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농어목 > 전갱이과 > 전갱이속 |
---|---|
서식지 | 연안의 중층과 저층 |
학명 | Trachurus japonicus (Temminck & Schlegel, 1844) |
국내분포 | 우리나라 전 해역 |
해외분포 | 세계의 온대 해역 |
개요
몸길이가 40cm가량인 바닷물고기이다. 몸은 원뿔형으로 눈은 크고 측선 전체는 방패비늘이 덮고 있다. 등은 암청색이며 배는 은백색을 띤다. 무리를 지어 연안의 중층과 저층에서 유영 생활을 한다. 어릴 때는 요각류, 젓새우류 등 소형 플랑크톤을 먹다가 자라면서 젓새우, 소형새우 등 대형 플랑크톤 외에 작은 어류, 오징어류 등도 잡아먹는다. 산란은 4-7월에 한다. 우리나라 전 해역에 서식하며, 세계의 온대 해역에 분포한다. 봄부터 가을까지 잡힌다. 회, 건어물, 소금구이, 튀김, 초밥의 재료로 이용한다. 전광어, 메가리, 가라지, 빈쟁이, 각재기, 매생이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형태
눈은 크고 측선 전체는 방패비늘이 덮고 있다. 등은 암청색이며 배는 은백색을 띤다.
생태
무리를 지어 연안의 중층과 저층에서 유영 생활을 한다. 어릴 때는 요각류, 젓새우류 등 소형 플랑크톤을 먹다가 자라면서 젓새우, 소형새우 등 대형 플랑크톤 외에 작은 어류, 오징어류 등도 포식한다. 산란기는 4-7월이다.
이용
회, 건어물, 소금구이, 튀김, 초밥의 재료로 이용된다.
해설
전광어(경남), 메가리(부산), 가라지(완도), 빈쟁이(함남), 각재기(제주), 매생이(전남) 등으로 불린다. 봄부터 가을까지 포획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국립생물자원관 김병직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전갱이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