 2000)
<트래픽>(Traffic, 독일/미국, 2000)

<오션스 일레븐>(Ocean`s Eleven, 미국, 2001)
<풀 프론탈>(Full Frontal, 미국, 2002)
<솔라리스>(Solaris, 미국, 2002)
<케이 스트리트>(K Street, 미국, 2003, TV 시리즈)
<에로스>(Eros, 중국/프랑스/홍콩/이태리/미국, 2004) Michelangelo Antonioni, 등 공동연출
<오션스 트웰브>(Ocean’s Twelve, 미국, 2004)
<버블>(Bubble, 미국, 2005)
<빌딩 넘버 세븐>(Building No. 7, 미국, 2006, 단편)
<굿 저먼>(The Good German, 미국, 2006)
<오션스 13>(Ocean’s Thirteen, 미국, 2007)
<체: 아르헨티나인, 파트 원>(Che, The Argentine, 스페인/미국/프랑스, 2008)
<체: 게릴라, 파트 투>(Che, Guerrilla, 스페인/미국/프랑스, 2008)
<걸프렌드 체험>(The Girlfriend Experience, 미국, 2009)
<인포먼트>(The Informant!, 미국, 2009)
<만사 오케이>(And Everything Is Going Fine, 미국, 2010, 다큐멘터리)
<내가 마지막 본 마이클 그렉>(The Last Time I Saw Michael Gregg, 미국, 2011, 비디오)
<컨테이젼>(Contagion, 미국/아랍에미리트, 2011)
<헤이와이어>(Haywire, 미국/아일랜드, 2011)
<매직 마이크>(Magic Mike, 미국, 2012)
<경이로운 시간>(An Amazing Time: A Conversation About End of the Road, 미국, 2012, 단편 다큐멘터리)
<부작용>(Side Effects, 미국, 2013)
<나뭇가지 모양의 촛대 뒤에서>(Behind the Candelabra, 미국, 2013, TV 영화)
<닉>(The Knick, 미국, 2014, TV 시리즈)
<모자이크>(Mosaic, 미국, 2017, TV 영화)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스티븐 소더버그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