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신상옥

다른 표기 언어 Shin Sang-ok , 申相玉 동의어 신태서, 申泰瑞
요약 테이블
출생 1925년 함경북도 청진
사망 2006년 04월 11일
수상 1960년 대종상 감독상(<로맨스 빠빠>), 2006년 한국영화인복지재단 선정 영화인 명예의 전당 위대한 영화감독
데뷔 1952년 <악야>

생애와 이력

한국의 영화감독 겸 제작자. 신상옥은 1925년 함경북도 청진에서 태어났고, 아버지가 한의사였던 덕분에 유복한 유년기를 보냈다. 아버지는 신상옥이 집안의 가업을 이어받기를 원했으나, 그는 영화와 문학에 관심이 많아 찰리채플린의 영화와 한국의 고전영화를 보며 영화에 심취하는 것을 더 좋아했다. 1944년 신상옥은 화가가 되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가 미술공부를 하였다. 그러나 신상옥은 미술공부를 중도에 포기하고 다음해 귀국하였다. 이즈음 신상옥은 생활고에 시달렸고, 형 신태선의 권유로 ‘고려영화협회’의 미술부에 입사하여 자신의 전공을 살릴 수 있는 그림으로 영화포스터를 그리거나 세트 제작 일을 도왔다. 그러다가 최인규의 영화 <자유만세>(1946)를 보고 영화에 대한 새로운 열망이 생겼고, 이에 신상옥은 영화인이 되기로 결심하였다. 이후 그는 최인규 밑에서 일을 하게 되었고 신상옥은 본격적으로 영화 일에 배우게 되었다(신상옥, 『나는 영화였다』).

신상옥은 최인규 감독에게 영화 촬영과 편집 기술 등을 직접 배우고, 익히면서 연출에 대한 감각을 익혀나갔고, 영화제반과 관련해서 많은 부분을 독학했다. 이후 신상옥은 고려영화협회를 떠나 자신만의 영화를 만들기 위해 1948년 영상예술협회를 차렸고, 이 영화사는 훗날 한국영화발전의 밑거름이 되었던 영화사 '신필름'의 전신인 영화사였다. 그리고 1952년 스물여섯에 집안의 도움으로 <악야>(1952)를 제작, 연출하였고, 이 영화는 신상옥의 데뷔작이 되었다.

작품 세계

<악야>(1952)는 리얼리즘 경향의 작품이었다. 신상옥은 한국 전쟁 뒤의 비참하고 절망적인 사회현실을 미래가 보이지 않는 작가와 미군에게 몸을 파는 양공주의 모습을 통해 전달하려 했다. 집세를 내지 않아 쫓겨날 처지의 작가와 비참한 생활을 하는 양공주의 처지를 통해 참담한 현실을 살아가는 당대인의 표상을 보여준 작품이었다. 이 영화는 원래 한국전쟁 이전에 제작이 완료되었으나, 전쟁으로 인해 개봉이 늦추어졌고, 1952년에 비로소 첫 작품을 상영할 수 있었다.

신상옥은 여섯 번의 영화를 제작하고, 연출하는 동안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는데, 그는 비로소 일곱 번째 영화를 통해 그의 이름을 대중들에게 알리게 되었다. 프랑스 영화를 원작으로 하는 <어느 여대생의 고백>(1958)이라는 영화를 통해 대중성과 예술성을 겸비한 감독으로 새롭게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이후 그는 멜로드라마에 강한 면모를 보여주었고, 이것을 기반으로 신상옥은 신필름의 기반을 닦아나가기 시작하였다.

