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최훈

다른 표기 언어 Choi Hoon , 崔薰
요약 테이블
출생 1922년 평안남도 안주군
사망 2005년
수상 2003년 대종상영화제 영화발전공로상
데뷔 1958년 <모녀>

요약 최훈은 1922년 평안남도 안주군에서 태어났고, 평양교원대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43년 신의주 청강공립학교에서 교편생활을 시작으로 이후 평양 안주여중에서도 교사생활을 하였다. 공군 정훈감실에서 제작한 홍성기 감독의 <출격명령>(1954)에서 조감독을 맡으면서 영화연출을 배웠다. 최훈은 홍성기 감독의 <열애>(1955)와 이규환 감독의 <춘향전>(1955)에서 조감독 생활을 하였다. 이렇게 많은 작품에서 조감독 생활을 하면서 영화연출을 익힌 최훈은 1958년 <모녀>(1958)로 감독 데뷔를 하였다. 같은 해에는 두 번째 영화 <느티나무 있는 언덕>(1958)을 발표하였다. 1960년대에 최훈은 멜로드라마를 발표하면서 다수의 작품을 선보였다. 이후 최훈은 액션영화와 멜로드라마, 아동영화까지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선보이면서 1980년대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생애와 이력

최훈 Choi Hoon 崔薰 (1922 ~ 2005)

한국의 영화감독. 최훈은 1922년 평안남도 안주군에서 태어났고, 평양교원대 국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43년 신의주 청강공립학교에서 교편생활을 시작으로 이후 평양 안주여중에서도 교사생활을 하였다. 최훈은 영화인으로 삶을 살기 전 오랫동안 교사로서 생활했기 때문에 감독이 된 후에도 그의 초기작에서는 교사로서의 체험을 살린 대수의 영화들을 선보였다.

해방 이후 서울로 내려온 최훈은 서대문에서 정착하면서 본격적으로 영화와 관련된 일을 하였다. 1948년 그는 ‘아세아영화공사’를 설립하고 영화제작자로서 길을 걸었지만, 한국전쟁으로 인해서 안종화 감독에게 의뢰한 작품의 제작이 중단되고 말았다. 그후 최훈은 전쟁 중에도 영화 일을 그만두지 않고, 대구에 자리 잡은 공군 정훈감실에서 제작한 홍성기 감독의 <출격명령>(1954)에서 조감독을 맡으면서 영화연출을 배웠다. 한국전쟁 중이었지만, 많은 영화인들은 부산, 대구, 진해로 분산되어 군(軍) 내에서 촬영기술을 배우고 기록영화를 제작하는 등 식을 줄 모르는 열의를 보여주었다(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화를 말한다 – 한국영화의 르네상스 1』 ).

작품 세계

계속해서 최훈은 홍성기 감독의 <열애>(1955)와 이규환 감독의 <춘향전>(1955)에서 조감독 생활을 하였다. 이렇게 많은 작품에서 조감독 생활을 하면서 영화연출을 익힌 최훈은 1958년 <모녀>(1958)로 감독데뷔를 하였다. 행복한 가정주부였던 여자(주증녀 분)는 뜻하지 않게 가족과 이별을 하게 되고, 그러나 결국에는 가족과 눈물의 재회를 하게 된다는 내용의 영화였다. 같은 해에는 두 번째 영화 <느티나무 있는 언덕>(1958)을 발표하였다. 이 영화는 최요안의 KBS 라디오 방송극을 영화화한 것으로 시골 선생님과 학생 간의 사제의 정이 담겨있는 계몽영화였다. 최훈은 차기작인 <장마루촌의 이발사>(1959), <어느 여교사의 수기>(1960)와 같은 영화에서도 계몽적이고 교훈적인 주제를 다루면서 한국전쟁 이후 황폐해진 우리 사회에 밝고 희망적인 사회 기풍을 진작시키는 영화를 만들었다.

