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동물질병사전

세균성 폐렴

다른 표기 언어 Bacterial pneumonia
요약 테이블
축종 개, 고양이

요약 페실질에서 독성있는 세균에 대하 염증성 반응으로, 세포성, 체액성 삼출물이 기도와 폐포강내 가득있는 것이 특징임

원인

[개]

• Bordetella bronchiseptica, Streptococcus zooepidemicus
- 일차적 병원성 세균

• 분리균
- 거의 기회 감염균

• Bordetella bronchiseptica, E. coli, Klebsiella pneumoniae, Pasteurella multocida, Streptococcus spp., Staphylococcus spp., Mycoplasma spp., Pseudomonas aerugonosa

• 혐기성 세균
- 폐농양과 폐천자시 발견됨

[고양이]

• 병원성 세균
- Bordetella bronchiseptica, Pasteurella multocida

• 보균자 상태
- B. bronchiseptica :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 세균 배출
- 감염된 암코양이는 분만 전에는 세균 배출하지 않으나 분만 후에 배출하여 새끼 고양이 감염의 원인이 됨

•위험요인
- 이미 존재하는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 토출물, 구토물
- 의식의 이상 : 혼수, 마취
- 흉강 창상이나 수술
- 기관지 이물
- 기관지 확장증
- 약물투여 : aspirin, digoxin
- 면역억압성 치료 : 화학요법, 글루코콜티코이드
- 심각한 대사성 장애 : 요독증, 당뇨병, 부신피질기능항진증, 부신피질 기능 저하증
-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장애 : 기관저형성, 구개열, 인두마비
- 비뇨기계 감염
- 면역억압
- 식세포 기능이상 : FeLV, 당뇨병
- 보체 결핍 : 드묾
- IgA 결핍
- T,B세포의 기능이상 : 드묾

발병기전

• 세균은 일차적으로 호흡이나 흡입에 의해 하부 호흡기계로 침입하여(혈행성에 의한 침입은 드묾) 염증반응을 유발

• 호흡기계 감염은 크기, 침입부위, 세균의 수와 독력, 숙주의 저항성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짐

• 바이러스 감염은 세균 집단화 양식을 변화시켜, 호흡기계 상피에 부착하는 세균의 수를 증가시키고 점액섬모 운동이나 식세포 작용을 감소시켜서 하부 호흡기계의 세균감염을 용이하게함

• 삼출단계 : 고단백질성 장액성 삼출물이 간질과 폐포강 사이에 분포

• 백혈구 유주단계 : 백혈구는 기도와 폐포사이에 침윤하여 경화, 허혈, 조직괴사, 기관지 폐쇄에 의한 무기폐, 폐쇄성 기관지염을 일으킴

• 치사율 : 심각한 저산소증과 패혈증과 관련

발병 및 역학

• 분포
- 전세계적

• 종
- 고양이보다는 개에서 더 흔하게 발생

• 품종 특이성

• 개
- 운동견, 하운드, 일견

[평균 연령과 범위]

• 개 1개월-15년, 1년생이하에서 다발

[성 특이성]

• 개의 경우 60%정도가 수컷에서 발생

주요 증상

가슴, 흉강 타진시 둔탁한 부위
거친 피모, 곤두선 털
기침
기침시 객혈
다호흡, 빠른호흡(빈호흡), 과호흡
림프절 종대, 림프절 병증, 종창, 종괴
무기력, 침울, 졸림, 생기없음
발열, 고열
발육정지, 체중증가없음, 성장지연
비정상의 폐포음, 흉강음, 랏셀음, 염발음, 천명음, 마찰음
빈맥, 빠른 맥박, 심박
수척, 건강상태 불량, 증체율 불량
식욕부진, 식욕감소, 식욕절폐, 젖을 안먹임, 먹이 공급 중단
심음의 감소
재채기
전신허약, 부전마비, 마비
점막, 피부 창백, 빈혈
점액양, 비강 분비물, 장액성, 수양성
청색증, 피부나 점막이 푸름
체중감소
탈수
폐포음 감소, 호흡음이 없음
혀의 돌출, 내밀기
호흡곤란, 개구호흡, 그르렁거림, 가쁜호흡
호흡시 이상한 냄새, 구강의 악취
화농성 비강 분비물

진단

• 전혈구수치, 혈액화학치, 뇨검사

• 동맥혈 가스분석

• 혈액배양

• 흉강 방사선
- 폐의 밀도가 증가한 폐포 패턴
- 전복측엽에 소엽성 폐포패턴

감별진단

• 바이러스성 폐렴
- 개홍역바이러스, 개 아데노 바이러스

• 혈액원충성 폐렴
- 얼리키오시스, 록키마운틴스팟트피버

• 원충성 폐렴
- 톡소플라스모시스

• 기생충성 폐렴

• 진균성 폐렴
- 히스토플라스모시스, 블라스토마이코시스, 콕시디오이도마이코시스, 크립토코코시스

• 세균성, 진균성 비염

• 만성 부비동염

• 인두염

• 편도염

• 감염성 기관지염

• 폐농양

• 흉막감염
- 농흉

• 기관지이물

병리소견

[임상병리소견]

• 호중구 증가성 백혈구 증가증(좌방이동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음)

[병리해부소견]

• 전복측연의 불규칙한 경화

• 경화된 폐 : 어두운 붉은색에서 회색까지 다양(환축의 연령과 과정의 특징에 따라 다름)

[병리조직소견]

• 세기관지 : 폐포연접부에 염증소견

• 초기 : 세기관지와 인접 폐포에 호중구, 세포물질, 섬유소, 대식세포로 가득 차며 괴사성 또는 과형성 상피

• 후기 : 호중구성, 섬유소성, 출혈성, 괴사성염증

치료

[간호요법]

• 전신적 탈수유지

• 분무 요법

• 산소 요법

[활동]

• 치료중에는 제한

[식사]

• 고단백, 고열량의 사료 제공

[약물치료]

• 그람양성구균 : 암피실린, 트리메톨프림-설폰아마이드, 세팔로스포린계 1세대

• 그람음성간균 : 아미카신, 클로람페니콜. 겐타마이신, 트리메톨프림-설폰아마이드, 플루로퀴놀론, 카르복실페니실린

• 보데텔라 : 테트라사이클린, 아미카신, 클로람페니콜, 아미카신, 겐타마이신, 엔로플록사신. 카나마이신

• 혐기성 세균 : 아목시실린, 클로람페니콜, 메트로니다졸, 클린다마이신

예방

• 백신 : 상부호흡기바이러스, B. bronchiseptica에 대한 백신

• 위생적 사육환경

예후

• 항생요법과 보조요법시 좋음
- 어린 환축이나, 면역억압 환축은 많은 주의 필요
- 만성 감염으로 진행될 수 있음

보호자에 대한 조언

• 이환율과 치사율은 심각한 저산소증과 패혈증과 관계있음을 말해줌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동물질병사전
동물질병사전 전체항목 도서 소개

국내의 주요 가축인 개, 고양이에서 발병되는 질병 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세균성 폐렴동물질병사전, KISTI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