1959년에는 임화수의 한국연예주식회사의 지원을 받아 대자본 스펙터클 사극영화 <독립협회와 청년 리승만>(1959)을 만들었다. 이 영화에서 이승만은 정의롭고 인간적이며 리더십이 넘치는 완벽한 영웅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이 영화는 자유당 정권 말기 정권유지를 위한 선전영화라는 비난을 받기도 했다. 1960년에는 영화제작을 위해 설립했던 ‘신상옥 프로덕션’과 ‘서울영화사’을 확장 개편하여 영화사 ‘신필름’을 창립하였다. 영화제작의 안정화와 전문화를 꿈꾸었던 ‘신필름’을 기반으로 신상옥은 1960년대 자신의 대표작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로맨스 빠빠>(1960)를 시작으로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 <성춘향>(1961), <상록수>(1961), <연산군>(1962), <폭군 연산>(1962)<벙어리 삼룡>(1964), <빨간 마후라>(1964) 등이 이 시기 작품들이다.

로맨스 빠빠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로맨스 빠빠>(1960)는 경쟁사회에서 밀려난 50대 가장의 고뇌를 그리고 있는데, 감원의 대상이 된 아버지를 위로하는 가족들의 따뜻한 정이 돋보이는 홈 드라마 계열의 작품이었다. 주요섭의 원작을 옮긴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는 한국 문예영화의 대표작으로 꼽힌다. 영화는 흥행 뿐 아니라 대종상(감독상, 각본상, 특별장려상), 부일영화제(작품상, 감독상, 여우주연상), 아시아영화제(최우수작품상)에서 수상했고, 23회 베니스국제영화제, 35회 아카데미영화제, 13회 에든버러영화제 등에 출품되면서 작품성까지 인정을 받았다. <성춘향>(1961)은 당시 라이벌이었던 홍성기 감독의 <춘향전>(1961)과 동시 개봉 경쟁으로 화제에 오르면서 그 해 최고 흥행작에 등극하기도 했다. 당시 신문 기사에 따르면, “<성춘향>(1961)은 <춘향전>(1961)의 평면적인 색조에 비해, 코닥필름으로 촬영하고 일본 동양현상소에서 프린트를 제작하여 칼라는 현란하고 화려하면서도 고전적인, 본격화된 컬러”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는 신상옥이 미술공부를 위해 일본에서 유학하던 시기 알게 된 일본영화계 인사와의 친분 때문에 가능했다고 그는 회상하였다. 또 일본의 영화 지인들은 <이조잔영>(1967), 북한에서 <불가사리>(1985)를 만들 때, 납북된 뒤 북에서 탈출할 때에도 많은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제작자, 감독으로 전성기를 누린 1960년대에 비해 1970년대는 시련과 암흑의 시기였다. 1970년대 초 무리한 제작과 대형 합작영화로 인한 경영 부실, 국내 영화계 불황으로 인해 ‘신필름’은 부도에 이르고, 정부로부터 제작허가까지 취소당해 신상옥의 입지는 크게 축소되었다. 1973년 ‘신필름’은 ‘신 프로덕션’이라는 제작사로 전락하여 신필름 제작체제는 완전히 붕괴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중 장르 영화감독으로 신상옥은 작품 활동을 계속했지만, 1978년 1월 부인 최은희가 홍콩에서 실종되어 납북되는 사건이 벌어진다. 실종된 최은희를 찾고, 해외에서의 활동을 모색하기 위해 한국을 떠난 신상옥까지 6개월 뒤 납북되어, 그는 북한에서 활동을 하게 된다.

신상옥은 1986년 북한을 탈출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영화 제작에 전념했다. KAL기 폭파 사건을 소재로 한 <마유미>(1990), 정치영화 <증발>(1994), 할리우드에서 만든 아동 액션물 <닌자 키드>(1993) 등을 연출했다. 신상옥의 영화에 대한 집념은 말년까지 지속되어, 2004년에는 치매에 걸린 시아버지와 며느리 사이의 이야기를 다룬 <겨울이야기>를 연출했다. 2003년에는 ‘안양신필름예술센터’를 설립했고, 동아방송대학 석좌교수로 재직하는 등 후학양성에도 힘을 기울였으며, 제56회 칸국제영화제 회고전에 <상록수>(1961)가 초청되기도 했다. 2004년 간이식 수술을 받고 치료해오다 2006년 4월 11일 별세했다.

