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바흐치야르 후도이나자로프

다른 표기 언어 Bachtijar Chudojnasarov , Bakhtyar Khudojnazarov
요약 테이블
출생 1965년, 타지키스탄 두샨베(Dushanbe)
수상 1993년 베니스영화제 은사자상(<코시 바 코시>), 1999년 낭트3대륙영화제 최우수작품상(<루나 파파>), 1999년 도쿄국제영화제 예술공로상(<루나 파파>)
데뷔 <형제>(Brother, 1991)

요약 바흐치야르 후도이나자로프는 타지키스탄 출신 영화감독이다. 데뷔작 <형제>로 중앙아시아 영화의 모더니즘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이후 새로운 주제와 초현실주의적인 영상미의 <코시 바 코시>(Kosh Ba Kosh, 1993), <루나 파파>(Luna Papa, 1998)를 연출하며 타지키스탄을 대표하는 감독으로 자리매김했다.

바흐치야르 후도이나자로프

Bakhtyar Khudojnazarov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 및 이력

바흐치야르 후도이나자로프는 1965년 소비에트연방 시절 타지키스탄 두샨베(Dushanbe)에서 태어났으며, 그의 부친 도랏 후도이나자로프(Dawlat Khudojnazarov)는 촬영감독이었다. 1982년 바흐치야르 후도이나자로프는 18살의 어린 나이로 타지크필름(Tadjikfilm Studios)에 들어가 여러 TV와 라디오 프로그램의 연출부이자 저널리스트로 활동을 시작했다. 타지크필름에서 2년간 경력을 쌓은 그는 모스크바 국립영화학교(VGIK)에 입학해 6년간 연출을 공부했으며 이 시절에 두 편의 단편영화 <조커>(Jokers, 1986), <믿거나 말거나>(Believe It Or Not, 1988)와 단편다큐멘터리 <헌팅 위드 독>(Hunting with Dogs, 1987)을 연출하며 경험을 쌓았다. 첫 장편 <형제>(Brother, 1991)을 시작으로 <코시 바 코시>(Kosh Ba Kosh, 1993), <루나 파파>(Luna Papa, 1998)로 국제적으로 잘 알려진 중앙아시아 감독의 반열에 올랐다. 타지키스탄의 내전 때문에 1993년부터 독일 베를린으로 이주해 그곳에서 영화 활동을 이어갔다. 2000년에는 모스크바영화제에서 심사위원을 역임하기도 했다.

작품 세계

<형제>

(Brother, 1991)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후도이나자로프는 1991년 첫 장편 <형제>(Brother)를 발표했다. 가난한 형제가 의사 아버지를 찾아가는 로드무비인 이 영화는 형제의 철도여행을 통해 타지키스탄 교외 지역 사람들의 삶과 문화를 담담하게 보여주었다. 만하임영화제에서 그랑프리를 받은 이 작품은 세계 여러 영화제에서 상영되었고, 중앙아시아 영화의 모더니즘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으며 감독은 단번에 중앙아시아 영화계의 주목받는 신예로 떠올랐다. <형제>에서 시작된 ‘도시의 청년들’, ‘고향으로의 여행’ 이라는 주제는 이후 그의 영화에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테마가 되었다.

