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분류 | 낙엽 활엽 관목 |
---|---|
학명 | Aralia elata |
분포지역 | 전국 각지 |
자생지역 | 산기슭 양지, 골짜기 |
번식 | 분주 |
약효 부위 | 뿌리껍질·나무껍질 |
생약명 | 목두채(木頭菜) |
키 | 3~6m |
과 | 두릅나뭇과 |
채취기간 | 4~5월 |
취급요령 | 햇볕에 말려 쓴다. |
특징 | 평온하며, 맵다. |
독성여부 | 없다. |
1회 사용량 | 나무껍질·뿌리 10~15g |
주의사항 | 당뇨에는 장기간 쓸 수 있다. |
동속약초 | 등근잎두릅나무·독활·애기두릅나무 |
잎
어긋나며 길이 40~100cm인 2회 홀수 깃꼴겹잎이다. 잎줄기와 작은 잎에 가시가 있다. 작은 잎은 길이 5~12cm, 나비 2~7cm의 넓은 달걀꼴 또는 타원 모양의 달걀꼴인데 끝이 뾰족하고 밑은 둥글며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있다. 앞면은 짙은 녹색이며 뒷면은 회색이고 맥 위에 털이 있다.
꽃
8~9월에 가지 끝에서 길이 30~45cm의 산형 꽃차례를 이루며 하얀 오판화가 모여 달린다. 꽃의 지름은 3mm쯤이며 양성화이거나 수꽃이 다소 섞여 있다. 꽃잎·수술·암술대는 각각 5개씩이며, 씨방은 하위이다.
열매
10월에 둥근 핵과가 달려 자줏빛을 띤 검정색으로 익는다. 씨의 뒷면에 좁쌀 같은 돌기가 약간 있다.
특징 및 사용 방법
총목(棇木)이라고도 한다. 원줄기는 곧게 자라고 가지가 약간 나오는데 그다지 많이 갈라지지는 않는다. 전체적으로 억센 가시가 많으나 오래 된 나무는 가시가 자연히 떨어진다. 생약의 총목피(棇木皮)는 나무껍질을 말린 것이다. 나무껍질은 약한 방향(芳香)을 내는데 이 냄새는 한약으로 쓰이는 독활(獨活)과 비슷하다. 유사종으로 잎의 뒷면에 회색 또는 황색의 가는 털이 나 있는 것을 애기두릅나무라 한다. 관상용·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봄에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약으로 쓸 때는 주로 탕으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효능
주로 소화기·순환계·신경계·운동계 질환을 다스리고, 백독풍·백전풍에 효험이 있다.
관련질병: 간염, 강정제, 건비위, 건위, 고혈압, 골절번통(골연풍), 골절증, 골증열, 관절염, 담, 당뇨병, 독창(백독창), 백전풍, 복통, 소갈증, 수렴제, 신경쇠약, 신기허약, 위암, 위경련, 위궤양, 위·십이지장궤양, 위염, 위장염, 중풍, 진통, 축농증, 타박상, 통풍, 폐렴, 풍, 항강, 해열, 행혈, 황달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