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아르다크 아미르클로프

다른 표기 언어 Ardak Amirkulov
요약 테이블
출생 1955년, 카자흐스탄 잠불(Djambul)
본명 아르다크 아미르클로프(Ardak Amirkulov)
데뷔 <오트라르의 죽음>(The Fall of Otrar, 1991)

요약 아르다크 아미르클로프는 카자흐스탄의 영화감독이다. 현재와 과거를 접목하고, 혼란한 사회에서 방황하는 젊은이들을 그린 영화로 카자흐스탄 뉴웨이브의 중요인물로 손꼽힌다. 대표작으로는 <오트라르의 죽음>(The Fall of Otrar, 1991)과 <1997. 루스템의 그림 노트>(1997. Rustem’s Notes with Illustrations, 1998) 등이 있다.

생애와 이력

아르다크 아미르클로프는 1955년 잠불(Djambul) 州 악-쿨(Ak-Kul)에서 태어났다. 대학에서 철학을 전공한 그는 1984년 VGIK출신인 세르게이 솔로보프(Sergei Solovyov) 교수의 워크숍에서 영화를 배웠다. 1980년대 후반부터 카자흐스탄 영화계는 솔로보프 워크샵 출신의 젊은 영화인들이 새로운 영화를 선보이며 카자흐 뉴웨이브(Kazakh New Wave)를 이끌었는데, 아미르클로프 역시 이들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그는 공부를 다 마치기도 전에 카자흐필름(Kazakhfilm)으로부터 장편영화의 연출을 제안 받아 <오트라르의 죽음>(The Fall of Otrar, 1991)을 발표했다. 그리고 1994년부터 3년간 카자흐필름의 대표를 역임하기도 했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는 알마아타 영화협회(Alma Ata Film Institute)에서 젊은이들에게 연출을 가르쳤는데, 그 경험을 바탕으로 <1997. 루스템의 그림 노트>(1997. Rustem’s Notes with Illustrations, 1998)를 만들었다.

작품 세계

소연방 해체기에 카자흐스탄에서는 민족의 역사를 위대한 과거로 재조명한 역사영화들이 많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아르다크 아미르클로프의 데뷔작 <오트라르의 죽음> 또한 이 같은 프로젝트로 시작되었다. 4년의 제작기간을 거쳐 완성된 이 영화는 13세기 칭기스칸이 호라즘(Khwarezm)으로 세력을 확장하던 시기를 배경으로, 칭기스칸에게 복속되기를 거부하며 전쟁을 벌이다 죽어간 오트라르(카자흐스탄 남부) 지역의 사람들의 이야기다. 이 영화는 두 개의 서로 다른 에피소드로 이루어졌는데 전반부는 오트라트 군대의 리더인 주인공을 중심으로 비극적 역사와 개인적 삶의 관계를 중심으로 전개되었으며, 후반부는 후대 사람들의 대화를 통해 역사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하는 시각에 중점을 두었다. 환상처럼 보이는 세피아색조의 흑백영상, 광활한 풍경과 잘 꾸며진 궁전의 공간적 대비, 고문장면을 비롯해 피 흘리는 민중의 생생한 묘사 등이 관객의 눈을 사로잡았다. “현재와 역사를 접목하는 예리한 통찰력을 보여주었다”(캘리포니아대학 동아시아연구회)고 평가받는 이 영화는 베를린영화제, 싱가포르영화제 등에 초청되었고 몬트리올 영화제에서는 심사위원상을 수상했다. 중앙아시아 영화 전문가 굴나라 아비키예바는 이 영화가 타르코프스키(Andrey Tarkovsky)의 <안드레이 류블로프>(The Passion According To Saint Andrew, 1966), 에이젠슈테인(Sergey Eisenstein)의 <알렉산더 네브스키(Alexander Nevsky, 1938) 그리고 구로사와 아키라(Akira Kurasawa), 베르나르도 베르톨루치(Bernardo Bertolucci)의 영향을 받았다는 의견을 내기도 했다(『Iskusstvo kino』 인터뷰).

아미르클로프는 1994년부터 3년간 카자흐필름의 대표를 역임했다. 그리고 이 시기동안 카자흐 정신의 거울로 여겨지는 시인이자 철학자 ‘아보이’란 인물을 내세운 두 번째 장편 <아보이>(Abai, 1995)를 완성했다. 1997년부터 2001년까지는 알마아타 영화협회(Alma Ata Film Institute)에서 젊은이들에게 연출을 가르쳤는데, 강의를 시작한 첫 해의 경험이 그에게 많은 영감을 주었고 그 결과 <1997. 루스템의 그림 노트>(1997. Rustem’s Notes with Illustrations, 1998)가 완성되었다. 이 영화는 매사 게으르고 무성의한 젊은이 루스템이 일하던 공원에서 해고당한 뒤 도시를 떠돌다 미모의 미스터리한 여인을 만나고, 그녀와 함께 자신들의 눈에 비친 세상을 그림이나 글로 표현한다는 내용의 영화다. <1997. 루스템의 그림 노트>는 도시 알마티를 무기력함이 뒤덮인 곳으로 표현했는데 이는 마르케스(Gabriel Garcia Marquez)가 소설 『백 년 동안의 고독』에서 마콘도 마을을 묘사한 방식으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아미르클로프는 한 인터뷰에서 왜 1997년인가라는 질문에 대해 학생들과의 개인적인 경험뿐만 아니라, 그 해 카자흐스탄의 수도가 알마티에서 아스타나(Astana)로 옮겨지고 홍콩이 중국에 반환되는 등 일련의 사건들이 젊은이들의 불안과 무기력을 가져왔기 때문이었다고 말한 바 있다.

아미르클로프는 카자흐스탄 뉴웨이브의 대표자였으며, 이후의 새로운 세대까지 이끌어낸 중요한 감독으로 평가받고 있다. 에르멕 쉬나르바예프(Ermek Shinarbaev)와 협업하며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고, 최근에는 카자흐스탄의 대문호 칭기스 아이트마노프(Chingiz Aitmatov)의 소설을 원작으로 스탈린시절을 다룬 <굿바이 굴사리>(Goodbye Gulsary, 2007)를 발표해 카자흐 영화계로부터 다시 한 번 주목받았다.

작품 목록

<헌터>(Hunter, 소비에트연방, 1983, 단편)
<멋진 여행지 풍경에서의 전략게임>(Tactical Games in a Well-Travelled Landscape, 소비에트연방, 1986, 옴니버스)
<우리의 사랑을 영원히>(Keep Our Love Forever, 소비에트연방, 1987, 단편)
<오트라르의 죽음>(The Fall of Otrar, 카자흐스탄, 1991)
<아보이>(Abai, 카자흐스탄/프랑스, 1995, 감독/공동각본)
<1997. 루스템의 그림 노트>(1997. Rustem’s Notes with Illustrations, 카자흐스탄, 1998)
<굿바이 굴사리>(Goodbye Gulsary, 카자흐스탄, 2007)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Cinemas of the Other: A Personal Journey with Film-makers from Iran and Turkey』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아르다크 아미르클로프 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