느티나무 있는 언덕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1960년대에 최훈은 멜로드라마를 발표하면서 다수의 작품을 선보였다. <아버지>(1961), <죽도록 사랑해서>(1963), <부부조약> (1963), <아빠 안녕>(1963), <시동생>(1964), <울지마라 물새야>(1964), <가짜여대생>(1965), <이별의 강>(1966), <파도>(1967), <밀어>(1967), <파문>(1968), <죽어도 못잊어>(1968), <지금 그 사람은>(1968), <난풍>(1968), <이대로 간다해도>(1969), <아무리 사랑해도>(1969), <검은 야회복>(1969), <그 밤이여 다시한번>(1969), <물망초>(1969), <마지막 편지>(1969), <여인극장>(1970), <천사의 눈물>(1970), <밤>(1970), <처와처>(1970), <청산에 우는 새야>(1970) 등의 작품들이 있다. 또 한국판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지칭되는 <사랑의 승부>(1962)와 <뛰는 놈 위에 나는 놈>(1963)은 코미디영화였다.

1973년 작품인 <수선화>(1973)는 다수의 멜로드라마 속에서도 초기 최훈이 연출하였던 교육적인 성격이 돋보이는 계몽영화였다. <수선화>(1973)는 전후 한국사회의 어려움 속에서도 고아들을 위해 헌신했던 사회운동가 윤선희의 일대기를 그린 영화였다. <수선화>는 그 해 제12회 대종상에서 감독상, 각본상, 편집상 등을 수상하였다(『매일경제』 1973. 10. 22).

영화사적 평가

최훈은 액션영화와 멜로드라마, 아동영화까지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선보이면서 1980년대까지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최훈은 1968년부터 한국영화인협회 감독위원회 위원장과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이사, 1972년부터 1979년까지 한국영화인협회 이사장, 영화진흥공사 이사직을 겸임하면서 영화행정과 관련해서도 많은 일을 하였다. 이런 그의 이력으로 인해 1976년에는 문화공보부 장관으로부터 ‘국책우수영화표창’을 받았고, 1993년에는 예총예술문화대상, 1996년에는 보관문화훈장, 2003년에는 대종상영화제에서 영화발전 공로상을 수상하였다. 최훈은 2005년 향년 83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최훈은 한국전쟁의 어려움을 이겨내고 영화감독으로서 한국영화계를 짊어지고 달려온 열정적인 감독이었다. 교사의 이력으로 계몽적으로 교육적인 영화를 발표하였을 뿐 아니라, 한국영화의 전성기인 1960년대와 1970년대에는 다수의 멜로영화를 발표하면서 왕성한 활동을 하였다. 최훈은 한국영화를 위해 현장에서뿐 아니라 영화인의 복지와 권익 향상을 위해 부단한 노력을 하였고, 그로 인해 현재 한국영화계는 무한한 발전을 하고 있다.

