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유형 | 동명 |
---|
강남구 역삼동에 있던 마을로서, 현재 지하철 3호선 양재역 부근으로, 몇 가지의 마을 이름 유래가 있다. 하나는 제주도에서 올려 보낸 말을 서울로 보내기 전에 이곳에서 마지막으로 손질하고 말죽을 쑤어 먹였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 하나는 남쪽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사람들이나 서울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는 사람들이 이곳에서 타고 온 말에게 죽을 끓여 먹이도록 하고 자신도 이곳 주막에서 여장을 풀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조선 초부터 이곳에는 공무로 여행하는 이들에게 마필과 숙식을 제공하는 양재역이 있었고 근처에는 주막도 적지 않았다고 한다. 또 다른 하나는 인조 2년(1624) 갑자년 2월 8일에 인조가 李适의 난을 피하여 남쪽으로 가던 길에 창황히 양재역에 이르자 갑자기 기갈이 심하였다. 이때 유생 金怡 등 6・7명이 급히 팥죽을 쑤어 임금에게 바치니, 인조가 말 위에서 그 죽을 다 마시고 과천을 거쳐 공주로 갔으므로, 그 뒤부터 임금님이 말 위에서 죽을 마셨다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또 다른 유래는 병자호란 때 인조가 남한산성에 들어가자 淸軍은 이 성을 포위하였다. 이때 이곳은 청군의 장수 龍骨大가 지휘하는 우익군의 병참기지였다. 즉 청군의 기마병들이 산성을 공격한 다음 교대로 이곳 병참기지로 와서 말죽을 쑤어 먹였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도 하며, 말죽거리・역촌・역말 또는 양재역 등으로 불렀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서울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