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자라풀과(Hydrocharitaceae) |
---|---|
학명 | Hydrilla verticillata (Linn. fil.) Royle |
국내분포 | 한강 단양늪, 영동교, 능내, 이속리, 낙동강 구포, 질날늪, 대평늪, 가락, 이북, 주촌, 김해, 주남 저수지, 오직리, 정양늪, 족정교, 팔락늪, 오나사교, 호리, 산청, 영산강 평동 저수지, 우습제, 진원, 광주호, 대치교, 섬진강 대곡리, 동종호, 금곡교, 구례 수로, 금강 명독교, 이룡교, 기타 예산, 즈뭇자못, 영산, 죽천교, 쌍암 |
기재
다년생, 침수성 수생식물, 동아나 종자로 월동함. 동아는 괴상. 뿌리는 길고, 단순 부정근은 마디에서 난다. 줄기는 포복성 또는 직립, 가늘고 둥글다. 수심에 따라 2㎜까지 신장, 기부 근처에서 다분지. 잎은 대생 혹은 3-8엽이 윤생, 무병, 선형 또는 피침형, 길이는 2㎝, 너비는 약 4㎜, 녹색, 흔히 거치연, 단성화. 수꽃은 단생, 액생, 꽃잎은 3개, 광난형. 암꽃은 단생, 액생, 무병 자방에서 나온 화병은 수면까지 신장한다, 꽃받침 3개, 꽃잎 3개, 길이 3m. 너비 약 1㎜. 과실에서 2-3개의 가시모양 돌기가 있다. 종자는 1-3개, 길이 3-6㎜.
해부특징
줄기의 횡단면은 원형. 유관속은 중심부에 위치. 피층내 통기조직은 2내지 3열로 배열. 내피세포는 뚜럿하고, 표피세포는 1내지 2층.
소견
본 속은 monotypic한 속으로 광범종이며 전세계에 1속 1종이 있다(Cook and Lu ond 1982). 다른 모든 수생식물과 마찬가지로 Hydrilla의 영양기관의 형태는 매우 유연성이 크고 환경의 변화에 의해 쉽게 변형된다. 즉 윤생잎의 수, 형태, 길이, 너비, 줄기의 분지 여부, 식물 전체의 색깔, 절간의 길이, 잎의 성질 등이 특히 변이가 심한 특성들로서 이로 인하여 많은 변종들이 기재되었으나 이들은 모두 환경적인 차이로 유도된 변이들로 보여진다. 염색체의 수는 2n=16, 24, 32로 많은 배수체가 존재한다. 이러한 Hydrilla의 변이에 대한 유전적 차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Verkleij et al.(1983)등은 isozyme pattern을 분석하여 형태적 특성, 염색체수 등과의 상호 관계를 조사한 바 있다. 그들은 본 Hydrilla가 보여주는 유전적 변이는 이 식물들이 다양하고 변이가 심한 환경에 살아남기 위한 대응전략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조선식물향명집. 조선박물연구소, 서울.
-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조선식물명집(I). 조선식물학회.
- ・ 박만규. 1949. 우리나라 식물명감. pp. 340. 문교부, 서울.
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