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안토니아 버드

다른 표기 언어 Antonia Bird 동의어 안토니아 제인 버드, Antonia Jane Bird
요약 테이블
출생 1951년 5월 27일
사망 2013년 10월 24일
본명 안토니아 제인 버드(Antonia Jane Bird)
수상 1994년 에딘버러국제영화제 영국신인작품상(Best New British Feature)(<프리스트>), 1995년 베를린국제영화제 최우수작품상(<프리스트>)
데뷔 <프리스트>(Priest, 영국, 1994)

요약 방송국에서 숱한 TV 드라마들을 연출하면서 능력을 인정받았던 안토니아 버드는 보수적인 가톨릭 교단의 방침에 반발하여 <프리스트>(Priest, 1994)라는 도발적인 영화를 만들었다. 이 작품의 성공을 계기로 버드는 사회파 영화들을 여러 편 연출했다.

안토니아 버드

Antonia Bird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영국의 영화감독 겸 제작자. 안토니아 버드(Antonia Jane Bird)는 1951년 5월 27일 영국 런던의 켄싱턴(Kensington)에서 태어났다. 그녀는 런던 로열코트극장(Royal Court theatre)에서 6년간 연출가로 활동을 했으며, 배우 로버트 칼라일(Robert Carlyle)과 함께 4-웨이 필름프로덕션(4-Way film production)을 운영하기도 했다. 1980년대 중반 텔레비전으로 옮긴 버드는 <이스트 엔더>(EastEnders, 1985-1986), <사상자>(Casualty, 1986-1987), 그리고 <씬에어>(Thin Air, 1988) 등과 같은 TV 시리즈물을 다수 연출하면서 연출역량을 인정받았다. 1993년 버드는 에딘버러국제텔레비전축제(Edinburgh International Television Festival)에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했으며, 영국아카데미(BAFTA)에서도 베스트 드라마상을 받았다. 버드는 이안 엘트(Ian Ilett)와 결혼했다. 그녀는 2013년 10월 24일 사망했다.

작품세계

텔레비전 연출가로 확고한 입지를 굳힌 안토니아 버드는 <프리스트>(Priest, 1994)라는 작품으로 장편극영화 감독으로 데뷔를 한다. 영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작가 중 한사람인 지미 맥거번(Jimmy Mcgovern)이 시나리오를 쓰고 BBC 방송국의 걸출한 여성감독인 버드가 연출을 맡은 이 영화는 가톨릭 교단(敎團)이 금기시 하고 있는 소재들만을 의도적으로 전면에 내세운 참으로 논쟁적인 영화다. 버드 감독은 “교황의 콘돔사용 불허 발언을 듣고 이 영화의 연출을 결심했다”고 밝힌 바 있다. 즉 감독은 ‘에이즈’가 만연하고 있는 시대에 현실을 무시하고 교리만을 고집하는 가톨릭 교단에 항거하는 뜻으로 이 작품을 만든 것이다. 이 영화는 신부(神父)의 사적인 연애, 동성애, 근친상간, 고해성사 등과 같은 첨예한 문제들을 모티브로 하여 교회의 법과 인간의 욕망 사이에서 고뇌하는 한 신부의 이야기를 탁월한 플롯구성으로 설득력 있게 보여준다.

프리스트

Priest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영화는 1994년 토론토국제영화제(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관객상을 받았으며, 그 해 열린 에딘버러국제영화제(Edinburgh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최우수 영국신인작품상(Best New British Feature)을 받았다. 그리고 1995년 베를린국제영화제에서도 최우수작품상인 테디상(Teddy Award)을 수상했다. <프리스트>의 성공에 힘입어 버드는 미국에서 <미친 사랑>(Mad Love, 1995)의 연출을 맡게 되었고, 이후에도 <페이스>(Face, 1997), <탐욕>(Ravenous, 1999), 그리고 <크로스 마이 마인드>(Cross My Mind, 2012) 같은 극영화들을 연출했다.

버드는 1999년 그녀의 절친한 협력자인 배우 칼 라일을 주연으로 기용하여 <탐욕>(Ravenous, 1999)이라는 공포영화를 제작했는데, 이는 1840년대 캘리포니아에서 실제로 있었던 식인풍습(cannibalism)을 주된 내용으로 다루고 있다. 하지만 흥행은 물론이고 비평에서도 별다른 성과를 얻지 못했다. 버드는 텔레비전과 영화를 오가면서 활발하게 연출활동을 했다.

