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가. 약용작물의 환경조건
약용작물은 일정한 환경조건에서 생장발육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환경조건은 기후, 토양, 다른 생물적인 것도 있지만 어떤 인자는 약용작물의 분포 및 생장과 발육, 약효성분의 생합성 등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인자는 독립적이라기보다는 상호 연관 또는 상호제약에 의해 하나의 생태조건을 부여하게 된다.
즉 하나의 생태인자와 변화는 다른 생태조건에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면 강수는 대기 및 토양수분과 온습도, 일사량, 병해충의 발생소장(消長) 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미세기상이나 미세토양조건 등 세분화된 생태조건은 같은 지역에 같은 필지의 논밭에서도 각기 다를 수가 있다. 그러므로 어떤 한 가지의 인자가 변할 때 다른 인자의 변화로 수반되는 요인을 고려하여 재배관리에 힘써야 할 것이다.
나. 우리나라의 환경조건
(1) 봄의 건조
얼음이 녹아 땅이 풀리고 약초를 파종 또는 정식을 하고 출아하는 4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는 초기 생육에 매우 중요한 시기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봄의 기후는 매년 비가 적고 토양이 건조하며 저온으로 발아 출현까지 시일이 오래 걸린다. 또한 수분부족으로 발아하지 못하거나 발아하던 종자가 말라 죽어 입모확보가 어려워지기도 한다. 이뿐만 아니라 진딧물을 비롯한 병해충에 의한 피해도 극심하다.
그러므로 약용작물을 잘 재배하려면 비교적 보수력이 좋은 땅에 유기물을 충분히 주고 깊이 갈이하여 이랑을 높게 만든다. 심는 깊이를 약간 깊게 하고 지하의 모세관과 수분 연결이 잘되도록 살짝 눌러준다. 작물에 따라서 종자를 얕게 파종해야만 싹이 나오는 당귀, 시호, 백지, 방풍, 만삼 같은 약용작물은 파종 후 충분한 양의 물을 주고 수분유지를 위하여 볏짚을 덮어주었다가 싹이 나온 후 걷어 주거나 젖은 톱밥 혹은 왕겨를 덮어준다.
봄철 건조기에 싹이 잘 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전년가을 땅이 얼기 전에 밑거름으로 수분유지가 잘되는 퇴비 등 유기질 비료를 뿌리고 깊이 갈아 놓았다가 봄에 파종할 때 흙덩이만 깨고 정지하여 파종하면 된다. 이러면 지하 깊은 곳의 수분이 모세관 현상에 의해 지표면까지 연결되어 쉽게 마르지 않으므로 출아율이 증가한다.
특히 패모 같은 약초는 봄철 건조기가 가장 생육이 왕성할 때이므로 가을에 심을 때 다소 깊이 심어야 하며, 잘 썩은 퇴비나 깻묵 등 유기물을 많이 넣어 주고 볏짚 같은 것을 썰어서 지표면을 피복해 주도록 한다. 비교적 봄철 건조기에 잘 견디는 약용작물로는 결명자, 맥문동, 목단, 작약, 지황, 천궁, 홍화 등이 있고 봄철 건조에 약한 작물로는 시호, 당귀, 현삼, 황기 등이 있다.
(2) 여름철 긴 장마
우리나라는 6월 하순부터 8월 초까지 연 강수량의 절반(600mm) 이상이 내려 비옥한 표토가 유실될 뿐 아니라 과습한 상태가 계속되는데 이는 당귀, 작약, 지황, 황기 같은 숙근성 약용작물의 뿌리를 상하게 한다. 또한 잡초가 무성하게 자라 잡초와의 경합으로 생육이 부진할 뿐 아니라 병해가 만연하여 약용작물의 재배에 어려움을 가중시킨다. 이와 같은 장마기에는 이랑을 높이고 배수구를 정비하여 물이 잘 빠지도록 해야 하며, 이때 파종되는 종자는 파종량을 다소 늘려 준다.
(3) 가을 건조기
가을로 접어드는 9월부터는 맑은 날씨가 계속되는데, 이때 종자를 생산하는 약초는 햇빛을 많이 받아 결실이 잘되어 좋다. 그러나 늦가을까지 생장이 지속되는 당귀, 방풍, 백지, 시호, 천궁 등은 오랜 기간 동안 가뭄이 계속되면 뿌리의 비대생육이 저해되므로 적당한 관수를 해주어야 한다. 그리고 웃거름을 늦게까지 주면 잎만 무성하고 뿌리의 비대생육이 제대로 되지 않으므로 웃거름은 8월 초까지만 주는 것이 좋다.
(4) 겨울의 혹한기
우리나라의 중부 이북 지방은 남부 지역보다 겨울이 길고 추위가 혹심하다. 따라서 종자나 종묘를 가을뿌림하거나 심으면 겨울 동안 얼었다 녹았다 하기 때문에 종자 및 종근이 지상으로 노출되어 건조 피해나 어는 피해를 입게 되므로, 복토에 주의하고 퇴비나 볏짚 등을 덮어주어 피해를 막도록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내용은 농촌진흥청의 저작물로 공공누리유형의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농촌진흥청 농업과학도서관(http://lib.rda.go.kr)에서 농업기술길잡이를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약용작물의 재배관여 인자 – 약용작물, 농촌진흥청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