영화사적 평가

제작자 겸 영화감독으로서 신상옥은 유현목, 김기영, 김수용과 함께 1960-1970년대 한국영화를 대표하는 인물이었다. 감독으로서 뿐 아니라 한국영화사에서 유일무이한 할리우드 식 메이저 스튜디오였던 ‘신필름’을 설립하고, 영화왕국을 꿈꾸었던 거물 제작자였다. 한국영화사가 이영일은 “영화예술에 몰두했고, 그의 작품 속 히로인을 아내로 삼았으며, 불령(不逞)스러울 만큼의 의지로 영화의 왕국을 만들려고 기도했다. 신상옥은 영화라는 신화 속에서 살아왔다. 그러므로 우리는 신상옥 영화예술의 미와 함께 영화사회적인 모순 또는 트리비얼리즘도 함께 사랑하고 능글맞게 수용해야 한다.”라고 그의 『신상옥론』(『영상시대』 1978년 여름호)에서 밝히고 있다. 시대와, 장르, 국경, 이데올로기를 종횡무진 넘나드는 역동적인 영화 인생을 살았던 신상옥은 주제와 장르, 스타일 면에서 엄청난 양과 폭을 가진 작품 세계를 구축했던 전무후무한 대중영화 작가로 평가된다.

작품 목록

<악야>(The Evil Night (Ag-ya), 한국, 1952)
<코리아>(Korea(Koli-a(Korea)), 한국, 1954)
<꿈>(Dream (Kkum), 한국, 1955)
<젊은 그들>(The Youth (Jeolm-eun geudeul), 한국, 1955)
<무영탑>(Muyoung Tap (The Shadowless Pagoda / The Pagoda of No-Shadow / Mu-yeongtab), 한국, 1957)
<어느 여대생의 고백>(A College Woman’s Confess (Eoneu yeodaesaeng-ui gobaeg), 한국, 1958)
<지옥화>(The Flower in Hell (Ji-oghwa), 한국, 1958)
<독립협회와 청년 이승만>(Independence Association and young Lee Shung-Man (Doglibhyeobhoe-wa cheongnyeon I Lee Seungman), 한국, 1959)
<그 여자의 죄가 아니다>(It’s Not Her Sin (Geu yeoja-ui joega anida), 한국, 1959)
<동심초>(Dongsimcho(Dongsimcho), 한국, 1959)
<춘희>(Chun-Hi(Chunhui), 한국, 1959)
<자매의 화원>(A Sister’s Garden (Jamae-ui hwa-won), 한국, 1959)
<이 생명 다하도록>(To The Last Day (I saengmyeong dahadolog), 한국, 1960)
<백사 부인>(Madam white snake (Baeksabu-in), 한국, 1960)
<로맨스 빠빠>(A romantic papa (Lomaenseuppappa(Romanceppappa)), 한국, 1960)
<상록수>(Evergreen Tree (Sangnoksu ), 한국, 1961)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Mother and a Guest (Sarangbang Sonnimgwa Eomeoni, 한국, 1961)
<성춘향>(Seong Chun-hyang (Seong Chun-hyang), 한국, 1961)
<연산군>(Prince Yeonsan (Yeonsan-gun), 한국, 1961)
<구봉서의 벼락부자>(An Upstart (Gu Bong-seo-ui Byeorakbuja), 한국, 1961, 제작)
<서울의 지붕 밑>(Under the Sky of Seoul (Seoul-ui Jibungmit), 한국, 1961, 제작)
<의적 일지매>(Iljimae the Chivalrous Robber (Uijeok Iljimae), 한국, 1961, 제작)
<돌아온 사나이>(A returned man (Dol-a-on sana-i), 한국, 1960, 제작)
<사랑의 역사>(A love history (Salang-ui yeogsa), 한국, 1960, 제작)
<열녀문>(Bound by Chastity Rule (Yeollyeomun), 한국, 1962)
<폭군연산>(Tyrant Yeonsan (Pokgun Yeonsan), 한국, 1962)
<산색시>(A Wife from a Mountain Village (Sansaeksi), 한국, 1962, 제작)
<아름다운 수의>(Beautiful Shroud (Areumda-un Su-ui), 한국, 1962, 제작)
