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으스타슈

다른 표기 언어 Jean Eustache
요약 테이블
출생 1938년 11월 30일, 프랑스 페삭
사망 1981년 11월 3일, 프랑스 파리
수상 1973년 칸영화제 심사위원대상(<엄마와 창녀>)
데뷔 1966년 <산타클로스는 푸른 눈을 가지고 있다> (Le Père Noël a les yeux bleus, 프랑스)

요약 즉흥성과 현장성, 음악 사용의 배제 등 엄격한 스타일로 인해 누벨바그의 진정한 계승자로 불리는 프랑스 감독. 대표작은 68혁명 이후 좌절한 프랑스 청년들의 정서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엄마와 창녀>가 있다.

장 으스타슈

Jean Eustache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생애와 이력

프랑스의 영화감독. 1938년 프랑스의 페삭에서 태어났다. 부모가 이혼한 후에 외할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1957년 파리로 와 프랑스 철도공사에서 노동자로 일하였다. 알제리 전쟁이 발발하자 입영을 거부하고 자살을 기도하였다가 1년간 병원에서 정신과 치료를 받기도 하였다. 잔느 들로(Jeanne Delos)와 결혼하여 두 아들을 두었으며, 프랑스의 영화 전문지 『카이에 뒤 시네마』(Cahiers du cinéma)에서 비서로 일하던 아내의 소개로 장-뤽 고다르(Jean Luc Godard), 장 두셰(Jean Douchet) 등과 만나 친분을 쌓게 된다. 1962년에는 에릭 로메르(Eric ROHMER)의 <몽소 빵집>(La Boulangère de Monceau)과 장 두셰의 <벨빌의 모델>(Mannequin de Belleville)에 스태프로 참여하면서 영화적 경험을 쌓게 된다.

작품세계

폴 베키알리(Paul Vecchiali)의 도움으로 1963년에 첫 단편영화 <밤>(La Soirée)을 촬영하게 되지만 완성하지 못하였고, 1964년에 단편영화 <잘못된 만남>(Les Mauvaises Fréquentations, Robinson’s Place)을 연출한다. 1966년에는 장-뤽 고다르가 제공한 필름으로 50분짜리 중편영화 <산타클로스는 푸른 눈을 가지고 있다>(Le Père Noël a les yeux bleus, Santa Claus Has Blue Eyes)를 연출하였으며, 자크 리베트(Jacques Rivette)가 연출하는 장 르느와르(Jean Renoir)에 관한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편집자로 일하기도 했다. 1967년 아내와 이혼한 으스타슈는 프랑수아즈 르브룅(Françoise LEBUN)과 사랑에 빠진다. 훗날 으스타슈는 프랑수아즈와의 연애 경험을 토대로 <엄마와 창녀> (La Maman et la Putain, The Mother and the Whore, 1973)를 연출하게 된다. 1971년에는 어린 시절 자신을 키워준 외할머니에 관한 다큐멘터리 <넘버 0>(Numéro Zéro)를 연출하는 등 꾸준히 창작활동에 매진하였으나 크게 주목받지는 못한다.

장 으스타슈가 영화인들의 주목을 받게 된 것은 1973년 연출작 <엄마와 창녀>가 칸 영화제에서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하면서부터다. 한 남자와 두 여자 사이의 기이한 애정 관계를 그린 이 영화는 장 으스타슈 본인의 경험에 기초해서 만들어졌다. 프랑스 누벨바그를 대표하는 배우 장-피에르 레오(Jean-Pierre Leaud)가 주인공 알렉상드르 역을 연기했으며, 베르나데트 라퐁(Bernadette Lafont)이 마리 역을, 장 으스타슈의 연인이었던 프랑수아즈 르브룅이 베로니카 역을 연기하였다. 주인공 알렉상드르는 클래식 음악을 즐겨듣고 실존주의 철학에 심취해있는 지식인이면서 동시에 매우 충동적이고 불안정한 성격의 소유자다. 자신의 애인 마리에게 빌붙어 사는 알렉상드르는 우연히 카페에서 만난 베로니카와 사랑에 빠진다. 우유부단하고 즉흥적인 성격 탓에 알렉상드르는 두 여자 중 어느 한쪽도 포기하지 못하게 되자 두 여자와 한 남자 사이에 기이하고 파격적인 애정 행각이 펼쳐지게 된다.

