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현화식물문 > 목련강 > 국화목 > 국화과 > 께묵속 |
---|---|
서식지 | 습지, 도랑, 풀밭 |
학명 | Hololeion maximowiczii Kitam. |
국내분포 | 전국 |
해외분포 | 일본, 중국 |
개요
습지나 도랑 근처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높이 50-100cm이고 곧게 자라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모여 나고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줄기잎은 어긋나며 줄기 아랫부분에 많이 달린다. 잎몸은 선형의 도피침형으로 잎자루가 없고 줄기를 둘러싼다. 잎 양면은 모두 녹색이고 털이 없다. 꽃은 8-10월에 피며, 노란색의 머리모양꽃이 줄기나 가지 끝에서 산방상으로 달린다. 모인꽃싸개는 통 모양이고 자주색이다.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한다.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형태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길게 벋는다. 줄기는 곧게 자라며, 높이 50-100cm, 분록색이고 윗부분에서 가지를 친다. 뿌리잎은 모여 나며 꽃이 필 때까지 남아 있다. 줄기잎은 아랫부분에 많이 달리고 어긋난다. 잎자루는 없으며 잎몸은 도피침형, 끝은 뾰족하고 밑은 쐐기 모양으로 좁아지면서 줄기를 둘러싼다. 잎 양면은 모두 녹색, 털이 없다. 줄기 위로 가면서 잎이 작아진다. 꽃은 줄기와 가지 끝에서 머리모양꽃이 산방꽃차례로 달린다. 총포는 통 모양, 길이 13mm, 총포편은 2열로 배열하고 자주색이다. 머리모양꽃은 혀 모양의 양성꽃만 있으며, 노란색이고 끝이 5갈래로 갈라진다. 열매는 수과, 선형, 세로로 난 여러 개의 주름이 있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8-10월에 핀다.
이용
전초를 간염에 약으로 쓴다.
해설
본 종에 비해 총포가 길이가 10mm이고 외총포편의 길이가 1.5mm로 짧은 것을 좀께묵(var. fauriei (H. Lév. & Vaniot) J. H. Pak)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나혜련)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께묵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