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치토 S. 로노

다른 표기 언어 Chito S. Rono , Chito S. Roño 동의어 시토 카이코, Sixto Kayko
요약 테이블
출생 1954년 4월 26일, 필리핀 마닐라
본명 시토 카이코(Sixto Kayko)
수상 1987년 메트로마닐라영화제 작품상(<올롱가포... 위대한 아메리칸 드림>), 1998년 아시아태평양영화제 심사위원상(<레아 스토리>)
데뷔 <프라이빗 쇼>(Private Show, 1985)

요약 치토 S. 로노는 필리핀 영화감독이다. <레아 스토리>(Lea's Story, 1998)를 비롯해 필리핀 서민의 현실을 반영하고 여성의 굴곡진 삶을 다룬 멜로드라마로 국제적 명성을 얻었고, 호러영화 <팽 슈이>(Feng shui, 2004)로 필리핀 박스오피스 기록을 세우며 작품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감독으로 인정받고 있다.

치토 S. 로노

Chito S. Rono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데뷔와 초창기 활동

치토 로노는 1954년 마닐라에서 태어났다. 필리핀의 UP Film Center에서 방송을 전공한 후, 뉴욕과 로마에서 영화 공부를 이어가며 스크립터, 촬영가로 활동해 경력을 쌓았다. 필리핀으로 돌아온 그는 가난으로 아이를 잃고 프라이빗 섹시 클럽에서 댄서로 일하게 된 여인이 파트너와 사랑에 빠져 새 삶을 꿈꾸지만 결국 실패한다는 내용의 <프라이빗 쇼>(Private Show, 1985)를 연출해 감독으로 데뷔했다. 이 멜로드라마는 자국 내에서 큰 반향을 일으켰고 시카고영화제에 필리핀 대표작으로 출품될 만큼 평단의 지지를 얻었다. 그는 데뷔작에서는 자신의 본명을 사용했지만 해외 진출을 염두에 두고 이후에는 로마에서 사용했던 이름 치토 로노를 사용했다. 그리고 그의 두 번째 영화 <올롱가포... 위대한 아메리칸 드림>(Olongapo... The Great American Dream, 1987)는 미군기지 수비크(Subic) 사람들의 희망과 좌절을 다룬 내용으로 메트로 마닐라 영화제(Metro Manila Film Festival) 작품상을, <달에게 물어봐>(Ask the Moon, 1988)는 가와드 유리한 어워드(Gawad Urian Awards)에서 작품상을 수상하며 데뷔 초부터 필리핀 평단의 주목을 받았다.

멜로드라마

<레아 스토리>

Lea's Story, 1998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치토 로노는 호러부터 어드벤처 판타지, 뮤지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르영화를 만들었지만 그가 가장 주목받은 작품들은 대부분 필리핀 서민의 현실을 반영하고 그 속에서 여성의 굴곡진 삶을 다룬 멜로드라마였다. 그의 대표작으로 손꼽히는 <카일란 카 마지징 아킨>(Kailan ka magiging akin, 1991)은 가난 때문에 대리모가 된 한 여인의 일생을 그리며 메트로 마닐라 영화제에서 11개 부문을 수상하는 대기록을 세웠고, 아버지가 다른 두 아이를 혼자 힘으로 키우며 어머니이자 여자로서 자신의 인생에 대해 고민하는 여성 레아 이야기 <레아 스토리>(Lea's Story, 1998)는 아시아태평양영화제(Asia-Pacific Film Festival)에서 심사위원상을 받기도 했다. 가난 때문에 온갖 나쁜 일도 서슴지 않던 남자가 재벌과 결혼한 옛 여자 친구의 아이를 납치하게 된 과정을 그린 <리 비다 로사>(The Life of Rosa, 2001), 남편을 따라 영국으로 이주한 여인이 호스피스로 일하며 그곳에서 정착해가는 과정을 다룬 <런던 간호원>(London Caregiver, 2008) 등으로도 관객과 평단의 찬사를 받았다.

