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시스템, 데이터, 정보, 자산 등을 물리적 또는 논리적으로 내외부 위협으로부터 보호하고 안전하게 유지하는 것.
허가되지 않는 접근 및 사용, 수정, 삭제, 호출, 위 ・ 변조, 불법적인 공개, 혼란, 파괴, 서비스 거부 등을 방지하여 시스템, 정보 통신망, 정보, 조직과 사용자 그리고 자산 및 자원을 보호하는 것을 말한다.
보안의 목적은 기밀성(confidentiality), 무결성(integrity), 가용성(availability)이고, 목적 달성을 위해 인증성(authenticity), 접근 제어(access control), 부인 방지(non-repudiation) 등의 보안 기술을 적용한다. 이 중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안의 3요소라고 부른다.
기밀성은 정당하지 않은 사용자 또는 시스템에 정보가 노출되지 않게 하는 특성을 말한다. 무결성은 의도하지 않은 요인에 의해서 정보가 원본 상태에서 변경되지 않았음을 보장하는 것이고 가용성은 인가된 사용자만 필요할 때에 적절히 그 정보 또는 자산에 접근하도록 보장하는 것이다.
보안은 컴퓨터, 네트워크 등 대상에 따라 달리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에서 보안은 네트워크, 네트워크 서비스, 관련 시스템, 데이터, 사용자 등에 적용되며 침입 방지 시스템, 악성코드 차단, 접근 권한 제어, 암호 기법 등을 이용하여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 등을 보장한다.
- ISO 23643:2020(en) (Software and systems engineering — Capabilities of software safety and security verification tools)
- ISO/IEC 22166-1:2021(en) (Robotics — Modularity for service robots — Part 1: General requirements)
- ISO/IEC 18000-63:2021(en) (Information technology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for item management — Part 63: Parameters for air interface communications at 860 MHz to 960 MHz Type C)
- ISO/IEC 24791-1:2010(en) (Information technology —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for item management — Software system infrastructure — Part 1: Architecture)
- ISO/TR 17522:2015(en) (Health informatics — Provisions for health applications on mobile/smart devices)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출처
TTA는 정보통신 기술 발전과 타분야와의 기술 융합에 따라 무수히 생성되는 정보통신용어를 해설하고 표준화하여, 전문가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이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펼쳐보기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백과사전 본문 인쇄하기 레이어
[Daum백과] 보안 – TTA정보통신용어사전,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