<불러도 대답없는 이름이여>(A Sad Cry (Bulleodo Daedab-eomneun Ireumi-yeo), 한국, 1962, 제작)
<무정>(Cool and Cold (Mujeong), 한국, 1962, 제작)
<대심청전>(The Story of Sim Cheong (Dae-Sim Cheong-jeon), 한국, 1962, 제작)
<가족회의>(Family Meeting (Gajog Hoe-ui), 한국, 1962, 제작)
<검풍연풍>(Swordsman and Love (Geompung-yeonpung), 한국, 1962, 제작)
<마음대로 사랑하고>(And Love as You Want (Maeum-daero Sarang Hago), 한국, 1962, 제작)
<원한의 일월도>(Revenge (Wonhanui Irwoldo), 한국, 1962, 제작)
<와룡선생 상경기>(Teacher Waryong’s Trip to Seoul (Waryong Seonsaeng Sang-gyeong-gi ), 한국, 1962, 제작)
<원한의 일월도>(Revenge (Wonhanui Irwoldo), 한국, 1962, 제작)
<강화도령>(A Reluctant Prince (Ganghwadoryeong), 한국, 1963)
<횃불>(The Torchlight (Hwaetbul), 한국, 1963)
<로맨스 그레이>(Love Affair (Romanseugrei), 한국, 1963)
<철종과 복녀>(King Cheoljong and Bongnyeo (Cheoljonghwa Bongnyeo), 한국, 1963)
<쌀>(Rice (Ssal), 한국, 1963)
<아무리 옷이 날개라지만>(No Matter How Fine Feathers Make Fine Birds (Amuri Osi Nalgaerajiman), 한국, 1963, 제작)
<쌍검무>(Ssangeommu (Ssanggeommu), 한국, 1963, 제작)
<나는 비밀이 있다>(I Have a Secret (Naneun Bimiri Itda), 한국, 1963, 제작)
<아버지 결혼하세요>(Dad, Please Get Married! (Abeoji Gyeolhonhaseyo), 한국, 1963, 제작)
<후라이보이 무전여행기>(Flyboy’s Penniless Trip (Huraiboi Mujeon-yeohaenggi), 한국, 1963, 제작)
<공범자>(A Confederate (Gongbeomja), 한국, 1963, 제작)
<며느리의 비밀>(A Daughter-in-law’s Secret (Myeoneuri-ui Bimil), 한국, 1963, 제작)
<보은의 구름다리>(The Cloud Bridge of Gratitude (Boeunui Gureumdari), 한국, 1963, 제작)
<재회>(Re(Jaehoe), 한국, 1963, 제작)
<유쾌한 3형제와 40인의 처녀>(The Jovial Threesome Brothers and the Forty Women (Yukwaehan Samhyeongjewa Sasip-inui Cheonyeo), 한국, 1963, 제작)
<빨간 마후라>(The Red Scarf (Ppalgan Mahura), 한국, 1964)
<벙어리 삼룡>(Deaf Samryongi (Beongeori Samryongi), 한국, 1964)
<해녀>(The women divers (Haeyeo), 한국, 1964, 제작)
<갈매기 우는 항구>(The Port Sea Gulls Sing a Song (Galmaegi Uneun Hanggu), 한국, 1964)
<님은 가시고 노래만 남어>(My Darling Has Passed Away, but His Song Still Remains (Nim-eun Gasigo Noraeman Nameo), 한국, 1964, 제작)
<김희갑의 청춘고백>(Kim Hee-gap’s "Confession of My Youth" (Kim Huigap-ue Cheongchungobaek), 한국, 1964, 제작)
<황금벌판의 혈투>(The Bloody Fight in the Golden Field (Hwanggeumbeolpan-ui Hyeoltu), 한국, 1964, 제작)
<검은상처의 부루스>(The Blues with the Black Scar (Geomeun Sangcheo-ui Bureuseu ), 한국, 1964, 제작)
<십자매 선생>(The Teacher with Ten Daughters (Sipjamae Seonsaeng), 한국, 1964, 제작)