작품 목록

<모녀> (The Mother and Daughter (Monyeo), 한국, 1958)
<느티나무 있는 언덕> (The Hill with Zelkova Tree (Neutinamu issneun eondeog), 한국, 1958)
<꽃피는 시절> (A blooming season (Kkochpineun sijeol), 한국, 1959)
<사모님> (Madam (Samonim), 한국, 1959)
<장마루촌의 이발사> (A barber of village Jangmaru (Jangmaluchon-ui ibalsa), 한국, 1959)
<애수에 젖은 토요일> (A sad Saturday (Aesu-e jeoj-eun to-yo-il), 한국, 1960)
<내 가슴에 그 노래를> (Song in my heart (Naegaseum-e geu nolaeleul), 한국, 1960)
<어느 여교사의 수기> (A memorandum of a female teacher (Eoneu yeogyosa-ui sugi), 한국, 1960)
<아버지> (My Father (Abeoji), 한국, 1961)
<양귀비> (Yang Kuei-Fei (Yang Gwibi), 한국, 1962)
<동학난> (Donghak Revolution (Donghak Nan), 한국, 1962)
<사랑의 승부> (Love Match (Sarang-ui Seungbu), 한국, 1962)
<사랑의 동명왕> (King Dongmyeong (Sarang-ui Dongmyeong-wang), 한국, 1962)
<아빠안녕> (Bye Dad (Appa-annyeong), 한국, 1963)
<죽도록 사랑해서> (Because They Love Until Death (Jukdorok Saranghaeseo), 한국, 1963)
<뛰는 놈 위에 나는 놈> (Good and Better (Ttwineun Nom Wi-e Naneun Nom), 한국, 1963)
<부부조약> (The Couple Testimony (Bubu Joyak), 한국, 1963)
<시동생> (The Younger Brother-in-law (Sidongsaeng), 한국, 1964)
<목요일에 만납시다> (Let’s Meet on Thursday (Mogyoire Mannapsida), 한국, 1964)
<울지마라 물새야> (Don’t Sing, Water Bird (Uljimara Mulsae-ya), 한국, 1964)
<슬픈 미소> (The Smile in Grief (Seulpeun Miso), 한국, 1964, 기획)
<눈물의 자장가> (The Cradlesong in Tears (Nunmur-ui Jajangga), 한국, 1965)
<가짜여대생> (The Fake College Girl (Gajja-yeodaesaeng), 한국, 1965)
<밤에 핀 해바라기> (The Sunflower Blooming at Night (Bam-e pin Haebaragi), 한국, 1965)
<얄개전> (A Legend of Urchins (Yalgaejeon), 한국, 1965, 기획)
<이별의 강> ( River of Farewell (Ibyeol-eui Gang), 한국, 1966)
<8240 K.L.O> (8240 K.L.O (8240 K.L.O), 한국, 1966, 기획)
<나는 왕이다> (I Am a King (Naneun Wang-ida), 한국, 1966, 출연)
<파도> (Waves (Pado), 한국, 1967)
<밀어> (A Secret Talk (Mireo), 한국, 1967)
<죽어도 못잊어> (Death Can’t Fall Us Apart (Jugeodo Monijeo), 한국, 1968)
<파문> (Scandal (Pamun), 한국, 1968)
<지금 그 사람은> (Where is he now (Jigeum Geu Sarameun), 한국, 1968)
<난풍> (Warm wind (Nanpung), 한국, 1968)
<엄마야 누나야 강변살자> (Crossed Love (Eommaya Nunaya Gangbyeon Salja), 한국1968)
<이대로 간다해도> (The Sisters (Idaero Gandahaedo), 한국, 1969)
<아무리 사랑해도> (Endless Love (Amuri Saranghaedo), 한국, 1969)
<검은 야회복> (Black Evening Gowns (Geomeun Yahoebok), 한국, 1969)
<그 밤이여 다시한번> (Bring Back the Night Once More (Geu Bamiyeo Dasi Hanbeon), 한국, 1969)
<물망초> (Forget-me-not (Mulmangcho), 한국, 1969)
<마지막 편지> (The Last Letter (Majimak Pyeonji), 한국, 1969)
<여인극장> (yeoingeukjang), 한국, 1970)
<천사의 눈물> (Tears of an Angel (Cheonsa-ui nunmul), 한국, 1970)
<밤> (The Night (Bam), 한국, 1970)
<결혼대작전> (Big Brother’s Marriage (Gyeolhondaejagjeon), 한국, 1970)
<처와 처> (Two Wives (Cheo-wa cheo), 한국, 1970)
<결혼대작전> (Big Brother’s Marriage (Gyeolhondaejagjeon), 한국, 1970, 기획)
<청산에 우는 새야> (The crying bird in Cheongsan(Cheongsan-e uneun sae-ya), 한국, 1971)
<수선화> (A narcissus (Suseonhwa), 한국, 1973)
<흑표객> (Heukpyogaek(eugpyogaeg), 한국, 1974)
<청춘불시착> (A crash landing of Youth(Cheongchunbulsichag), 한국, 1974, 출연)
<여신탐> (Women Detectives (Yeosintam), 한국, 1976)
<우리에게 내일은 있다> (There Is Tomorrow To Us. (Uli-ege nae-il-eun issda), 한국, 1976)
<이 한몸 다 바쳐> (Devoting my Whole Being toYou (I hanmom da bachyeo), 한국, 1978)
<꿈나무> (Tree of Dreams (Kkumnamu), 한국, 1978)
<내일을 향해 뛰어라> ( Run Towards Tomorrow (Nae-il-eul hyanghae dallyeola), 한국, 1979)
<단짝> (Best Friend (Danjjag), 한국, 1979)
<칠삭동이의 설중매> (Apricot Blossom in Snow for One Born in Seven Months (Chilsakdong-i-ui seoljungmae), 한국, 1988, 출연)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최훈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