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21년 3월 1일 |
---|---|
사망 | 1995년 2월 26일 |
본명 | 잭 클레이튼(Jack Clayton) |
수상 | 1959년 뉴욕영화비평가협회 최우수감독상(<꼭대기 방>) |
데뷔 | <꼭대기 방>(Room at the Top, 영국, 1959) |
요약 잭 클레이튼의 장편 데뷔작인 <꼭대기 방>(Room at the Top)은 사회적 리얼리즘을 구현하고 있는 그의 대표작이다. 그는 미국에서 동명소설을 각색한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를 연출하여 일정한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생애와 이력
영국의 영화감독 겸 프로듀서. 잭 클레이튼(Jack Clayton)은 1921년 3월 1일 영국 동서섹스(East Sussex) 브라이튼에서 태어났다. 그는 15세 때 군부대 심부름꾼으로 일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영국 공군 소속 카메라맨으로 참전을 했다. 그는 <나폴리는 전쟁터>(Naples is a Battlefield, 1944)라는 단편 다큐멘터리 영화로 감독으로서의 경력을 시작했다. 클레이튼은 덴햄 스튜디오의 알렉산더 코다(Alexander Korda)에게 청탁을 하여 잔심부름꾼으로 영화 일을 시작하게 되었다. 여기서 차근차근 일을 익힌 그는 곧 조감독이 되었고, 그 다음에는 워너브라더스(Warner Brothers)의 편집부서에서 일을 하게 되었다.
전쟁 이후 그는 조연출은 물론이고 프로덕션 매니저, 프로듀서 등으로 역량을 발휘하다가, 1956년부터 정식 감독으로 데뷔를 했다. 그가 만든 최초의 단편 극영화는 <맞춤형 오버코트>(The Bespoke Overcoat, 1956)라는 작품인데, 그해 베니스국제영화제(Venice Film Festival)와 아카데미에서 각각 최우수 단편영화상을 수상했다. 그는 1983년 베니스국제영화제에서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그는 1995년 2월 26일 버크셔주 슬로우(Slough)에서 사망했다.
작품세계
잭 클레이튼은 <꼭대기 방>(Room at the Top, 1959)이라는 작품으로 앵그리 영맨(angry young men) 세대를 대표하는 감독의 한사람으로 부각되었다. 이 영화는 영국의 황량한 공장 도시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주인공인 청년 조(Joe Lampton)는 장래가 촉망되는 직업을 얻게 된다. 조는 사교의 폭을 넓히기 위해서 연극계를 기웃거리던 중 사장의 딸과 사귀게 된다. 아마추어 배우인 그녀는 조에게 푹 빠져들고, 조는 그녀와 결혼하여 사장의 사위가 되는 꿈을 꾼다. 하지만 조의 이러한 계획은 그가 극단에서 알게 된 연상의 프랑스 여자인 앨리스(Alice Aisgill)와의 열애(熱愛)로 인해서 차질을 빚게 된다.
이 처럼 이 영화는 성공과 욕망 사이에서 방황하는 한 청년의 고민과 분노를 리얼하게 보여줌으로써 평단의 환호를 받았다. <꼭대기 방>에서 앨리스로 열연한 시몬 시뇨레(Simone Signoret)는 그해 아카데미 최우수여우주연상을 수상했다. 클레이튼은 1959년 뉴욕영화비평가협회(New York Film Critics Circle Awards)의 최우수감독상을 받았다. 클레이튼이 미국에서 만든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1974)는 스콧 피츠제랄드(F. Scott Fitzgerald)의 동명의 소설을 각색한 것인데, 6백5십만 달러의 제작비를 들인 이 영화는 미국에서만 2천6백5십만 달러의 흥행수익을 올렸다.
롱아일랜드에 살고 있는 중서부 사람인 닉(Nick Carraway)이 어느 날 이웃의 대저택에 살고 있는 베일에 휩싸인 벼락부자인 개츠비(Jay Gatsby)와 알게 되면서 벌어지는 치정(癡情)에 얽힌 살인사건이 영화의 중심 얼개를 이룬다. 개츠비는 20대 초반에 필이 꽂힌 데이지(Daisy Buchanan)를 여전히 잊지 못하고 매주 화려한 파티를 열어 그녀의 환심을 사려한다. 하지만 그녀는 남편의 바람기 때문에 고통 받는 일개 유부녀에 불과했다. 연애의 환상과 결혼의 현실이 극명하게 대비되고 있는 것이다. 당대의 미남 스타 로버트 레드포드(Robert Redford)가 개츠비 역을 맡았고, 연기파 배우인 미아 패로우(Mia Farrow)가 데이지를 맡았지만, 미스캐스팅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영화사적 평가
잭 클레이튼은 동시대 동료 감독들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연출작품이 적지만 그는 사회적 리얼리즘(social realism)의 대변자라는 찬사를 받았으며, 나아가 영화감독들 가운데 가장 문학적이라는 평판을 얻었다. 사실상 그의 작품들 대부분이 고전 소설들을 각색한 것이었다. 영화평론가 김시무는 "<위대한 개츠비>는 지금까지 여러 버전이 제작되었지만, 클레이튼의 만든 오리지날 버전을 능가하지는 못했다"고 평가한다.
작품목록
<나폴리는 전쟁터>(Naples Is a Battlefield, 영국, 1944, 단편 다큐멘터리)
<맞춤형 오버코트>(The Bespoke Overcoat, 영국, 1956, 단편)
<꼭대기 방>(Room at the Top, 영국, 1959)
<이노센트>(The Innocents, 영국/미국, 1961)
<펌킨 이터>(The Pumpkin Eater, 영국, 1964)
<우리 엄마의 집>(Our Mother’s House, 영국, 1967)
<위대한 개츠비>(The Great Gatsby, 미국, 1974)
<사악한 것의 침입>(Something Wicked This Way Comes, 미국, 1983)
<쥬디스 히른의 외로운 열정>(The Lonely Passion of Judith Hearne, 영국, 1987)
<두 개의 스크린: 메멘토 모리>(Screen Two: Memento Mori, 영국, 1992, TV 시리즈)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