영화사적 평가

영화평론가 김시무에 따르면, "안토니아 버드는 일련의 작품들을 통해서 사회문제에 대한 관심을 보여 왔는데, 실제로 그녀는 영국 리얼리즘 영화의 거장(巨匠) 켄 로치(Ken Loach)를 무척 존경한다"고 한다. 그녀의 데뷔작인 <프리스트>는 영국 사회파 영화의 전통을 이으면서 영화가 지닌 비판의 기능을 웅변적으로 보여주었다.

작품목록

<잠수함 승무원>(Submariners, 영국, 1983, TV 영화)
<이스트 엔더>(EastEnders, 영국, 1985-1986, TV 시리즈) Dermot Boyd 외 공동연출
<사상자>(Casualty, 영국, 1986-1987, TV 시리즈) Jeremy Brock 외 공동연출
<씬에어>(Thin Air, 영국, 1988, TV 미니시리즈)
<국경의 남쪽>(South of the Border, 영국, 1988, TV 시리즈)
<아파치 요새: 태양의 언덕>(The Bill: Fort Apache- Sun Hill, 영국, 1989, TV 시리즈)
<돈 라이크 먼데이즈>(The Bill: Don't Like Mondays, 영국, 1989, TV 시리즈) Terry Marcel 골동연출
<사라센: 스타크로스>(Saracen: Starcross, 영국/독일, 1989, TV 시리즈)
<사라센: 내년에는 예루살렘에서>(Saracen: Next Year in Jerusalem, 영국/독일, 1989, TV 시리즈)
<와인사업>(TECX: The Wine Business, 영국, 1990, TV 시리즈)
<바다가 모든 것을 삼킨다>(TECX: The Sea Takes It All, 영국, 1990, TV 시리즈)
<구인>(TECX: Getting Personnel, 영국, 1990, TV 시리즈)
<벽에 글쓰기>(TECX: Writing on the Wall, 영국, 1990, TV 시리즈)
<남자들의 방>(The Men's Room, 영국, 1991–, TV 미니시리즈)
<형사 모스: 완전한 유죄>(Inspector Morse, Episode 4: Absolute Conviction, 영국/미국, 1992, TV 시리즈)
<남성의 종말>(A Masculine Ending, 영국, 1992, TV 영화)
<풀 스트레치: 상아탑>(Full Stretch, Episode 1: Ivory Tower, 영국, 1993, TV 시리즈)
<풀 스트레치: 캐딜락의 꿈>(Full Stretch, Episode 2: Cadillac Dreams, 영국, 1993, TV 시리즈)
<풀 스트레치: 가족문제>(Full Stretch, Episode 3: Family Affairs, 영국, 1993, TV 시리즈)
<피크 프랙티스: 성장통>(Peak Practice, Episode 3: Growing Pains, 영국, 1993, TV 시리즈)
<피크 프랙티스: 충동적 행위>(Peak Practice, Episode 5: Impulsive Behaviour, 1993, TV 시리즈)
<스크린연극: 세이프>(Screenplay, Episode 4: Safe, 영국, 1993, TV 시리즈)
<프리스트>(Priest, 영국, 1994)
<미친 사랑>(Mad Love, 미국, 1995)
<페이스>(Face, 영국, 1997)
<탐욕>(Ravenous, 체코/영국/미국, 1999)
<캐어>(Care, 영국, 2000, TV 영화)
<중독치료>(Rehab, 영국, 2003, TV 영화)
<햄버거 셀>(The Hamburg Cell, 영국, 2004, TV 영화)
<첩보원 에피소드 4-1>(Spooks: Episode #4.1, 영국, 2005, TV 시리즈)
<첩보원 에피소드 4-2>(Spooks: Episode #4.2, 영국, 2005, TV 시리즈)
<크래커>(Cracker, 영국, 2006, TV 영화)
<오프 바이 허트>(Off by Heart, 영국, 2009, TV 다큐멘터리)
<정열의 여인: 에피소드 1>(A Passionate Woman: Episode #1.1, 영국, 2010, Kay Mellor 공동연출
<정열의 여인: 에피소드 2>(A Passionate Woman: Episode #1.2, 영국, 2010) Kay Mellor 공동연출
<크로스 마이 마인드>(Cross My Mind, 영국/네덜란드/벨기에, 2012)
<빌리지>(The Village, 영국, 2013–, TV 시리즈)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안토니아 버드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