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수생식물사전

애기어리연꽃

다른 표기 언어
요약 테이블
분류 조름나물과(Menyanthaceae)
학명 Nymphoides coreana (Leveille) Hara
국내분포 낙동강 금송리, 동촌
해외분포 호주
애기어리연꽃 실물

ⓒ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재

다년생, 부엽성 수생식물. 줄기는 가늘고, 마디에서 2-3개의 녹백색 뿌리를 내림. 지하의 뿌리를 분지하여 무성번식함. 부엽은 수면 근처의 마디에서 나옴. 잎의 수는 작고, 엽병은 수심에 따라 신장, 2-6㎝, 줄기와 이어짐. 엽신의 1/2되는 곳에 달림. 엽신은 심장형, 길이 2-5㎝, 너비 1.5-3.5㎝, 기부는 귀모양이 됨. 표면은 평활, 광택이 남. 전연 이면은 자색을 띰. 엽맥이 보임. 꽃은 엽병의 기부가 있는 마디에서 집산화서를 이룸. 화경의 길이는 1-2.5㎝, 합판화, 4-5열편 백색, 내면의 합친 부분은 황색 직경 5-8㎜, 절편 가장자리에 털모양의 거치 있음. 3-4㎜ 기이 막질. 작과는 넓은 타원형, 장경 5-6㎜, 단경 3-4㎜, 꽃받침의 2배 길이, 화주는 2열 되고 극히 짧고 숙존함. 종자는 10-20개, 렌즈모양, 1㎜내외, 황갈색 또는 갈색광택이 나고, 표면에 갈색 반점이 있다(>×10). 8-10월 개화. 2n=48 .

해부특징

줄기의 횡단면은 원형, 유관속은 중심부에 위치. 피층내의 통기조직은 비교적 균일하고, 방사상으로 배열, 1층, 표피세포는 2층. 별모양의 이형세포가 있다.

소견

본 종은 Faurie가 제주도에서 처음 채집(1907년 8월)하여 Leveille에 의하여 Limanthemum coreanum Leveille로 신종 기재되었다(Miki 1935). 그 뒤 Taquet에 의해서도 1908년 8월, 9월에 채집된 바 있다(Nakai 1911). 단 Miki는 Leivelle의 신종을 호주 및 아열대 종인 Limanthemum parvifolium Griesb.의 이명으로 처리하였다. 또 본 종의 학명에 대해서 국내에서 사용된 것을 보면, Nymphoides cristatum(Griesb.) O. Kuntze(박 1949, Nakai 1952, 정 1956)와 Limanthemum cristatum Griesbl(Mori 1922, 정 등 1937)등이 있어서 후자는 전자의 이명인 것이나, N. cristatum은 N. coreana와는 완전히 독립된 종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국내의 N. cristatum을 인정하게 되면 국내에 있는 본 속의 식물은 4종으로늘어난 셈이 된다. 즉 N. coreana는 화관의 열편이 털모양의 거치로 되어있고 삭과와 종자가 타원형인데 비하여 N. cristatum은 화관열편이 전연이고 삭과는 아원형, 종자는 원형이다(Liu & Kuo 1978). 또 Miki(1933)에 의하면 L. parvivolium(= N. coreana)은 종자 표면에 돌기가 없고 꽃잎의 기부에 차상거치가 없는 특징에 의하여 L. cristatum과 구별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정(1956)은 N. cristatum에 있어서 꽃잎 열편은 가장자리가 사상으로 갈라진다고 하였고, 박(1974)은 꽃잎의 안쪽에 짧은 털이 있다고 하였으며, 이(1982)는 종자의 표면에 돌기가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N. coreana(Lev.) Hara는 원래 제주도에서 채집되어 신종 기재된 것이며, 그리고 국내의 본 분류군은 앞에서 인용된 문헌들을 참조하면 하나일 것으로 판단되고 있고, 또 본 연구에 사용된 표본에서 돌기는 아니어도 종자표면에서 반점이 확인되었으므로 일단 두 학명을 하나의 분류군에 대한 이명으로 취급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본 종은 채집조사 결과로 판단하여 볼 때 국내의 남부지방에서도 매우 희귀한 종류가 되어가고 있다.

애기어리연꽃

ⓒ KISTI(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문헌

  • ・ 정태현, 도봉섭, 이덕봉, 이휘재. 1937. 조선식물향명집. 조선박물연구소, 서울.
  • ・ 박만규. 1949. 우리나라 식물명감. pp. 340. 문교부, 서울.(좀어리연꽃)
  • ・ 정태현. 1956. 한국식물도감(상). 신지사, 서울.
  • ・ 이창복. 1982.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출처

수생식물사전
수생식물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국내에 서식하는 수생관속식물을 대상으로 70여종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데이터베이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식물

식물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조름나물과 식물

추천항목


[Daum백과] 애기어리연꽃수생식물사전,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