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민속 특산식
물사전

털개회나무

다른 표기 언어 Korean lilac 동의어 정향나무, 정향목, 정향화, 새발사향나무
요약 테이블
분류 물푸레나무과(Oleaceae)
서식지 산정
학명 Syringa velutina Kom.
본초명 산침향(山沈香)
분포지역 한국(제주도 제외 거의 전역), 만주
근연식물 수수꽃다리

생물학적 특징

낙엽 활엽 관목
소지는 보통 털이 존재
잎은 단엽, 대생 배열, 엽신은 난형 또는 타원형
화서는 원추화서, 꽃은 양성화, 5월 개화, 연한 자홍색 또는 적자색
과실은 삭과, 타원형, 갈색 피목이 불규칙하게 배열, 9월 성숙.

화분형태

화분은 단립
적도면 모양은 약단구형
극축길이는 23-25㎛, 적도면지름은 28-30㎛
발아구는 3구형
표면무늬는 망상.

어원

정(丁)자는 강한, 심한의 뜻으로 향기가 강한 나무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민속·속담·격언

향갑이나 향궤에 넣어 실내나 방에 놓았다. 여인들은 향낭에 넣어서 차고 다닌다.

용도

원예 및 조경용 : 아름다운 꽃과 향기를 가지고 있다(나일락 대용).
약용 : (뿌리) 복부를 따뜻하게 하고 치통, 배더부룩한 증상에 사용했다. (꽃봉오리) 방향제로 사용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강기호·장진성. 1998. 국내 수수꽃다리속 식물의 분류학적 연구-외부형태를 중심으로. 식물분류학회지 28(3): 249-279.
  • ・ 안덕균. 1998. 원색한국본초도감. 교학사
  • ・ 이영노. 1996. 원색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 ・ 이우철. 1996.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 ・ 이창복. 1979.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 ・ 정태현. 1958. 한국식물도감. 신지사

출처

민속ㆍ특산식물사전
민속ㆍ특산식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동의보감과 본초강목에 포함된 700여종의 약용식물을 포함하여, 총 1000여 종의 한국 민속ㆍ특산식물을 수록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식물

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멀티미디어 더보기 5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털개회나무
다른 백과사전


[Daum백과] 털개회나무민속ㆍ특산식물사전,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