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데이비스 구겐하임

다른 표기 언어 Davis Guggenheim 동의어 필립 데이비스 구겐하임, Philip Davis Guggenheim
요약 테이블
출생 1963년 11월 3일, 미국 세인트루인스
본명 필립 데이비스 구겐하임 (Philip Davis Guggenheim)
수상 2007 아카데미 최우수 다큐멘터리상(<불편한 진실>), 2010 선댄스 영화제 최우수 다큐멘터리 관객상(<웨이팅 포 슈퍼맨>)
데뷔 <브레이킹 앤드 엔터링>(Breaking and Entering, 1992)

요약 데이비스 구겐하임은 미국의 영화감독으로 주로 다큐멘터리를 연출했다. 영화는 물론 많은 수의 텔레비전 드라마 연출을 병행하면서 활동하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불편한 진실>(An Inconvenient Truth, 2006), <웨이팅 포 슈퍼맨>(Waiting for ‘Superman’, 2010), <잇 마이트 겟 라우드>(It Might Get Loud, 2008) 등이 있다.

데이비스 구겐하임

Davis Guggenheim

ⓒ 다음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데이비스 구겐하임은 영화감독이자 제작자인 찰스 구겐하임(Charles Guggenheim)과 마리온 데이비스(Marion Davis)의 사이에서 1963년 11월 3일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인스에서 태어났다. 본명은 필립 데이비스 구겐하임(Philip Davis Guggenheim)으로, 1986년 브라운대학교를 졸업한 후 경력의 초창기에는 주로 TV 드라마를 연출했다. 2004년에는 미국의 TV 채널 HBO에서 제작한 서부극 <데드우드>(Deadwood)의 첫 번째 시즌에 제작자 겸 감독으로 참여했는데, 데이비드 밀치(David Milch)가 만든 이 TV 시리즈는 미국 서부에서 성장하고 있던 한 마을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다룬 것으로 티모시 올리펀트(Timothy Olyphant)가 주연을 맡았다. 이 TV 드라마에서 구겐하임은 총 4편의 에피소드를 연출했다.

2006년에는 미국의 특수부대 델타포스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 TV 드라마 <더 유닛>(The Unit)의 파일럿 에피소드를 연출했다. 그의 이력에서 가장 중요한 작품이 된 작품은 2006년에 만든 다큐멘터리 <불편한 진실>(An Inconvenient Truth, 2006)이다. 연출은 물론 제작에 참여한 이 영화는 전 미국 부통령 엘 고어(Al Gore)의 지구 온난화에 관련된 국제적 활동에 관한 다큐멘터리로 2007년 아카데미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한다.

2008년에는 민주당 전당대회에 방영된 대통령 후보 버락 오바마에 관한 영상을 연출했으며, 같은 해 세계적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Jimmy Page), 디 에지(The Edge) 그리고 잭 화이트(Jack White)의 라이브를 다룬 다큐멘터리 <잇 마이트 겟 라우드>(It Might Get Loud, 2008)를 연출한다. 역시 같은 해에 미국의 공공교육의 실패에 대한 영화인 <웨이팅 포 슈퍼맨>(Waiting for ‘Superman’, 2010)을 만든다. 구겐하임은 이 작품에 대해 “나는 사람들이 이 영화에 대해 동의하거나 혹은 반대하거나 할 것을 알고 있다. 하지만 이 영화는 좋은 학교를 찾고자 노력하는 가족들에 대한 것이다”라고 밝혔다. 이 영화는 2010년 선댄스 영화제에서 최우수 다큐멘터리 부문 관객상을 받았다.

이후 그는 세계적 밴드 U2에 관한 영화 (From the Sky Down, 2011)를 발표하는데, 이 작품은 2011년 토론토국제영화제의 개막작이 된다. 2013년에 발표한 단편 다큐멘터리 <더 드림 이스 나우>(The Dream is Now, 2013)는 미국에서 시민으로 미등록된 젊은이들과 그들의 부모들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작품이고, 2014년 작 <말랄라>(He Named Me Malala, 2015)는 파키스탄의 여성운동가인 말랄라 유사프자이(Malala Yousafzai)에 대한 다큐멘터리이다.

구겐하임은 아엠디비(IMDB) 산하의 박스오피스 모조(Box Office Mojo)가 선정한 최고의 다큐멘터리 100편에 <불편한 진실>(An Inconvenient Truth, 2006), <웨이팅 포 슈퍼맨>(Waiting for ‘Superman’, 2010), <잇 마이트 겟 라우드>(It Might Get Loud, 2008) 등 총 3편의 영화가 선정된 유일한 다큐멘터리 감독이다. 영화 <그레이시 스토리>(Gracie, 2007)의 촬영 현장에서 만난 엘리자베스 슈(Elisabeth Shue)와 결혼하여 슬하에 세 명의 자녀를 두고 있다.

