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교육수준 | 16년 초과(대학원 이상) |
---|---|
숙련기간 | 2년 초과 ~ 4년 이하 |
작업강도 | 가벼운 작업 |
작업장소 | 실내 |
직무기능(자료) | 종합 |
직무기능(사람) | 말하기-신호 |
직무기능(사물) | 정밀작업 |
고용직업분류 | [1541]화학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표준직업분류 | [2321]화학공학 기술자 및 연구원 |
자격/면허 | 화학분석기사, 화공기사, 화공기술사 |
표준산업분류 | [C222]플라스틱제품 제조업 |
조사연도 | 2022년 |
요약 플라스틱 소재 관련 고분자 제조기술이나 소재의 성질과 특성을 활용하여 비일상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소재연구 실험 담당자에게 관련 지식을 전달하고 독립적인 책임과 권한 내에서 업무를 감독한다.
수행직무
플라스틱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플라스틱제품의 시장 구조 및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시장을 전망한다. 고객형태를 파악하고 고객으로부터 구매결정 요인 도출 및 고객 불만에 대한 정보를 분석한다. 플라스틱 소재에 대한 기술개발 현황과 미래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문헌·지식재산권·신소재 기술동향을 분석하고 기술을 예측한다. 플라스틱 소재연구개발을 위하여 대상 플라스틱 소재의 개발, 제조, 수입, 유통, 폐기의 전 과정 (Life Cycle)과 관련된 국·내외 법적규제, 정부정책, 이해관계자를 파악한다. 외부환경·내부역량 분석결과와 아이디어 도출 작업으로부터 플라스틱 소재개발 후보군들을 탐색·발굴하고 이들의 우선순위를 평가한다. 플라스틱 소재의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소재가 미치는 인체ㆍ환경 안전성을 분석하고 플라스틱 소재의 지속가능성 여부를 분석한다. 플라스틱 소재의 기술적 타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객요구사항을 반영하는 프로토타입 제품을 설계하고 제조하고 품질특성을 평가한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플라스틱소재연구개발자 – 한국직업사전, 고용노동부 워크넷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