2000년대 들어 그는 호러영화 <팽 슈이>(Feng shui, 2004)로 필리핀 박스오피스 기록을 세웠고, 여러 편의 인기 TV시리즈를 연출해 활동 영역을 넓히기도 했다. 카이로 국제영화제에서 예술공헌상(Youssef Chahine)을 수상하기도 한 그는 최근 정신지체를 가진 주인공을 주위 사람들이 이해해가는 과정을 그린 <더 트라이얼>(The Trial, Almost a Love Story, 2014)을 발표하는 등 왕성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작품 목록

<프라이빗 쇼>(Private Show, 필리핀, 1985)
<올롱가포...위대한 아메리칸 드림>(Olongapo... The Great American Dream, 필리핀, 1987)
<달에게 물어봐>(Itanong mo sa buwan, Ask the Moon, 필리핀, 1988)
<바레렁과 황금 인어>(Si Baleleng at ang gintong sirena, Baleleng and the Golden Mermaid, 필리핀, 1989)
<카사라란 방 삼바힌 카>(Kasalanan bang sambahin ka?, 필리핀, 1990)
<긴 순간>(Bakit kay tagal ng sandali?, A Moment Too Long, 필리핀, 1991)
<카일란 카 마지징 아킨>(Kailan ka magiging akin, 필리핀, 1991)
<스텔라 마그탕골>(Stella Magtangol, 필리핀, 1992)
<나리토 앙 부소 코>(Narito ang puso ko, 필리핀, 1992)
<아이카와 랑>(Ikaw lang, 필리핀, 1993)
<민산 랑 키탕 이비긴>(Minsan lang kitang iibigin, 필리핀, 1994)
<바킷 파 키타 미나할>(Bakit pa kita minahal, 필리핀, 1994)
<세라라다>(Separada, 필리핀, 1994)
<다하스>(Dahas, 필리핀, 1995)
<이스케이프>(Eskapo, Escape, 필리핀, 1995)
<파타힌 사 신다크 시 바르바라>(Patayin sa sindak si Barbara, 필리핀, 1995)
<아이스토카>(Istokwa, 필리핀, 1996)
<사랑은 어디에>(Nasaan ang puso, Where Is the Heart, 필리핀, 1997)
<쿠라차, 쉬지 못하는 여인>(Curacha ang babaeng walang pahinga, Curacha: A Woman Without Rest, 필리핀, 1998, 감독/각본)
<레아 스토리>(Bata bata paano ka ginawa?, Lea’s Story, 필리핀, 1998)
<앙 바베 사 빈타나>(Ang babae sa bintana, 필리핀, 1999)
<히나하납-하납 키타>(Hinahanap-hanap kita, 필리핀, 1999)
<라로 사 바가>(Laro sa baga, 필리핀, 2000)
<스프리트 워리어스>(Spirit Warriors, 필리핀, 2000, 감독/각본)
<리 비다 로사>(La vida Rosa, The Life of Rosa, 필리핀, 2001)
<야마시타>(Yamashita: The Tiger’s Treasure, 필리핀, 2001)
<다카다 70>(Dekada ’70, The Seventies, 필리핀, 2002)
<스프리트 워리어스 2>(Spirit Warriors: The Shortcut, Spirit Warriors 2, 필리핀, 2003, 감독/각본)
<팽 슈이>(Feng shui, 필리핀, 2004, 감독/각본)
<수코브>(Sukob, The Wedding Curse, 필리핀, 2006, 감독/각본)
<런던 간호원>(Caregiver, London Caregiver, 필리핀, 2008)
(T2, 필리핀, 2009)
<하녀와 왕자>(Emir, 필리핀, 2010, 감독/각본)
<부롱>(Bulong, 필리핀, 2011, 감독/각본)
<더 힐링>(The Healing, 필리핀, 2012, 감독/각본)
<침범>(Shake Rattle and Roll Fourteen: The Invasion, 필리핀, 2012)
<다이나마이트 피싱>(Badil, Dynamite Fishing, 필리핀, 2013)
<골든 보이>(Boy Golden, Boy Golden: The Arturo Porcuna Story, 필리핀, 2013, 감독/각본)
<더 트라이얼>(The Trial, Almost a Love Story, 필리핀, 2014)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치토 S. 로노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