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익생양술대전

다른 표기 언어 spring onion 동의어 총, 蔥
요약 테이블
학명 Allium fistulosum
분포지역 전국 각지
자생지역 밭에 재배
번식
약효 부위 뿌리·비늘줄기
생약명 총백(蔥白)
70cm 정도
백합과
생활사 여러해살이풀
채취기간 가을~이듬해 5월
취급요령 날것으로 쓴다.
특징 따뜻하며, 맵다.
독성여부 없다.
1회 사용량 뿌리 10~15g(2~3개), 잎줄기 2~5개
주의사항 오래 써도 무방하다.
동속약초 마늘·산마늘

뿌리에서 5~6개의 잎이 나와 2줄로 자란다. 잎은 긴 원기둥 모양이며 관처럼 속이 비어 있고 평활하다. 끝은 뾰족하게 닫혀 있으며 밑 부분은 잎집이 되어 서로 감싸고 있다. 녹색 바탕에 흰빛이 돌고 점성이 있다.

6~7월에 백록색의 꽃이 원기둥 모양의 꽃줄기 끝에 공처럼 둥근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빽빽이 달려 핀다. 꽃이삭은 처음엔 달걀을 닮은 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며 꽃차례받침에 싸여 있으나 개화기에는 꽃차례받침이 터져서 공 모양으로 변한다. 꽃차례받침은 1개이다. 갈라진 꽃덮이 조각은 6개이며 댓잎피침형이고 바깥 조각이 약간 짧다. 수술은 6개이며 꽃 밖으로 길게 나온다.

열매

9월에 3개의 능선이 있는 삭과가 달려 익는다. 열매 속에는 까만 씨가 들어 있는데 세모지고 오목한 물결 모양의 주름이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총(蔥)이라고도 한다. 숙근성(宿根性) 여러해살이풀이지만 1~2년생 작물로 널리 재배하고 있다. 비늘줄기는 흰색인데 그리 굵어지지 않고 많은 수염뿌리가 밑에서 사방으로 퍼진다. 이 흰 부분을 총백이라 한다. 식용· 약용으로 이용된다. 특이한 향취와 맛이 있어 생식하거나 각종 요리에 두루 사용된다. 식용으로 널리 이용되는 중요한 채소이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복용 중에 맥문동·대추·백하수오를 금한다.

효능

주로 호흡기 질환을 다스리며, 건강 생활에 이용된다.

관련질병: 감기, 건위, 골절증, 곽란, 구충(요충), 기관지염, 기관지확장증, 노이로제, 뇌졸중, 담, 당뇨병, 대변불통, 동상, 두통, 류머티즘, 명목, 발열, 방광염, 변비, 보신(補身)·보익, 보혈, 부종, 불면증, 비색증, 비염, 소변간삽, 소변불통, 소화불량, 숙취, 신장병, 심복통, 안검연염, 안태, 알레르기, 양혈거풍, 오로, 옹종, 월경불순, 위염, 유산·조산, 은진, 자한, 적백리, 중독, 천식, 청혈, 축농증, 충치, 취한, 치통, 타박상, 탕화창(화상), 편도선비대, 편도선염, 피로곤비, 피부소양증, 한열왕래, 해수, 혈기심통
소아질환: 감적, 경풍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혁세 집필자 소개

출처

익생양술대전
익생양술대전 | 저자권혁세 | cp명학술편수관 전체항목 도서 소개

1000여 종에 이르는 약초의 약리학적 지식정보를 명쾌하게 소개하는 본초학 도감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멀티미디어 더보기 1건의 연관 멀티미디어 파


[Daum백과] 익생양술대전, 권혁세, 학술편수관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