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신경균

다른 표기 언어 Shin Kyeong-gyun , 申敬均
요약 테이블
출생 1912년 경상북도 선산
사망 1981년
데뷔 1937년 <순정해협>

요약 신경균은 1912년 경상북도 선산에서 출생하여 선산 공립보통학교, 대구농림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는 1920년 봄 영화공부를 위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고, 교토영화연극학원을 다닌 후 도쿄의 신코키네마와 J.O.스튜디오에서 영화연출에 대한 공부를 하였다. 발성영화에 대한 기술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었던 조선이었지만, 1935년 조선 최초의 발성영화(이명우,<춘향전>(1935))가 제작되면서 조선의 영화기술은 집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신경균 역시 신코키네마와 J.O.스튜디오에서 영화제작에 대한 실무를 배우면서 발성영화의 촬영과정과 영화녹음 등을 습득하였고, 이후 고국으로 돌아와 자신의 꿈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신경균의 데뷔작은 <순정해협>(1937)이었다. 이후 신경균은 1942년 법인 조선영화주식회사에 입사하여 <감격의 일기>(1945), <우리들의 전쟁>(1945), <혈과 한>(1945)과 같은 친일영화를 만들어 그의 이력에 큰 오점을 남기기도 하였다. <새로운 맹서> 이후 신경균은 1960년대까지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영화를 만들었다. 대부분 멜로드라마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지의 아들>(1949), <여인애사>(1950), <삼천만의 꽃다발>(1951), <노들강변>(1957), <찔레꽃>(1957), <화심>(1958), <애모>(1959), <유정무정>(1959), <회정>(1960), <연연>(1960), <그대 목소리>(1960), <울지 않으련다>(1960), <정조>(1961), <여자의 일생>(1962), <행복한 고독>(1963), <형부와 새언니>(1964) 등과 같은 작품이 있다.

생애와 이력

신경균 Shin Kyeong-gyun 申敬均 (1912~1981)


한국의 영화감독. 신경균은 1912년 경상북도 선산에서 출생하여 선산 공립보통학교, 대구농림학교를 졸업하였다. 그는 1920년 봄 영화공부를 위해 일본으로 유학을 떠났고, 교토영화연극학원을 다닌 후 도쿄의 신코키네마와 J.O.스튜디오에서 영화연출에 대한 공부를 하였다. 당시 조선은 무성영화가 유행하고 있었고, 이규환 감독의 <임자없는 나룻배>(1932)와 안종화 감독의 <청춘의 십자로>(1934)가 큰 인기를 누릴 때였다. 발성영화에 대한 기술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었던 조선이었지만, 1935년 조선 최초의 발성영화(이명우,<춘향전>(1935))가 제작되면서 조선의 영화기술은 집약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신경균 역시 신코키네마와 J.O.스튜디오에서 영화제작에 대한 실무를 배우면서 발성영화의 촬영과정과 영화녹음 등을 습득하였고, 이후 고국으로 돌아와 자신의 꿈을 펼치기 시작하였다.

