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국립생물자원
관 생물다양
성정보

쥐노래미

다른 표기 언어 rock trout 동의어 돌삼치, 석반어
요약 테이블
분류 척삭동물문 > 조기어강 > 쏨뱅이목 > 쥐노래미과 > 쥐노래미속
서식지 바위와 해조류가 많은 연안
학명 Hexagrammos otakii Jordan & Starks, 1814
국내분포 우리나라 전 해역
해외분포 일본 북해도 이남, 동중국해 등

개요

몸길이가 30-40cm 정도 나가는 바닷물고기이다. 눈 위의 가장자리에는 가시가 있는 빗 모양의 비늘(피판, 皮瓣)이 있다.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직선이거나 약간 오목한 형태이다. 측선은 5개이다. 몸은 연한 황갈색에 짙은 갈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 바위와 해조류가 많은 연안에 서식하며 새우류와 작은 조개류, 어류 등을 먹고 산다. 10-1월에 산란하는데 알 덩어리를 해조류나 암반 등에 붙이고 수컷은 부화할 때까지 알을 보호한다. 노래미와 유사하나 노래미에 비해 배가 하얗고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가 약간 파여 있다. 우리나라 전 해역에 서식하며, 일본 홋카이도 이남, 동중국해 등에도 분포한다. 연중 잡히나 산란기인 11-12월은 금어기이다. 회, 소금구이, 튀김, 탕의 재료로 이용한다. 놀래미, 석반어라고도 부른다. 지방이 많고 단단하며 사시사철 맛이 좋다.

쥐노래미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형태

눈 위의 가장자리에는 피판이 있고, 꼬리지느러미 뒤 가장자리는 직선이거나 약간 오목한 형태이다. 측선은 5개이며 몸은 연한 황갈색에 짙은 갈색 무늬가 흩어져 있다.

생태

새우류와 작은 조개류, 어류 등을 먹는다. 산란기는 10-1월로서 알 덩어리를 해조류나 암반 등에 붙이고 수컷은 부화할 때까지 알을 보호한다.

이용

회, 소금구이, 튀김, 탕의 재료로 이용된다.

해설

놀래미(완도), 석반어(평남)로 불린다. 지방이 많고 단단하며 사시사철 맛이 좋다. 특히, 낚시 대상어로 인기가 높다. 노래미와 유사하나 노래미에 비해 배가 하얗고 꼬리지느러미 가장자리가 약간 패여 있다. 연중 어획되나 산란기인 11-12월은 금어기이다.

쥐노래미

근연종 노래미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국립생물자원관 김병직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반도가 품고 있는 생물자원에 관한 모든 것을 보여드립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쥐노래미과

추천항목


[Daum백과] 쥐노래미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