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가래과(Potamogetonaceae) |
---|---|
학명 | Potamogeton cristatus Regel et Maack |
기재
초본, 수생. 담수 또는 염수에 생육. 종자, 동아 또는 지하경에 의해 번식. 줄기는 물의 깊이에 따라 길이가 변하고, 분지 또는 분지하지 않음. 원통상 또는 편평, 지하경의 절에서 뿌리를 내림. 절에는 흔히 유선이 있다. 잎은 침수성만 있거나 또는 침수엽과 부수엽이 다 있다. 호생 또는 반대생, 침수엽은 투명하며 무병 또는 유병, 타원형에서 난형, 엽선은 예두에서 둔두, 엽저는 설저 또는 원저에서 심장저, 전연, 맥은 1-51개, 탁엽은 원통상으로 줄기나 화서를 둘러산다. 침수엽의 기부와 이생 또는 합생, 부수엽의 기부와는 이생, 동아는 있거나 없고 극도로 짧은 절간이 있으며 내엽과 외엽으로 나뉜다. 내엽은 적거나 많고 방추상 구조를 말리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단축되고 외엽에 대해 직각으로 배열, 외엽은 1-5개이고 잎과 거의 유사하다. 화서는 액생 또는 정생, 두상화서나 원추화서 또는 수상화서, 꽃이 1-20개. 윤생하여 밀접되거나 염주모양으로 각 환에 2-4개의 꽃이 달림. 침수되거나 물위로 나온다. 화피는 4개, 이생, 원형 수술은 4개, 화사는 화피편과 합생, 약은 2실이며 외권한다. 화분은 원형, 방추상, 무늬가 있으며 3세포. 암술은 4개의 심피가 있다. 배주는 직생 또는 만곡배추, 주공은 내부의 주피에 의해 형성됨. 과실은 등쪽이 둥글거나 용골판이 있고 부리가 달린다. 배는 1회 이상 꼬여 있다.
해부특징
줄기의 횡단면은 원형, 직경 0.5-1㎜. 중심주의 유관속은 장방형, 중앙에 큰 목부공강이 있고 주위에 8개의 작은 공강이 있다. 내피세로는 크고 균일하게 비후된 O-세포형. 피층내 유관속은 없다. 표피는 1세포층으로 되어 있고, 하피층은 없으며, 섬유도 없다.
소견
Potamogeton은 완전화이며 화피가 네개이고 수술이 넷, 화분은 원형, 그리고 도생배주이며 담수성인 점에서, 화피가 없고 수술이 둘이고 염수성인 Ruppia와 화분이 가는 실모양이고 해수성인 Zostera와는 크게 구별되어 진다. Potamogeton은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광범속이며 약 100종이 있고 침수엽과 부수엽이 있는 수생식물이다. 이 속은 2개의 아속으로 나뉘어지며(Raunkiaer 1931), 많은 절과 아절이 있다(Graebner 1907, Hagstr m 1916). 가래속에 대한 연구는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집중적으로 수행되었다. Hagstr m(1916)은 가래속에 대한 그의 기념비적인 논저인 "Critical researches on the Potamogetons"에서 줄기의 해부학적 특성에 근거하여 여러 개의 신절(new section)과 많은 아절들을 새로이 명명하였다. Fernald(1932)는 Section Axillares에 속하는 북미종에 대한 논문에서 22개 분류군들의 지리적 분포와 외부 형태적 특징을 논하였다. Dandy(1938)는 열대 아프리카에 생육하는 가래속에 대한 개정판을 내었으며 여기에서 그는 이전 연구자들의 견해를 검토하고, 이 속의 분류는 특이하게 Koch(1937)와 Irmish(1858)의 체계를 따라 4절 9종을 보고하였으며, 이 종류들의 심한 형태적 변이성과 표본관찰과 아울러 야외에서의 관찰이 중요함을 지적하고 있다. Ogden(1943)은 북미 및 멕시코 북부산 Potamogeton중에서 넓은 잎을 가지고 있는 13개의 분류군들에 대한 분류와 지리적인 분포를 논의하였고, 이들간에 빈번히 형성되는 잡종들에 대하여 기술한 바 있다. Haynes(1974)는 Potamogeton subsection pusilli에 대한 개정판에서 이 속의 연구사, 형태 및 형태적 변이성, 생식 및 발아, 염색체의 수 그리고 계통유연관계를 상세히 논술하였다. 또한 Pusilli그룹의 분류가 어려운 점으로 1)꽃의 크기가 작은 관계로 관찰이 곤란하고, 2)외형적으로는 영양특성이 매우 유사한 점, 3)생태적 변이성이 아직 파악되지 못하고 있으며, 4)명명법상의 심한 혼란등을 들고 있다(Fassett 1957). Singh(1964)는 Potmogeton의 9개 분류군에 대하여 줄기, 잎, 엽초, 동아 등의 해부 형태적 특징을 고찰하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조선식물향명집. 조선박물연구소, 서울.
- ・ 박만규. 1949. 우리나라 식물명감. pp. 340. 문교부, 서울.(좀가래)
- ・ 박만규. 1949. 우리나라 식물명감. pp. 340. 문교부, 서울.
- ・ 박만규, 이은복. 1970. 낙동강하류의 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조사보고서 2: 25-32.
- ・ 정태현. 1956. 한국식물도감(상). 신지사, 서울.
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