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면적 | 75,670m2 |
---|---|
좌표 | 37° 21′ 30″ N, 126° 30′ 40″ E |
해도번호 | 338 |
지번 | 중구 무의동 산372 외3 |
소유현황 | 국유지(국토해양부) |
육지와의 거리 | 인천항 15.7km, 인근 유인도인 무의도 0.9km |
목차
접기인문사회환경
ㆍ용도 구분 : 자연녹지지역
ㆍ지목 : 임야 / 잡종지 / 대
ㆍ지자체 개발 계획 : 없음
ㆍ시설물 · 이용 현황
- 군부대주둔, 선착장
- 한국최초등대 관광상품개발
ㆍ영해기점 무인도서 : 영해기점 없음
ㆍ과거 주민 거주 여부 : 없음
ㆍ향후 주민 거주 가능성 : 없음
ㆍ사람 거주시 거주 목적 : 없음
ㆍ역사적 가치 : 없음
ㆍ주변 해역 이용 현황 : 없음
ㆍ타법에 의한 관리 현황 : 없음
자연환경 · 생태계
ㆍ지형 · 지질 : 화강편마암류의 기반암. 지름 300m 정도인 원형의 본섬과 북동쪽의 작은 시스택이 사주로 연결되어 있음 등대, 접안시설 등이 있음
ㆍ주요 육상동물 : 관광지로 개발되어 있는 지역으로 인간의 빈번한 출입으로 육상동물이 서식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음
ㆍ주요 해양생물
- 해안무척추동물 17종 출현. 암반조간대 전반에 조무래기따개비의 밀도가 높음
- 출현 해조류 없음
ㆍ주요 조류 · 곤충
- 조류는 4종이 관찰되었고, 인간의 간섭으로 인하여 적은 종과 개체수가 확인
- 곤충은 77종으로 국외반출승인대상생물(곤충) 2종(매미나방, 제일줄나비), 한국고유생물종(곤충) 8종(고마로브집게벌레, 날베짱이, 검은다리실베짱이, 왕귀뚜라미, 섬서구메뚜기, 등검은메뚜기, 방아깨비, 팥중이) 및 환경지표종(곤충) 13종(방아깨비, 다리무늬침노린재, 무당벌레, 꼬마남생이무당벌레, 밤나무잎벌레, 황테감탕벌, 말벌, 어리호박벌, 파리매, 호리꽃등에, 꼬마꽃등에, 배짧은꽃등에, 매미나방) 확인
ㆍ주요 식생 · 식물
- 관속식물 102종 분포. 특정식물종(4종)과 해안지표종(11종)이 출현
- 서사면의 소사나무군락이 특징적, 정상부에 소나무군락, 동남사면에 혼합활엽수림 분포
ㆍ주변 해역(해중) 경관 : 주변 섬과 6km 이상 떨어져 있고, 주위의 수심이 비교적 깊음
- 1팔미도 동쪽
- 2팔미도 북쪽
- 3사주로 연결된 북쪽 섬
- 1육계사주와 시스택
- 2소사나무군락
- 3소나무군락
- 1갯사상자
- 2가마우지
- 3괭이갈매기
- 1참매미
- 2~3구멍갈파래
- 1눈알고둥
- 2개울타리고둥
- 3대수리
- 1갈고둥
- 2등대 및 선착장과 유람선
- 3군 시설
- 1~2팔미도 안내판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