<비련의 왕비 달기>(Princess Dalgi (Dalgi), 한국, 1964, 제작)
<이대로 죽을 수 없다>(I Cannot Die As It Is (Idaero Juk-eulsu Eopda), 한국, 1964, 제작)
<치마바위>(The Skirt Rock (Chima Bawi), 한국, 1964, 제작)
<배비장>(The Story of Bae Local Offcial (Baebijang), 한국, 1965)
<민며느리>(The Girl Raised as a Future Daughter-in-law (Minmyeoneuri), 한국, 1965, 제작)
<저 하늘에도 슬픔이>(Sorrow Even Up in Heaven (Jeo Haneul-edo Seulpeum-i), 한국, 1965, 제작)
<만가>(The Elegy (Manga), 한국, 1965, 제작)
<상속자>(The Heir (Sangsokja), 한국, 1965, 제작)
<무명가의 지배자>(The Ruler of the Unnamed Street (Mumyeongga-ui Jibaeja), 한국, 1965, 제작)
<청일전쟁과 여걸 민비>(The Sino-Japanese War and Queen Min the Heroine (Cheong-iljeonjaenggwa yeogeol Minbi), 한국, 1965, 제작)
<쥐구멍에도 볕들 날 있다>(Every Dog Has His Day (Jwigumeong-edo Byeotddeulnal Itda), 한국, 1965, 제작)
<이 여자를 보라>(Behold this Woman (I yeojareul Bora), 한국, 1965, 제작)
<나는 매국노>(I Am a Traitor (Naneun maegukno), 한국, 1966, 제작)
<흑도적>(Black Thief (Heukdojeok), 한국, 1966, 제작)
<서유기>(Journey to the West (Seoyugi), 한국, 1966, 제작)
(SOS Hong Kong (SOS Hong Kong), 한국, 1966, 제작)
<대폭군>(Tyrant (Daepokgun), 한국, 1966, 제작)
<월남전선 이상 없다>(Vietnam Is All Right (Wolnamjeonseon Isangeobda), 한국, 1966, 제작)
<숙부인>(Lady Suk (Sukbuin), 한국, 1966, 제작)
<다정불심>(Tender Heart (Dajeongbulsim), 한국, 1967)
<마적>(Mounted Bandits (Majeok), 한국, 1967)
<꿈>(Dreams (Ggum), 한국, 1967)
<산>(Mountain (San), 한국, 1967)
<이조잔영>(Traces (Ijojanyeong), 한국, 1967)
<66번가의 혈연(66번가의 무법자)>(Street N. 66 (66beongaui Hyeolyeon), 한국, 1967, 제작)
<돌지 않는 풍차>(Stationary Windmill (Doljianneun Pungcha), 한국, 1967, 제작)
<여자 베트콩 18호>(Female Viet Cong No. 18 (Yeojabeteukong Sippalho), 한국, 1967, 제작)
<여자의 일생>(The Life of a Woman (Yeoja-ui Ilsaeng), 한국, 1968)
<무숙자>(The Homeless Wanderer (Musukja), 한국, 1968)
<내시>(Eunuch (Naesi), 한국, 1968)
<대원군>(Prince Daewon (Dae-wongun), 한국, 1968)
<지금 그 사람은>(Where is he now (Jigeum Geu Sarameun), 한국, 1968, 제작)
<일식>(A Solar Eclipse (Ilsik), 한국, 1968, 제작)
<갈망>(Desire (Galmang), 한국, 1968, 제작)
<외출(흙바람)>(Outing (Oechul), 한국, 1968, 제작)
<밀명(密命)>(Secret Order (Milmyeong), 한국, 1968, 제작)
<풍랑객>(A Wonderer (Pungranggaek), 한국, 1968, 제작)
<언니의 일기>(The Sister’s Diary (Eunni-eui Ilgi), 한국, 1968, 제작)
<남자 식모>(A Male Housekeeper (Namja Singmo), 한국, 1968, 제작)
