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국립생물자원
관 생물다양
성정보

작약

다른 표기 언어 peony , 芍藥 동의어 작약화, 적작, 산적자, 함박꽃, 산함박꽃, 작약근, Peony root, common-peony
요약 테이블
분류 현화식물문 > 목련강 > 딜레니아목 > 작약과 > 작약속
서식지 낮은 산지, 민가(식재)
학명 Paeonia lactiflora Pall.
국내분포 전국
해외분포 러시아(동부, 시베리아), 몽골, 일본, 중국(동북부)
작약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개요

산지에 자라거나 민가에서 심어 기르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는 굵고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단면은 붉은색이다. 줄기는 높이 40-90cm이고 곧추서며 가지를 치고 털은 없다. 잎은 어긋나며, 세 갈래로 2번 갈라진 겹잎이다. 작은잎은 좁은 도란형 또는 긴 타원형, 피침형이다. 갈래조각의 밑은 좁아져서 날개 모양으로 흐른다. 꽃은 5-6월에 피며,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린다. 꽃잎은 9-13장이며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다. 열매는 골돌과이다. 우리나라 전역과 러시아, 몽골,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뿌리를 약용한다.

형태

뿌리는 굵고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단면은 붉은색이다. 줄기는 곧추서며, 높이 40-90cm, 가지를 치고 털은 없다. 잎은 어긋나며, 3갈래로 2회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좁은 도란형 또는 피침형이고 끝은 점차 뾰족해지며 밑부분은 쐐기 모양이고 가장자리는 가시 모양의 잔 톱니가 있다. 갈래조각의 밑부분은 점차 좁아지면서 날개 모양으로 잎자루에 연결된다. 잎 양면에 털이 없고 윤기가 난다. 꽃은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1개씩 달린다. 꽃받침잎은 4-5장이고 꽃잎은 9-13장이며 흰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다. 수술은 많고 노란색이며 암술은 3-5개이다. 열매는 골돌과이다.

생태

여러해살이풀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열매는 7-8월에 익는다.

이용

관상용, 약용(신경통, 위경련, 이뇨제)

해설

본 종에 비해 잎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는 것을 호작약(P. lactiflora Pall. var. hirta Regel), 씨방에 털이 밀생하는 것을 참작약(var. trichocarpa (Bunge) Stern)으로 구분한다. 재배품 중에는 겹꽃도 있다.

작약

ⓒ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SPECIES KOREA)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현진오, 나혜련)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전체항목 도서 소개

한반도가 품고 있는 생물자원에 관한 모든 것을 보여드립니다.

TOP으로 이동
멀티미디어 더보기 78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작약
다른 백과사전

작약과 식물

추천항목


[Daum백과] 작약국립생물자원관 생물다양성정보, 국립생물자원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