엄마와 창녀

La Maman et la Putain

ⓒ 다음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엄마와 창녀>가 엄청난 반향을 불러 일으켰지만, 이후 장 으스타슈의 삶은 내리막으로 치닫는다. <내 작은 연인들>(Mes petites amoureuses, My Little Loves, 1974), <더러운 이야기>(Une sale histoire, A Dirty Story, 1977) 등이 잇달아 흥행에 실패하는가 하면, 1981년 5월에는 베란다에서 추락하여 다리를 절게 되는 불운을 겪었다. 그리고 그해 11월 5일, 장 으스타슈는 파리에 있던 자택에서 권총으로 자신의 생을 스스로 마감한다.

영화사적 평가

68혁명 이후 좌절한 프랑스 청년들의 정서를 사실적으로 표현한 <엄마와 창녀>의 성공에 힘입어 장 으스타슈는 누벨바그의 진정한 계승자로 인정받게 된다. 이 영화에 대해 평론가 장-루이 보리(Jean-Luois Bory)는 여성을 바라보는 시선에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지만, 대부분의 평론가들은 이 영화에 대해 상찬을 아끼지 않았다. 『카이에 뒤 시네마』의 편집장을 지낸 장-미셸 프로동(Jean-Michel Frodon)은 '이 영화가 프랑스 영화사에서 가장 아름다운 영화 중 한 편'이라고 격찬하였으며, 프랑스의 평론가이자 영화감독인 올리비에 아사야스(Olivier Assayas) 역시 이 영화가 '누벨바그가 이론적으로 정립한 것을 영화로 실현한 작품'이라고 평가하였다. <엄마와 창녀>는 극사실주의적인 연출기법과 즉흥적이면서도 사실적인 대사들, 영화 속 인물 그 자체인 것처럼 보이는 배우들의 자연스런 연기, 60년대 말 파리의 풍경을 사실적으로 재현한 이미지들로 인해 큰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이 영화는 배경음악을 전혀 사용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장면을 세트가 아닌 현장에서 즉흥적으로 촬영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작품목록

<밤> (La Soirée, 프랑스, 1963, 미완성)
<잘못된 만남> (Les Mauvaises Fréquentations, Robinson’s Place, 프랑스, 1964, 16mm, 이후 <로뱅송 방면에서>라는 제목으로 바뀜, 35mm)
<산타클로스는 푸른 눈을 가지고 있다> (Le Père Noël a les yeux bleus, Santa Claus Has Blue Eyes, 프랑스, 1966)
<페사크의 처녀> (La Rosière de Pessac, The Virgin of Pessac, 프랑스, 1968, 단편, 다큐멘터리)
<돼지> (Le Cochon, 프랑스, 1970, 다큐멘터리, 단편, 장-미셸 바리올Jean-Michel Barjol과 공동연출)
<넘버 0> (Numéro zéro, 프랑스, 1971, 다큐멘터리)
<엄마와 창녀> (La Maman et la Putain, The Mother and the Whore, 프랑스, 1973)
<내 작은 연인들> (Mes petites amoureuses, My Little Loves, 프랑스, 1974)
<더러운 이야기> (Une sale histoire, A Dirty Story, 프랑스, 1977, 단편)
<페사크의 처녀 79> (La Rosière de Pessac 79, The Virgin of Pessac, 프랑스, 1979, 다큐멘터리)
<제롬 보슈의 쾌락의 정원> (Jardin des délices de Jérôme Bosch, Hieronymous Bosch’s Garden of Delights, 프랑스, 1980, 단편)
<구인공고> (Offre d’emploi, 프랑스, 1980, TV시리즈)
<알릭스의 사진들> (Les Photos d’Alix, 프랑스, 1980, 단편)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장 으스타슈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