<밤하늘의 트럼펱>(Trumpet in Night Sky (Bamhaneurui Treompet), 한국, 1968, 제작)
<남>(Nam (Nam), 한국, 1968, 제작)
<눈보라>(Snowstorm (Nunbora), 한국, 1968, 제작)
<처녀의 조건>(Conditions of a Virgin (Cheonyeo-ui Jogeon), 한국, 1968, 제작)
<풍운아>(A Child of Winds and Clouds (Pung-una), 한국, 1968, 제작)
<여마적>(Female Bandits (Yeo Majeok), 한국, 1968, 제작, 기획)
<저 언덕을 넘어서>(Over the Hill (Jeo Eondeok-eul Neumeoseo), 한국, 1968, 제작)
<장한몽>(Day Dream (Janghanmong), 한국, 1969)
<여성상위시대>(Women Placed Above Men (Yeoseong Sang-wi Sidae), 한국, 1969)
<사녀>(Dead Woman (Sanyeo), 한국, 1969)
<이조여인잔혹사>(Women of Yi-Dynasty (Ijo Yeoin Janhogsa), 한국, 1969)
<천년호>(Thousand Years Old Fox (Cheonnyeonho), 한국, 1969)
<속 내시>(Eunuch (Naesi), 한국, 1969)
<육군 김일병>(Private Kim (Yug-gun Gimilbyeong), 한국, 1969)
<오부자>(Father and Sons (Obuja), 한국, 1969, 제작)
<내일은 죽을지라도>(Tomorrow (Naeil-eun Jugeuljirado), 한국, 1969, 제작)
<시댁>(Husband’s House(Sidaeg), 한국, 1969, 제작)
<눈물의 여인> (A Women of Tears (Nunmul-ui Yeoin), 한국, 1969, 제작)
<독신녀>(Single Woman (doksinnyeo), 한국, 1969, 제작)
<남자와 기생>(A Man And a Gisaeng (Namjawa Gisaeng), 한국, 1969), 제작
<북경 열차>(A Train to Beijing (Bukgyeong Yeolcha), 한국, 1969, 제작)
<검은 야회복>(Black Evening Gowns (Geomeun Yahoebok), 한국, 1969, 제작)
<팔없는 검객>(Armless Swordsman (Pareomneun Geomgaeg), 한국, 1969, 제작)
<여자가 고백할 때>(Confess of Woman (Yeojaga Gobaeghal Ttae), 한국, 1969, 제작)
<애와 사(말하는 인형)>(Love and Death (Ae-wa sa), 한국, 1970, 제작)
<만종>(The Evening Bell (Manjong), 한국, 1970)
<이조괴담>(A Ghost Story of Joseon Dynasty (Ijogoedam), 한국, 1970)
<사랑에 목숨걸고>(All for Love (Salang-e mogsumgeolgo), 한국, 1970, 제작)
<먼데서 온 여자>(A woman who came a long away (Meondeseo on yeoja), 한국, 1970, 제작)
<5인의 왼손잡이>(5inui oensonjabi, 한국, 1970, 제작)
<연애도적>(Two thieves in love (Yeon-aedojeog), 한국, 1971, 제작)
<칠인의 협객>(Seven Warriors (7Inui Hyeopgaek), 한국, 1971, 제작)
<음양도>((Finger of Doom (Eum-yangdo), 한국, 1971, 제작)
<옥중도>(Invasion of Mongols (Ogjungdo), 한국, 1971, 제작)
<천마산의 결투>(Final facedown in Cheonma mountain (Cheonmasan-ui gyeoltu), 한국, 1971, 제작)
<행복한 이별>(Glad to Say Goodbye (Hangboghan ibyeol), 한국, 1971, 제작)
<포상금>(Bounty (Posanggeum), 한국, 1971, 제작)
<철랑자>(The iron lady (Cheolnangja), 한국, 1971, 제작)
<대표객>(The great swordsman (Daepyogaeg), 한국, 1971, 제작)
<전쟁과 인간>(War and human being (Jeonjaenggwa ingan), 한국, 1971)