작품 세계

신경균의 데뷔작은 <순정해협>(1937)이었다. 이 작품은 함대훈 원작의 『순정해협』을 각색한 작품이다. <순정해협>은 계몽적인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지만, 당시로서는 큰 인기를 얻었던 작품이었다. 2년 뒤에는 시골처녀와 도시남성의 사랑이야기를 다룬 <처녀도>(1939)를 발표하였다.
이후 신경균은 1942년 법인 조선영화주식회사에 입사하여 <감격의 일기>(1945), <우리들의 전쟁>(1945), <혈과 한>(1945)과 같은 친일영화를 만들어 그의 이력에 큰 오점을 남기기도 하였다. <감격의 일기>는 조선총독부가 강제로 모든 영화사를 통합하여 한국인으로 구성된 무용단이 일본으로 징용 간 한국인을 찾아가 위문공연을 펼친다는 세미 다큐멘터리 형식의 영화였고, <우리들의 전쟁>은 징용 나간 남편이 무사히 고국으로 돌아오기를 기다린다는 전시 총력을 강조한 작품이었다.
해방 후 신경균은 1947년 청구영화사를 설립하여, 그 해 첫 작품인 <새로운 맹서>(1947)을 연출하였다. 일제 강제 징용에 끌려갔던 세 청년이 해방과 함께 고향 어촌으로 돌아와 마을 처녀들과 함께 부정부패를 타파하고 황폐한 어촌을 재건해 나간다는 줄거리를 가지고 있다. 이 영화는 최은희의 데뷔작품이기도 한데, 제작진은 마땅한 배우가 없어 걱정하고 있을 무렵 최은희가 스스로 영화사에 나타나 훌륭한 연기력을 보여주었다고 한다. 이후 최은희는 신상옥 감독의 데뷔작은 <악야>(1952)에 출현하면서, 평생 신상옥 감독의 동반자가 되었다. <새로운 맹서>는 해방 후 개봉된 영화였던 만큼 계몽적인 소재와 주제를 반영하고 있으며, 일제 강점기 신경균의 친일적 영화에 반하는 해방의 감격과 민족주의적 성향이 한껏 발휘된 영화였다.
<새로운 맹서> 이후 신경균은 1960년대까지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영화를 만들었다. 대부분 멜로드라마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대지의 아들>(1949), <여인애사>(1950), <삼천만의 꽃다발>(1951), <노들강변>(1957), <찔레꽃>(1957), <화심>(1958), <애모>(1959), <유정무정>(1959), <회정>(1960), <연연>(1960), <그대 목소리>(1960), <울지 않으련다>(1960), <정조>(1961), <여자의 일생>(1962), <행복한 고독>(1963), <형부와 새언니>(1964) 등과 같은 작품이 있다.
<찔레꽃>은 김말봉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찔레꽃처럼 순박하고 청순한 여성이 여자이기 때문에 겪어야 할 얽혀있는 운명을 그리고 있는 작품이었다. 대학생 안정순은 사랑하는 이민수가 있고, 가정형편이 어려워 들어갔던 집에서 만난 은행장 조만호, 또 유학갔다 돌아온 그의 아들 경구. 한 여자와 세 남자의 얽혀있는 운명을 끝으로 정순은 모든 것을 버리고 고향으로 돌아간다는 내용이었다. 1959년 작품인 <유정무정>은 주실과 종훈 사이에는 아이가 없지만 서로는 사랑한다. 그러나 종훈에게는 선녀라는 내연녀가 있었고, 둘 사이에는 두 아이가 있다. 종훈은 10년간 이 사실을 아내에게 숨겨왔지만, 모든 것을 알고 주실은 두 아이를 받아들인다. 선녀는 종훈을 떠나 다른 남자와 살림을 차리지만 그에게 버림을 받고 자살을 한다. 이 작품은 세련된 대사와 탄탄한 대본을 바탕으로 한 남자를 둘러싼 두 여인의 이야기를 차분하게 그려내었다. 당시 이 영화에 대해 평론가들은 ‘처리하기 어려운 극적 대목들을 성실하게 다루고 있는데다가 호감이 가는 가작’이라는 평가하였다.(조선 1959. 11.13)
이처럼 멜로 드라마에 집중하였던 신경균은 1970년를 기점으로 액션 활극영화를 만들었다. 1970년대 이전에도 <노들강변>(1957), <마도의 향불>(1958), <일등공신>(1967), <영번 상해돌파>(1967)처럼 추리극과 시대극, 액션영화는 발표하기도 하였다. 1970년과 다음 해까지 일련의 홍콩 시리즈물을 발표하였는데 <홍콩에서 온 여와 남>(1970), <홍콩서 온 마담 장>(1970), <홍콩서 온 철인 박>(1971), <홍콩부르스>(1971)가 그것이다. 신경균의 후반기 4편의 액션영화는 한국예술영화사가 제작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1973년 영화법이 강화 개정되면서 영화를 제작할 수 있는 있는 인력과 장비가 준비되지 않으면 더 이상 영화를 만들 수 없었다. 신경균이 몸담았던 한국예술영화사 역시 정부가 제시한 제작사의 조건에 미치지 못했고, 제작과 완성의 단계에 있었던 그의 영화는 끝내 개봉되지 못하고 좌초되고 말았다. 신경균은 1971년 작품인 <홍콩부르스>를 끝으로 더 이상 영화를 만들지 못하게 되었다. 그리고 1981년 신경균은 6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나고 말았다.

