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근현대 영화
인사전

노재신

다른 표기 언어 NOH Jae-sin , 盧載信 동의어 노갑순
요약 테이블
출생 1916년
사망 2003년
본명 노갑순
데뷔 1935년 <춘향전>

요약 노재신은 일제 강점기와 해방 이후 한국의 영화배우로 활동했다. 노재신은 1934년 경성촬영소에 가입하여 본격적으로 영화배우 활동을 시작했다. 경성촬영소는 1935년 9월 〈춘향전〉의 제작과 촬영을 주도했는데 이 영화는 조선 최초의 발성영화였다. 노재신은 문예봉과 함께 출연하였는데, 문예봉이 춘향 역을, 노재신이 향단 역을 맡았다. 해방 이후 그녀는 많은 영화에 단역 혹은 조역으로 출연했다. 〈교차로〉, 〈천추의 한〉, 〈심청전〉, 〈사도세자〉 등이 해방 후에 출연한 작품이었다. 노재신은 점차 노역을 맡는 사례가 늘어났다. 한국 영화사에서 주목되는 영화 〈오발탄〉에서 ‘가자’를 반복하는 노인(‘실성한 노파’) 역으로 출연한 바 있다.

생애와 이력

노재신 NOH Jae-sin 盧載信(1916~2003)

일제 강점기 조선의 영화배우. 노재신은 1916년에 태어났고 본명은 노갑순이었다. 집안 사정이 어려워지면서 학교를 그만두자, 무용을 배우는 수강생으로 연예계에 발을 들여놓았는데, 그 최초의 무용강습소가 최승희무용연구소였다. 이후 그녀는 대중극단의 배우로 활동하였는데, 그녀가 가입한 극단은 황금좌나 조선연극사 같은 주요 대중극단이었다. 이곳에서 그녀는 주로 무용을 담당했다고 한다.

작품 세계

노재신은 1934년 경성촬영소에 가입하여 본격적으로 영화배우 활동을 시작했다. 경성촬영소는 1935년 9월 〈춘향전〉의 제작과 촬영을 주도하였다(「전발성 조선영화 춘향전」, 『동아일보』). 이 영화는 조선 최초의 발성영화로, 1935년 10월 4일 단성사에서 개봉하였는데, 노재신은 문예봉과 함께 출연하였는데, 문예봉이 춘향 역을, 노재신이 향단 역을 맡았다. 김유영은 노재신의 가치를 알아보고 상찬을 아끼지 않은 평론가 중 하나였는데, 주로 경성촬영소 시절 작품에서 노재신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할 수 있다.

경성촬영소의 두 번째 발성영화는 〈아리랑고개〉였다. 이 작품은 1935년 12월 3일 조선극장에서 개봉하였고, 고려영화배급소에 의해 배급(제공)되었다(「발성조선영화 경성촬영소 2회 작품 고려영화배급부제공」, 『매일신보』). 〈아리랑고개〉는 와케지마 슈지로 제작 작품으로 종의 자식(문예봉 분)과 양반집 자제(노재신 분)의 사랑을 다룬 영화였다.

노재신은 세 번째 영화 〈오몽녀〉에서 주인공으로 등장하였다. 〈오몽녀〉는 감독 나운규, 촬영 이명우, 출연 윤봉춘․임운학․노재신․최운봉으로 제작된 작품이었다. 이 작품은 경성촬영소 마지막 극영화 제작 작품이었다. 안석영은 이 작품에서 노재신이 ‘숙달된 연기’를 선보였다고 칭찬했고, 김유영도 노재신이 ‘〈오몽녀〉의 주연’ 역에 적격이었다고 평가했다.

한편 노재신은 해방 이전에는 주로 고협에서 극단원으로 활동했다. 고협 단체 1939년 3월, 영화제작사인 고려영화협회가 조직한 방계의 연극단체로, 노재신(盧載信) 외에도 독은기(獨銀麒), 박제행(朴齊行), 서월영(徐月影), 심영(沈影), 전택이(田澤二), 주인규(朱仁奎), 지계순(池季順) 등이 주요 단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이들은 연극에도 출연했지만, 사안에 따라 영화에 출연하기도 했는데, 노재신은 주로 연극 배우로만 활동했다.

낙화유수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해방 이후 그녀는 많은 영화에 단역 혹은 조역으로 출연했다. 〈교차로〉, 〈천추의 한〉, 〈심청전〉, 〈사도세자〉 등이 해방 후에 출연한 작품이었다. 노재신은 점차 노역을 맡는 사례가 늘어났다. 한국 영화사에서 주목되는 영화 〈오발탄〉에서 ‘가자’를 반복하는 노인(‘실성한 노파’) 역으로 출연한 바 있다. 그녀의 남편은 엄재근으로, 그녀와의 사이에 엄앵란을 낳았다. 엄앵란은 노재신의 대를 이어 아역 배우로 명성을 날린 바 있다. 2003년 세상을 떠났다.

오발탄

ⓒ Daum 영화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작품 목록

〈춘향전〉(The Story of Chun-hyang(Chunhyangjeon), 조선, 1935, 출연)
〈아리랑고개〉(Arirang Pass(Alilanggogae), 조선, 1935, 출연)
〈오몽녀〉(Oh Mong-nyeo(Omongnyeo), 조선, 1937, 출연)
〈태양의 거리(The Street of Seon(Tae-yang-ui geoli), 한국, 1952, 출연)
〈청춘〉(The Youth(Cheongchun), 한국, 1953, 출연)
〈교차로〉(The Crossroad(Gyochalo), 한국, 1956, 출연)
〈천추의 한〉(A Lasting Regret(Cheonchu-ui Han), 한국, 1956, 출연)
〈심청전〉(The Life of Sim-Cheong(Sim Cheongjeon), 한국, 1956, 출연)
〈사도세자〉(The Tragic Prince(Sadoseja), 한국, 1956, 출연)
〈잊을 수 없는 사람들〉(The Unforgettable Peoble(Ij-eul su eobsneun salamdeul), 한국, 1957, 출연)
〈낙화유수〉(Fallen Blossoms On A Stream(Naghwa-yusu), 조선, 1958, 출연)
〈흐르는 별〉(The Flowing Star(Heuleuneun byeol), 한국, 1958, 출연)
〈실락원의 별 후편〉(The Star of Lost Paradise(a sequel), 한국, 1958, 출연)
〈오발탄〉(Aimless Bullet(Obaltan), 한국, 1961, 출연)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근현대 영화인사전
근현대 영화인사전 | 저자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 cp명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사전은 전 세계 영화인들을 대상으로 한 인명사전으로, 온라인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형태로 작성되었다. 본 사전의 표제어는 1) 한국권 (북한 포함), 2) 영..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Daum백과] 노재신근현대 영화인사전,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 김이석/차민철, 동의대학교 영상미디어센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