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리브 울만

다른 표기 언어 Liv Ullmann 동의어 리브 요한네 울만, Liv Johanne Ullmann
요약 테이블
출생 1938년 12월 16일 일본 도쿄
수상 1971년 골든글로브 여우주연상(<이민자들>), 1980년 베니스국제영화에 여우주연상(<리차드의 물건들>), 2005년 카를로비바리국제영화제 특별공로상,
데뷔 1957년 <피올스산>(Fjols til fjells, 노르웨이)

요약 리브 울만은 노르웨이 출신으로 스웨덴을 주 무대로 활약한 배우이다. 모더니즘의 거장인 잉마르 베리만과 작품에 출연하면서 울만은 베리만의 세계를 함께 만들어갔던 뮤즈였다.

리브 울만

Liv Ullmann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노르웨이의 영화배우, 영화감독. 1938년 12월 16일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다. 항공 기술자 아버지 비고 울만(Viggo Ullmann)과 어머니 잔나 울만(Janna Ullmann)을 두었는데, 아버지의 직업 때문에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지만 국적은 노르웨이다. 리브 울만은 어린 시절 일본을 비롯해 캐나다, 미국 등지를 옮겨 다니며 다양한 경험을 쌓았고, 1946년 노르웨이로 돌아왔다.

연기에 관심이 있었던 울만은 1956년 노르웨이의 국립연극학교에서 오디션을 봤지만 고배를 마셨다. 이후 영국으로 건너가 연기 수업을 받은 뒤 다시 노르웨이로 돌아와 몇 년간 연극무대에서 활동하다 영화계에 진출하게 되었다. 1957년 <피올스산>(Fjols til fjells)으로 데뷔한 울만은 데뷔 후 10년 가까이 노르웨이에서 연극, 영화 배우로 활동하였다.

작품 세계

1965년 친구 비비 엔더슨(Bibi Andersson)을 통해 잉마르 베리만(Ingmar Bergman) 감독을 소개 받아 <페르소나>(Persona, 1966)에 출연하면서 리브 울만은 배우 인생에 전환점을 맞이하게 되었다. 그녀와 베리만은 아홉 편의 영화에서 배우와 감독으로 호흡을 맞추었으며, 연인관계로도 발전하여 딸 린 울만(Linn Ulmann)을 낳았다. <페르소나>는 실어증에 걸린 유명 여배우와 그녀를 돌보는 간호사가 서로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들여다보며 혼란스러워 하는 모습을 담은 작품이다. 울만은 이 영화에서 극도의 공포와 불안 때문에 스스로 말문을 닫아버린 여배우 ‘엘리자베스’를 맡아 눈빛과 표정으로 대사 없는 연기를 완벽하게 소화해냈다.

이어지는 베리만의 세 편의 영화 <늑대의 시간>(Vargtimmen, 1968)과 <수치>(Skammen, 1968), <열정>(En passion, 1969)에서 그녀는 스페인의 대배우 막스 폰 시도우(Max Von Sydow)와 호흡을 맞추었다. <늑대의 시간>은 예술적 고뇌로 환영에 시달리는 화가와 그런 그를 지켜보는 아내의 이야기로 울만은 이 영화에서 아내 ‘알마’ 역을 맡았다. <수치>는 전쟁의 여파로 서로의 관계가 무너져가는 예술가 부부를 묘사한 작품이었다.


베리만-울만의 시대를 마감한 것으로 간주되는 <가을 소나타>(Hostsonaten, 1978)에서 울만은 대배우 잉그리드 버그만(Ingrid Bergman)과 공동주연을 맡았다. 잉그리드 버그만의 유작이 된 이 영화에서 버그만은 예술가로서의 성공을 위해 가족보다는 자신이 우선인 엄마 ‘샬롯’을 연기했고, 울만은 자신의 삶을 위해 가족을 돌보지 않은 엄마에 대해 원망과 애증의 감정을 가진 딸 ‘에바’를 연기했다. 두 사람의 갈등을 묘사하는 긴장감 넘치는 장면 연출이 인상적이다.