찔레꽃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영화사적 평가

신경균은 한국영화의 태봉기에 영화감독으로 입문하여 발성영화의 시대를 거쳐, 일제강점기, 해방공간에서 영화에 대한 열정을 불태우며 한 평생을 살았던 감독이었다. 비록 일제강점기 일제의 신체제에 부합하는 영화를 만들어 친일감독이라는 오명을 얻기도 했지만, 해방 이후 왕성한 작품 활동을 통해 1960년대를 대표하는 감독으로 이름을 알렸다. 1970년대에는 액션영화에도 많은 관심을 내면서 멜로 드라마이외에도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을 한 역량있는 감독이었다.

작품 목록

<순정해협> (Straits of Pure Heart (Sunjeonghaehyeob), 조선, 1937)
<처녀도> (Virgin (Cheo-nyeo-do), 조선, 1939)
<감격의 일기> (Impressive Diary (Gam-gyeog-ui il-gi), 조선, 1945)
<우리들의 전쟁> (Our War (U-ri-deul-ui jeon-jaeng), 조선, 1945)
<혈과 한(피와 땀)> (Blood and Dirt (Hyeol-gwa han), 조선, 1945)
<새로운 맹서> (A New Oath (Saelo-un maengseo), 한국, 1947)
<대지의 아들> (The Son of the Earth (Daeji-ui adeul), 한국, 1949)
<여인애사> (A Sad Story of Woman (Yeo-in-ae-sa), 한국, 1950)
<삼천만의 꽃다발> (A Bouquet of Three Thousand People (Samcheonman-ui kkochdabal), 한국, 1951)
<혈로> (The Bloody Road (Hyeollo), 한국, 1954)
<노들강변> (The No-Deul Riverside (Nodeulgangbyeon), 한국, 1957)
<찔레꽃> (A Brier Flower (Jjillekkoch), 한국, 1957)
<마도의 향불> (An Incense Fire (Mado-ui hyangbul), 한국, 1958)
<화심> (The Flower (Hwasim), 한국, 1958)
<애모> (Affection (Aemo), 한국, 1959)
<유정무정> (Affection and apathy (Yujeongmujeong), 한국, 1959)
<회정> (The return way (Hoejeong), 한국, 1960)
<사랑이 피고지던 날> (When love is flowering and fading (Salang-i pigojideon nal), 한국, 1960)
<연연> (An attachment (Yeon-yeon), 한국, 1960)
<그대 목소리> (Your voice (Geudae mogsoli), 한국, 1960)
<울지 않으련다> (I won’t cry (Ulji anheulyeonda), 한국, 1960)
<정조> (Chastity (Jeongjo), 한국, 1961)
<여자의 일생> (Life of a Woman (Yeoja-ui Ilsaeng), 한국, 1962)
<행복한 고독> (Happy Solitude (Haengbokhan Godok), 한국, 1963)
<마도로스 박> ( Seaman Park (Madoroseu Park), 한국, 1964)
<형부와 새언니> (My Brother and Sister-in-laws (Hyeongbuwa Sae-eonni), 한국, 1964)
<일등공신> (A Meritorious Retainer (Ildeunggongsin), 한국, 1967)
<영번 상해돌파> (Breakthrough in Shanghai (Yeongbeon Sanghaedolpa), 한국, 1967)
<홍콩에서 온 여와 남> (Man and Woman from Hong Kong (Hongkong-eseo(Hong Kong-eseo) on yeo-wa nam), 한국, 1970)
<홍콩서 온 마담장> (Madame Jang from Hong Kong (Honkong-eseo(Hong Kong-eseo) on madamJang), 한국, 1970)
<홍콩서 온 철인 박> (Iron Man from Hong Kong (Hongkong-eseo on cheol-inbag), 한국, 1971)
<홍콩부르스> (Hong Kong Blues (Hongkongbuleuseu), 한국, 1971)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신경균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