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용어로 알아
보는 UHD
방송...
가상 현실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

HMD, Head Mounted Display

VR 기기

요약 테이블
참고 정보통신단체표준 TTAK.KO-10.0949 머리장착형 영상장치(HMD) 기반 가상 현실 서비스 용어

머리에 착용하는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

HMD 장치를 머리에 쓰면 양쪽 눈의 근접한 위치에 소형 디스플레이가 있어 시차를 이용한 삼차원(3D) 영상이 투영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트래킹하는 자이로 센서, 움직임에 따라 영상을 만드는 렌더링 기능 등으로 3D 공간에 있는 것 같은 가상 현실(VR) 또는 증강 현실(AR)을 실감할 수 있다. 최초의 HMD는 1968년 컴퓨터 그래픽스 창시자인 이반 서덜랜드(Ivan Sutherland) 교수가 만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HMD는 게임뿐만 아니라 산업, 우주 개발, 원자로, 군사 기관 및 의료 기관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된다.

HMD 기기는 구글 카드보드(Google cardboard), 삼성 기어 VR(Gear VR) 등과 같은 스마트폰 장착형 HMD와 오큘러스 리프트(Oculus Rift), HTC VIVE 등과 같이 PC와 연결되는 데스크톱형 HMD, 소니 PSVR과 같이 게임 콘솔 연결형 HMD 등이 있다. 최근 각종 센서들을 HMD에 부착한 혼합 현실형(MR) HMD도 출시되고 있다.

화각(FOV, Field Of View)
카메라가 렌즈를 통해 이미지를 담을 수 있는 수평, 수직, 또는 대각선 방향의 범위를 각도로 나타낸 것.

사람이 화면을 보는 관점에서는 화각을 시야각(視野角)이라고 한다. 사람의 FOV는 수평 약 200도, 수직 약 135도이다. (출처 : Wikipedia)

가상 현실(VR) HMD의 FOV는 제품에 따라 좁게는 30도, 넓게는 150도까지 제공된다. 삼성 기어VR은 96도, PlayStation VR은 약 100도, 오큘러스 리프트(Oculus Rift)와 HTC 바이브(VIVE)는 약 110도의 FOV를 제공한다.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

ⓒ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본 내용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정보통신진흥기금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지원을 받아 수행된 정보통신방송표준개발지원사업의 일환으로 발간된 자료입니다. 무단 복제를 금하며, 내용을 인용할 시에는 반드시 국책사업의 결과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에서 수행한 연구 결과임을 밝혀야 합니다.

출처

용어로 알아보는 UHD 방송과 VR
용어로 알아보는 UHD 방송과 VR 전체항목 도서 소개

이 책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정보통신용어사전, 정보통신단체표준, UHD 방송과 가상 현실의 주요 기술과 표준화 현황을 그림으로 표현한 ‘내 손안의 표준 : UH..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머리 착용 디스플레이용어로 알아보는 UHD 방송과 VR,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