가을 소나타

Autumn Sonata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을 소나타> 이후에도 울만은 꾸준히 작품 활동을 이어나갔다. 앤터니 하비(Anthony Harvey) 감독의 <리차드의 물건들>(Richard's Things, 미국, 1980)을 통해 베니스국제영화제(Venice International Film Festival)에서 여우주연상을 수상했고, 리샤르 당보(Richard Dembo)의 <위험한 행마>(La diagonale du fou, 1984)는 1984년 아카데미시상식(Academy Award)에서 외국어영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하지만 베리만 감독과 함께 할 때만큼 영화 속에서 그녀의 빛나는 모습을 찾아보기 힘들었다.

리브 울만은 1900년대 이후 배우보다 감독으로서 활동에 주력하였다. 1992년 첫 번째 장편영화 연출작 <소피>(Sofie, 1992)를 발표하였다. <소피>는 19세기 코펜하겐(Copenhagen)의 유대인 여성 ‘소피’의 일생을 그린 영화로 몬트리올국제영화제(The Montreal World Film Festival)에서 심사위원 특별상을 수상했다. 네 번째 장편영화 <불신>(Trolosa, Faithless, 2000)은 칸 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되기도 했다. 베리만 감독이 시나리오 작업에 참여한 이 영화는 한 때 친구였던 세 사람이 부정한 관계를 맺게 되면서 비극적인 국면을 맞이하게 되는 내용으로 영화는 기억과 상상 사실과 허구를 넘나들었다. 섬세한 연출력이 돋보이는 작품으로 그녀의 작품 중 가장 높은 완성도를 보여준다는 평가를 받았다.

2014년에는 다섯 번째 장편 연출작 <미스 줄리>(Miss Julie, 2014)를 발표하였다. 이 영화는 스웨덴의 극작가 아우구스트 스트린드베리(August Strindberg)의 고전 희곡을 원작으로 했으며, 우아한 백작의 딸과 하인의 사랑과 욕망에 관한 이야기였다. 콜린 파렐(Colin Farrell), 제시카 차스테인(Jessica Chastain)이 주연을 맡았다.

리브 울만은 노르웨이 출신으로 스웨덴을 주 무대로 활약한 배우이다. 모더니즘의 거장인 잉마르 베리만과 작품에 출연하면서 울만은 베리만의 세계를 함께 만들어갔던 뮤즈였다. 여성주인공의 자아 정체성을 탐구하는 베리만의 많은 영화들에서 울만은 사적, 공적으로 영감을 제공했다. 리브 울만은 표현력이 풍부한 얼굴, 자연스러운 아름다움, 지적인 연기로 요약할 수 있는 연기 스타일을 가지고 있었다. <불신> 이후 울만은 2001년 칸 영화제의 심사위원장을 맡았으며, 단편영화나 TV영화에서 간간히 모습을 드러냈다.