작품세계

데이비스 구겐하임은 TV와 영화 두 분야에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하고 있다. TV에서 시즌에 한 두 작품을 연출하면서 해당 작품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따라가는 모습을 보였다면, 영화에서는 자신만의 개성을 뚜렷하게 나타낸다. 가장 대중적으로 또 비평적으로 성공한 작품 세 편을 통해 그의 작품세계를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작품인 <불편한 진실>은 지구의 기후변화를 다룬 다큐멘터리로, 전 미국 부통령 엘 고어가 멀티미디어를 이용해 지구온난화의 경각심을 일으키기 위한 프리젠테이션이 영화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패배한 후 엘 고어는 지구의 기후 변화에 반대하는 투쟁에 나서는 행보를 보이는데, 그 연장선상에서 '슬라이드 쇼‘라고 명명된 특별한 멀티미디어 프리젠테이션을 가지고 전 세계를 돌아다니며 자신의 쇼를 진행한다. 엘 고어 그리고 영화가 의도하는 것은 기후 변화로 인한 환경재난의 모습을 다양하고 실제적으로 보여줌으로써 관련 사항에 대한 경각심을 고취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관련된 조치들이 실제로 조속하게 취해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면서 영화를 보는 관객들이 어떻게 하면 기후 변화에 개인적으로 기여할할 수 있는지를 제시하면서 끝을 맺는다. 영화의 구조는 일반적인 다큐멘터리 영화의 구조를 따라가면서도 영화 속에서 파헤쳐지는 사실들과 엘 고어의 개인적 삶에서의 사건들이 중첩되면서 나타나는 극적인 요소를 기반으로 한 장면들이 등장한다. 단순히 무미건조하고 기계적으로 단순히 사실들을 나열하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드라마적 줄거리를 가진 사건들을 도덕적, 감정적 맥락에서 다루고 있다. 이 영화는 2007년 아카데미 주제가상과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한다.

불편한 진실

An Inconvenient Truth

ⓒ 다음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두 번째 작품인 <웨이팅 포 슈퍼맨>은 미국 교육 시스템의 실패를 분석한 다큐멘터리다. 미국 내 넉넉하지 않은 가정의 아이들이 삶의 성공을 담보하는 좋은 대학을 가기 위해서는 먼저 로또와 같은 확률로 선발되는 대안학교 성격의 차터 스쿨(Charter School)에 뽑혔을때만 가능한데, 구겐하임의 카메라는 바로 이런 불가능한 행운을 바라는 여러 명의 학생들의 삶을 따라간다. 다소 이색적인 이름의 영화명은 영화 속 인물 중 제프리 카나다(Geoffrey Canada)와의 인터뷰에서 그의 엄마가 슈퍼맨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그에게 말한 뒤 자신을 구해줄 사람은 아무도 없다는 것에 대해 크게 겁을 먹었다는 이야기에서 연유한다. 이 영화는 2010년 선댄스영화제 최우수 다큐멘터리상을 수상한다.

웨이팅 포 슈퍼맨

Waiting for Superman

ⓒ 다음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세 번째 영화인 <말랄라>는 말랄라 유사프자이(Malala Yousafzai)라는 젊은 파키스탄 여성에 대한 다큐멘터리다. 종교적 근본주의 아래에서 억압받는 젊은 여성들의 교육의 권리를 위해 투쟁하는 여성 운동가의 이야기다. 실제로 탈레반이 점령하고 있던 스와트 지역에서 학교를 갈 수 있는 권리를 위해 투쟁하던 말랄라는 등교 중 총탄에 맞았다. 이런 비극적 사건 이후에도 여전히 자신의 신념을 유지했던 그녀는 국제적으로 명성을 얻게 되고 이로 인해 2013년 7월 12일 유엔에서 여성의 교육 보장을 위한 연설을 하게 되고 그날의 연설 중 영화의 원제인 “그는 나를 말랄라라고 불렀다”라는 문장이 등장한다. 그동안의 투쟁에 대한 업적으로 2014년 12월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기에 이른다. 이 영화에 대해 크리스틴 샤몬(Christine Chaumeau)는 “데이비스 구겐하임은 <말랄라>를 아주 헐리우드적으로 만들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11세 때부터 탈레반의 폭력성을 고발할 정도로 대단한 용기를 가진 소녀의 삶처럼 선과 악이 충돌하는 시나리오에 어울리는 것이 또 있을까 하는 점 때문이다. 감독은 애니메이션 장면을 이용해 19세기 아프카니스탄을 침공한 영국군과 아프칸인들의 전쟁 영웅이었던 말랄라이 드 매완드(Malalai de Maiwand)와 말랄라를 병렬해서 보여준다. 과거의 전설적 영웅으로 아프칸 사람들을 조직하려고 하다가 전쟁터에서 죽어간 (여성) 영웅과 현재의 야만적 행위에도 살아남은 말랄라의 삶은 서로 반향을 일으킨다.”고 기술한다.

말랄라

He Named Me Malala

ⓒ 다음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영화사적 평가

데이비스 구겐하임은 미국 및 세계를 주제로 여러 분야에 대해 다양하게 작품을 만들어온 다큐멘터리 감독이다. 일반적 형식의 다큐멘터리에 극영화적 요소를 적절히 결합시켜 대중에게 진보적 주제를 할리우드 방식으로 전달하면서 흥행에도 성공한 감독이다. 영화 이외에도 TV 드라마를 다수 연출하였다.