<평양 폭격대>(The last flight to Pyongyang (Pyeong-yangpoggyeogdae), 한국, 1971)
<연애도적>(Two thieves in love (Yeon-aedojeog), 한국, 1971)
<철인>(The King Boxer /Five Fingers of Death /An iron man, 한국, 홍콩, 1972, 제작)
<장화홍련전>(Jang-HwaandHong-Ryeon:Astoryoftwosisters (JanghwaHongryeonjeon), 한국, 1972, 제작)
<여당수>(Yeodangsu (Yeodangsu), 한국, 1972, 제작)
<혈보산천>(Hyeolbosancheon (Hyeolbosancheon), 한국, 1972, 제작)
<흑수도>(Heuksudo (Heugsudo), 한국, 1972), 제작
<궁녀>(A court lady (Gungnyeo), 한국, 1972)
<효녀 심청이>(Sim Cheong (Hyonyeo Sim Cheong-i), 한국, 1972)
<흑객>(Black Swordman (Heuggaeg), 한국, 1972, 제작)
<삼일천하>(Three days of their reign (Sam-ilcheonha), 한국, 1973)
<반혼녀>(A woman with half soul (Banhonnyeo), 한국, 1973)
<이별>(Farewell (Ibyeol), 한국, 1973)
<교장선생 상경기>(The principal visits Seoul (Gyojangseonsaeng sanggyeonggi), 한국, 1973, 제작)
<누나>(Sister (Nuna), 한국, 1973, 제작)
<원녀>(A resented woman (Wonnyeo), 한국, 1973, 제작)
<처녀수첩>(A young girl’s memorandum (Cheonyeo-ui sucheob), 한국, 1973, 제작, 각본)
<대결투>(The Deadly Knives (Daegyeoltu), 한국, 1973, 제작)
<흑권>(Heukgwon (Heuggwon), 한국, 홍콩, 1973, 제작)
<한강>(The Han river (Hangang), 한국, 1974)
<13세 소년>(A boy at his age of 13 (Sipsamse Sonyeon), 한국, 1974)
<장미와 들개>(Rose and Wild Dog (Jangmi-wa deulgae), 한국, 1975)
<아이 러브 마마>(I Love Mama (A-ileobeu(I love) mama(mama), 한국, 1975)
<춘희 ’75>(Chun-Hee ’75 (Chunhui’75), 한국, 1975)
<여수 407호>(Woman Prisoner No. 407 (Yeosu 407ho), 한국, 1976)
<속 여수 407호>(Woman Prisoner No. 407 II (Yeosu 407ho), 한국, 1976)
<탈출기>(Runaway (TalChulGi), 북한, 1984)
<돌아오지 않은 밀사>(The Hero Noreturn (doraoji aneun milsa), 북한, 1984)
<사랑 사랑 내 사랑>(Love, Love My Love (Sarang Sarang Nae Sarang), 북한, 1985)
<소금>(Salt (SoGeum), 북한, 1985)
<불가사리>(Pulgasari (BulGaSaRi), 북한, 1985)
<심청전>(Sim Cheongjeon, 북한, 1985)
<방파제>(bangpaje, 북한, 1985)
<온달전>(OnDalJeon, 한국, 1986)
<마유미>(Ma Yumi (Mayumi), 한국, 1990)
<닌자키드>(NinJaKiDeu, 미국, 1993)
<증발>(Vanished (Jeungbal), 한국, 1994, 각본)
<닌자 키드 2 - 돌아온 닌자 키드>(NinJaKiDeu 2 - Ninjas Kick Back, 미국, 1994, 기획, 각본)
<닌자 키드 3>(NinJaKiDeu 3 - Ninjas Knuckle Up, 미국, 1995)
<꿈>(Dream (Kkum), 한국, 1995, 각색)
<겨울이야기>(GyeoUrIyaGi, 한국, 2004)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Daum백과] 신상옥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