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농작업자는 각 작목특성에 따라 재배지 관리, 병해충 방제, 생육 관리, 수확 및 선별 등의 작업을 수행하면서 농업노동환경의 다양한 건강 유해요인에 노출된다. 노동시간 면에서도 연간 균일한 노동력을 투여하는 것이 아니라, 작목별 농번기와 농한기에 따라 특정 기간 동안에 일의 부담이 집중되는 특성이 있다.
또한 농업인력 고령화와 노동 인력 부족으로 인해 농기계, 농약 등 농기자재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따라서 농업노동의 유해요인은 더 다양해 지고, 아차사고가 중대 재해로 이어지는 경우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관행적 농업활동에 익숙했던 농업인들이 노동환경 변화에 적응하고자 무리하게 작업을 하게 됨에 따라 작업자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요인에 빈번하게 노출되고 있다. 더욱이 새 위험 요소에는 정보나 안전교육이 미흡하여 농업인 업무상 재해의 발생 가능성은 커지고 있다.
농촌진흥청이 연구를 통하여 보고하거나 국내외 문헌 등에서 공통으로 확인되는 농업노동환경의 주요 유해요인으로는 근골격계 질환을 발생시키는 인간공학적 위험 요소, 농약, 분진, 미생물, 온열, 유해가스, 소음, 진동 등이 있다(표 1, 그림 2).
작목 대분류 | 유해요인 (관련 농업인 업무상 재해) |
---|---|
벼농사 | 농기계 협착 등 안전사고(신체손상), 곡물 분진(천식, 농부폐증 등), 소음/진동(난청) |
과수 | 인간공학적 위험 요소(근골격계 질환), 농약(농약 중독), 농기계 전복, 추락 등 안전사고(신체손상), 소음/진동(난청) |
과채, 화훼 (노지) |
인간공학적 위험 요소(근골격계 질환), 농약(농약 중독), 농기계 전복 안전사고(신체손상), 자외선 (피부질환), 온열(열사병 등), 소음/진동(난청) 등 |
과채, 화훼 (시설하우스) |
인간공학적 위험 요소(근골격계 질환), 농약(농약 중독), 트랙터 배기가스 (일산화탄소 중독 등), 온열 (열사병 등), 유기분진(천식 등), 소음/진동(난청) |
축산 | 가스 중독 (질식사고 등), 가축과의 충돌 및 추락 등 안전사고(신체손상), 동물매개 감염(인수공통 감염병), 유기분진(천식, 농부폐증 등) |
기타 | 버섯 포자(천식 등), 담배(니코틴 중독), 생강저장굴(산소 결핍, 질식사 등) |
농업인 업무상 재해의 작목별 특성을 보면 인간공학적 요인은 모든 작목의 공통적인 문제이며, 특히 하우스 시설 작목과 과수 작목의 위험성이 상대적으로 높다. 농약의 경우 과수 및 화훼 작목이 벼농사 및 노지보다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
미생물의 경우 축산농가와 비닐하우스 내 작업에서 대부분 노출 기준을 초과하는 위험한 수준이었으며, 온열 및 유해가스의 경우도 하우스 시설과 같이 밀폐된 공간에서 문제가 되었다. 소음 및 진동은 트랙터, 방제기, 예초기 등 농기계를 사용하는 작업에서의 노출 위험이 보고되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내용은 농촌진흥청의 저작물로 공공누리유형의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http://lib.rda.go.kr)에서 농업기술길잡이를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전체목차
산업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농업환경 유해요인의 종류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 – 복숭아 재배, 농촌진흥청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