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학명 | Arctium lappa |
---|---|
분포지역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밭에 재배 |
번식 | 씨 |
약효 부위 | 잎·씨·뿌리 |
생약명 | 우방자(牛蒡子) |
키 | 50∼150cm |
과 | 국화과 |
생활사 | 두해살이풀 |
채취기간 | 8∼9월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리거나 볶아서 쓴다. |
특징 | 서늘하며, 맵고 쓰다. |
독성여부 | 없다 |
1회 사용량 | 씨 4∼7g, 잎·뿌리 8∼12g |
주의사항 | 해롭지는 않으나 치유되는 대로 중단한다. |
잎
뿌리잎은 무더기로 뭉쳐나며 잎자루가 길고 줄기잎은 어긋난다. 잎몸은 심장형으로서 끝이 뭉뚝하고 밑은 넓거나 심장 밑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이빨 모양의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앞면은 짙은 녹색이지만 뒷면은 흰 털이 촘촘하게 나 있어 흰빛이 돈다.
꽃
7~8월에 검은 자줏빛이 도는 두상화가 줄기 꼭대기에서 갈라진 작은 가지 끝에 산방 꽃차례를 이루며 달려 핀다. 꽃차례받침은 둥글고 꽃턱잎 조각은 끝이 갈고리처럼 생긴 바늘 모양이다. 꽃은 통 모양의 대롱꽃이다.
열매
9월에 수과가 달려 회갈색으로 익는데 갈색의 갓털이 붙어 있고 속에서 검은 씨가 나온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우방(牛蒡)·대방자(大方子)·흑풍자(黑風子)라고도 한다. 곧은 뿌리가 흙 속에서 30~60cm로 깊게 뻗어나가 비대해지는데 원기둥 모양의 육질이며 긴 막대기처럼 생겼다. 뿌리 끝에서 나온 줄기는 자주색을 띠며 곧게 서서 자란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잎과 뿌리는 식용한다. 약으로 쓸 때 뿌리와 씨는 탕으로 하여 사용한다. 잎은 약간 볶거나 물에 쪄서 말려 산제로 하거나 생즙을 내어 사용한다. 뿌리는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피부과·운동계·치과 질환을 다스린다.
관련질병: 각기, 감기, 강장보호, 강정제, 개창, 거담, 관절염, 구열, 금창, 나력, 노이로제, 농가진, 뇌졸중, 늑막염, 담, 류머티즘, 마비, 배농, 부인병, 부종, 비만증, 산후풍치, 설창, 소염제, 습진, 아토피성피부염, 암(간암, 대장암, 식도암, 유방암, 폐암), 연주창, 열광, 옹종, 외이도염, 요통, 위경련, 유즙분비부전, 은진, 음낭습, 음창, 이뇨, 인후염·인후통, 절양, 종기, 종독, 중독(똥독), 중풍, 창종, 충수염, 충치, 치통, 투진, 편도선염, 풍, 풍비, 풍열, 피부병, 피부소양증, 항강, 해수, 해열, 화농, 후비
소아질환: 홍역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