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자라풀과(Hydrocharitaceae) |
---|---|
학명 | Hydrocharis dubia (Blume) Backer |
국내분포 | 낙동강 김해, 주남 저수지, 대평, 가락, 조만포, 송산, 팔락늪, 정양늪, 봉계늪 |
해외분포 | 일본, 대만, 중국 |
기재
일년생, 부유성 또는 침수성, 흔히 군생한다. 부유성인 포복경의 아래에서 총생인 잎, 화경, 뿌리가 나옴. 엽병은 11㎝ 정도, 기부는 엽초로 싸임. 엽신은 직립 또는 부유성, 광난형 또는 심장형, 설저, 둔두 또는 원두, 너비 2-5㎝, 길이 4-7㎝, 맥은 만곡됨. 잎이면에는 해면질로 된 기낭을 만듬. 꽃은 자웅이화 꽃받침 3개, 꽃잎 3개, 광나형, 길이 8-12㎜, 흰색, 기부는 노란색 과실은 구형, 직경 약 1㎝, 길이 약 0.8㎜. 종자는 다수, 타원상, 길이 1㎜내외, 표면에 침상돌기가 있다. 7-10월 개화. 2n=16.
해부특징
횡단면은 거의 반원형, 유관속은 종심부에 3개의 주요 관속이 있음. 통기조직은 불규칙하게 발달, 2-3열, 표피세로는 2층, 피층과의 연결 부위에 섬유가 있다.
소견
전세계에 3-6종이 있으며 구세계에 널리 퍼져 있다(Melchior 1964, Cook et al. 1974). 우리나라, 일본, 대만, 중국 등지에는 본종 1종이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조선식물향명집. 조선박물연구소, 서울.
- ・ 정태현, 도봉섭, 심학진. 1949. 조선식물명집(I). 조선식물학회.
- ・ 박만규. 1949. 우리나라 식물명감. pp. 340. 문교부, 서울.
태그 더 보기
식물
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