작품목록

[영화]
<섹스, 거짓말 그리고 비디오테이프>(Sex, Lies and Videotape, 미국, 1989, 프로덕션 코디네이터) Steven Soderbergh 연출
<돈 텔 맘>(Don’t Tell Mom the Babysitter’s Dead, 미국, 1991, 협력프로듀서) Stephen Herek 연출
<브레이킹 앤드 엔터링>(Breaking and Entering, 미국, 1992, 단편)
<사랑의 조건>(The Opposite Sex and How to Live with Them, 1992, 음악감독, 공동프로듀서) Matthew Meshekoff 연출
<베리 배드 씽>(Very Bad Things, 미국, 1998, 특별 감사) Peter Berg 연출
<더 아트 오브 노튼 시몬>(The Art of Norton Simon, 미국, 1999, 단편, 다큐멘터리)
<가십>(Gossip, 미국, 2000)
<티치>(Teach, 미국, 2001, 단편)
<트레이닝 데이>(Training Day, 미국, 2001, 제작책임) Antoine Fuqua 연출
<베르가 : 솔져 오브 어나더 워>(Berga : Soldiers of Another War, 2003, 특별 감사) Charles Guggenheim 연출
<불편한 진실>(An Inconvenient Truth, 미국, 2006, 다큐멘터리)
<메이킹 오브 ‘불편한 진실’>(The Making of ‘An Inconvenient Truth’, 미국, 2006, 단편, 다큐멘터리)
<그레이시 스토리>(Gracie, 미국, 2007)
<카리손>(Carissa, 미국, 2008, 단편, 다큐멘터리)
<어 머더스 프라미스 : 바락 오바마 바이오 필름>(A Mother’s Promise : Barack Obama Bio Film, 미국, 2008, 단편, 다큐멘터리)
<잇 마이트 겟 라우드>(It Might Get Loud, 미국, 2008, 다큐멘터리)
<웨이팅 포 슈퍼맨>(Waiting for ‘Superman’, 미국, 2010, 다큐멘터리)
(From the Sky Down, 미국, 2011, 다큐멘터리)
<더 로드 위브 트레블드>(The Road We’ve Traveled, 미국, 2012, 단편, 다큐멘터리)
<오바마 2012 컨벤션 필름>(Obama 2012 Convention Film, 미국, 2012, 단편)
<더 드림 이스 나우>(The Dream is Now, 미국, 2013, 단편, 다큐멘터리)
<더 건파이터>(The Gunfighter, 미국, 2014, 단편)
<스펜트 : 루킹 포 체인지>(Spent : Looking for Change, 미국, 2014, 단편, 다큐멘터리, 제작책임)
<말랄라>(He Named Me Malala, 미국, 2015, 다큐멘터리)

[TV]
<챨리 그레이스>(Charlie Grace, 미국, 1995, 텔레비전 시리즈)
<파티 오브 파이브>(Party of Five, 미국, 1996, 텔레비전 시리즈)
<시스터즈>(Sisters, 미국, 1995-1996, 텔레비전 시리즈)
<사랑을 위하여>(Relativity, 미국, 1996, 텔레비전 시리즈)
<뉴욕경찰 24시>(NYPD Blue, 미국, 1995-1996, 텔레비전 시리즈)
(ER, 미국, 1996, 텔레비전 시리즈)
(C-16: FBI, 미국, 1997, 텔레비전 시리즈)
<비지터>(The Visitor, 미국, 1997, 텔레비전 시리즈)
<퍼스트 이어>(The First Year, 미국, 2001, 텔레비전 시리즈)
<24>(24, 미국, 2002, 텔레비전 시리즈)
<앨리어스>(Alias, 미국, 2002, 텔레비전 시리즈)
<푸쉬, 네바다>(Push, Nevada, 미국, 2002, 텔레비전 시리즈)
<쉴드>(The Shield, 미국, 2003, 텔레비전 시리즈)
<데드우드>(Deadwood, 미국, 2004, 텔레비전 시리즈)
<넘버스>(Numb3rs, 미국, 2005, 텔레비전 시리즈)
<원티드>(Wanted, 미국, 2005, 텔레비전 시리즈)
<더 유닛>(The Unit, 미국, 2006, 텔레비전 시리즈)
<3 Ibs>(3 Ibs, 미국, 2006, 텔레비전 시리즈)
<타워>(The Tower, 미국, 2008, 텔레비전 시리즈)
<멜로즈 플레이스>(Melrose Place, 미국, 2009, 텔레비전 시리즈)
<디펜더스:유쾌한 변호사들>(The Defenders, 미국, 2010-2011, 텔레비전 시리즈)
<위도우 디렉티브>(Widow Detective, 미국, 2012, 텔레비전 시리즈)
<티치>(Teach, 미국, 2013, 텔레비전 시리즈)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데이비스 구겐하임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