한편 그가 <형제>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던 그즈음 중앙아시아의 여러 나라는 소비에트연방으로부터의 독립하며 이데올로기와 사회구조의 변혁기를 맞이했다. 게다가 타지키스탄은 1992년부터 4년간 내전이 발발해 자국 내 영화 제작이 완전히 불가능해졌다. 때문에 영화인들은 러시아와 유럽 등지로 뿔뿔이 흩어졌다. 후도이나자로프 역시 차기작 완성의 어려움을 겪었다. 그러나 <형제>로 그의 재능을 알아 본 다국적 관계자들은 두 번째 영화 제작을 위해 적극적인 합작을 모색했고 그 결과 <코시 바 코시>(Kosh Ba Kosh, 1993)가 완성되었다. 이 영화는 1992년 타지키스탄의 내전을 시대적 배경으로, 폭력과 살인이 비일비재한 도시 외곽에서 지내는 사람들의 이야기다. 혼란스러운 상황에 놓인 마을 사람들은 도박에 빠지는 등 현실을 외면하려하고, 러시아 대도시에서 성장한 여주인공 미라는 이런 마을 사람들과는 다르게 살아보려 노력한다. “극히 사실주의 영화지만, 창의적인 시각적 공간과 연출 덕에 초현실주의적인 요소와 닿아있다”(PIFF)는 평가를 받은 이 영화로 후도이나자로프는 베니스영화제에서 은사자상을 수상했다.

<루나 파파>

(Luna Papa, 1998)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코시 바 코시>에서 보여준 그의 초현실적인 경향은 <루나 파파>(Luna Papa, 1998)에 이르러 더욱 강화되었다. <루나 파파>는 환상적인 에피소드와 영상이 돋보이는 영화다. 모래바람이 불어 늘 흙빛인 마을, 연극을 보러 갔다가 달빛아래 어떤 목소리에 이끌려 임신한 소녀, 소녀가 사랑에 빠진 남자와 결혼하려는 순간 하늘에서 떨어지는 소, 참전으로 행동이 이상해진 소녀의 오빠가 행하는 기적 등 <루나 파파>는 동화 혹은 전설 같은 묘사가 두드러졌다. <코시 바 코시>와 마찬가지로 다국적 합작에 의해 제작된 이 영화는 많은 예산과 각국의 유명 배우들이 출연해 화제를 모았고, 낭트 3대륙 영화제 최우수작품상을 수상하는 등 세계 평단에서도 인정받았다. <루나 파파>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알려진 중앙아시아 영화 중 한 편으로 손꼽힌다.

후도이나자로프는 2003년, 6년의 공백을 깨고 <양복 한 벌>(The Suit)을 선보였다. 이 영화는 어촌 출신의 열여덟 살 세 친구가 쇼윈도에 걸린 명품 양복을 본 이후 그것을 갖기 위해 벌이는 여러 해프닝을 그린 블랙코미디다. 이후 후도이나자로프는 몇 편의 러시아 영화에 프로듀서로도 활동했으며 근작으로 <웨이팅 포 더 씨>(Waiting for the Sea, 2012)를 발표했다.

작품 목록

<조커>(Shutniki, Jokers, 소비에트연방, 1986, 단편)
<헌팅 위드 독>(Sobachija Okhota, Hunting with Dogs, 소비에트연방, 1987, 단편다큐멘터리)
<믿거나 말거나>(Verish Nje Verish, Believe It Or Not, 소비에트연방, 1988, 단편)
<형제>(Bratan, Brother, 타지키스탄, 1991)
<코시 바 코시>(Kosh Ba Kosh, 독일/러시아/일본/스위스/타지키스탄, 1993)
<루나 파파>(Luna Papa, 우즈베키스탄/타지키스탄/일본/독일/오스트리아/스위스/프랑스/러시아, 1998)
<마이 스윗 홈>(My Sweet Home, 독일/그리스, 2001, 배우)
<양복 한 벌>(Shik, The Suit, 러시아/독일/프랑스/이탈리아/우크라이나, 2003)
<라긴>(Ragin, 오스트리아/러시아, 2004, 프로듀서)
<선박 ‘탕고’>(Tanker ’Tango’, 러시아, 2006)
<가가린의 손자>(Vnuk Gagarina, Gagarin’s Grandson, 러시아, 2007, 프로듀서)
<위다웃 맨>(Bez muzhchin, Without Men, 러시아, 2011, 프로듀서)
<웨이팅 포 더 씨>(Waiting for the Sea, 러시아/벨기에/프랑스/카자흐스탄/독일, 2012)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바흐치야르 후도이나자로프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