작품 목록

<피올스산>(Fjols til fjells, 노르웨이, 1957)
<다루기 힘든 아가씨>(Ung flukt, The Wayward Girl, 노르웨이, 1959)
<토니>(Tonny, 노르웨이, 1962)
<팬>(Kort ar sommaren, Pan, 스웨덴, 1962)
<그들은 그를 코르모란트라 불렀다>(De kalte ham Skarven, 노르웨이, 1965)
<시련>(Smeltedigelen, The Crucible, 노르웨이, 1965, TV영화)
<나이스 가이>(En hyggelig fyr, 노르웨이, 1966, TV영화)
<페르소나>(Persona, 스웨덴, 1966)
<늑대의 시간>(Vargtimmen, Hour of the Wolf, 스웨덴, 1968)
<칵테일 파티>(Cocktailparti, 노르웨이, 1968, TV영화)
<수치>(Skammen, Shame, 스웨덴, 1968)
<마그리트>(An-Magritt, 노르웨이, 1969)
<정열>(En passion, The Passion of Anna, 스웨덴, 1969)
<밤의 불청객>(De la part des copains, Cold Sweat, 벨기에/이탈리아/프랑스, 1970)
<밤손님>(The Night Visitor, 미국/스웨덴, 1971)
<이민자들>(Utvandrarna, The Emigrants, 스웨덴, 1971)
<뉴 랜드>(Nybyggarna, The New Land, 스웨덴, 1972)
<여교황 조안>(Pope Joan, 영국, 1972)
<외침과 속삭임>(Viskningar och rop, Cries and Whispers, 스웨덴, 1972)
<잃어버린 지평선>(Lost Horizon, 미국, 1973)
<결혼의 풍경>(Scener ur ett aktenskap, Scenes from a Marriage, 스웨덴, 1973, TV 시리즈)
<40 캐럿>(40 Carats, 미국, 1973)
<잔디의 신부>(Zandy’s Bride, 미국, 1974)
<퇴위>(The Abdication, 영국, 1974)
<마법 피리>(Trollflojten, The Magic Flute, 스웨덴, 1975, TV영화)
<악마의 정부>(Leonor, Mistress of the Devil, 스페인/이탈리아/프랑스, 1975)
<고독한 여심>(Ansikte mot ansikte, Face to Face, 스웨덴/이탈리아, 1976)
<머나먼 다리>(A Bridge Too Far, 미국/영국, 1977)
<베를린의 밤>(The Serpent’s Egg, 독일/미국, 1977)
<가을 소나타>(Hostsonaten, Autumn Sonata, 독일/스웨덴/프랑스, 1978)
<플레이어>(Players, 미국, 1979)
<바다에서 온 여인>(Fruen fra havet, 노르웨이, 1979, TV영화)
<리차드의 물건들>(Richard’s Things, 미국, 1980)
<사랑-이별>(Love/segment "Parting", , 캐나다, 1982, 연출)
<실종>(Jacobo Timerman: Prisoner Without a Name, Cell Without a Number, 미국, 1983, TV영화)
<제니>(Jenny, 노르웨이, TV 시리즈)
<위험한 행마>(La diagonale du fou, Dangerous Moves, 리히텐슈타인/스위스/프랑스, 1984)
<야생 오리>(The Wild Duck, 호주, 1984)
<부둣가의 비밀>(The Bay Boy, 캐나다/프랑스, 1984)
<추악한 킹콩>(King Kongs Faust, 독일, 1985)
<여자들의 테이블>(Speriamo che sia femmina, Let’s Hope It’s a Girl, 이탈리아/프랑스, 1986)
<안녕 모스크바>(Mosca addio, Farewell Moscow, 이탈리아, 1987)
<기적의 가비>(Gaby: A True Story, 미국/멕시코, 1987)
<방황과 불륜의 순간들>(Gli indifferenti, A Time of Indifference, 영국/이탈리아, 1988, TV영화)
<여자친구>(La amiga, The Girlfriend, 독일/아르헨티나, 1988)
<장미 정원>(The Rose Garden, 독일/미국/오스트리아, 1989)
<마인드워크>(Mindwalk, 미국, 1990)
<사다코와 천 마리 종이학>(Sadako and the Thousand Paper Cranes, 미국, 1991, 단편)
<옥스>(Oxen, The Ox, 스웨덴, 1991)
<긴 그림자>(The Long Shadow, 미국/이스라엘/헝가리, 1992)
<소피>(Sofie, 노르웨이/덴마크/스웨덴, 1992, 연출)
<꿈의 연극>(Drømspel, Dreamplay, 노르웨이/스웨덴, 1994)
<분노>(Zorn, 노르웨이/스웨덴/핀란드, 1994)
<크리스틴 라브란스다테르>(Kristin Lavransdatter, 독일/노르웨이/스웨덴, 1995, 연출)
<뤼미에르와 친구들>(Lumiere et compagnie, Lumiere and Company, 프랑스/덴마크/스페인/스웨덴, 1995, 다큐멘터리, 연출)
<사적인 고백>(Enskilda samtal, Private Confessions, 스웨덴, 1995, TV영화, 연출)
<불신>(Trolosa, Faithless, 스웨덴, 2000, 연출)
<사라방드>(Saraband, 독일/덴마크/스웨덴/오스트리아/이탈리아/핀란드, 2003, TV영화)
<덴마크 시인>(The Danish Poet, 노르웨이/캐나다, 2006, 단편)
<거울을 통해 어렴풋이>(I et speil i en gate, Through a Glass, Darkly, 노르웨이/덴마크, 2008)
<앵그리 맨>(Sinna mann, Angry Man, 노르웨이, 2009, 단편)
<투 라이브스>(Zwei Leben, Two Lives, 노르웨이/독일, 2012)
<미스 줄리>(Miss Julie, 노르웨이/영국, 2014)

저서

『체인징』(Changing, 1977)
『선택들』(Choices, 1984)
『세계의 지성 28인의 편지』(Brev til mit barnebarn, 1997)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리브 울만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