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ICT 시사
상식 201
7

디지털 패션 테크

다른 표기 언어 Digital Fashion Tech

요약 패션 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출범하는 국내 온오프라인 집단지식 플랫폼을 말한다. 빅데이터 활용 등 디지털 콘텐츠와 기술을 이용해 패션산업을 고도화하는 노력의 일환이다.

패션 업계에서는 3D프린터,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착용 기술(웨어러블) 등의 기술이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패션 업계가 빅데이터에 주목하는 이유는 기존 경영자의 직관력과 해외 컬렉션의 트렌드 정보에만 의지하기에는 시장 환경이 너무 복잡해졌기 때문이다.

다양한 고객 목소리나 행동 양식을 빅데이터로 축적해 기존 고객관계관리(CRM)를 보다 고도화시킬 수 있는 점도 중요해졌다. 3D프린터는 오랫동안 소재 개발 제약에서 벗어나 서서히 액세서리나 구두, 가방 등과 같은 패션소품을 만드는 데 활용될 수 있다.

토미 힐피거(Tommy Hilfiger)의 스마트폰 충전 재킷, 삼성물산 패션 부문의 스마트 슈트 2.0 등 많은 패션 기업이 ICT 기술을 접목한 스마트 의류를 개발 중인 점도 주목할 만하다. 특히 삼성물산 패션 부문은 ‘국제 전자 제품 박람회(CES) 2016’에서 웨어러블 플랫폼 브랜드 ‘더휴먼핏’ 8개 신제품을 공개한 바 있다. 더휴먼핏은 IT 기술을 옷에 접목한 패션 전문 브랜드다. '코오롱인더스트리’도 사물인터넷(IoT)이 결합된 재킷과 핸드백 신제품을 연달아 출시하고 있다.

한국패션협회는 국내 패션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2008년 이후 해마다 글로벌 패션 포럼을 열고 있다. 2014년부터 행사중심 주제가 바뀌었다. 빅데이터, 옴니채널, 웨어러블, 3D프린팅, 인공지능(AI), 소셜미디어 마케팅 등 디지털 기술 발달이 패션 산업에 미치는 변화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심지어 패션쇼 현장 분위기도 변하고 있다. '2016 헤라서울 패션위크’ 런웨이 위에 선 모델들 손에는 스마트폰 등 IT 기기가 들려 있었다. '전동 스케이트보드’를 타고 등장하는 모델도 등장했다. 패션문화축제 ‘패션코드 2016’ 행사장에도 ‘패션 CT 존(Fashion Culture Technology Zone)’이 마련됐다. 이 행사에 참가한 부산디자인센터는 템플릿(Templates) 기반 3D의상 디자인 시스템을 전시했다.

삼성전자가 CES 2016에서 선보인 스마트슈트

ⓒ 삼성전자 블로그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

  • ・ 본 자료는 2016년도 미래창조과학부의 방송통신발전기금 재원으로,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지원을 받아 수행된 과제(ICT 표준 확산 연구) 결과의 일부로 발간된 자료입니다.
  • ・ 본 자료의 무단 복제를 금하며, 가공 · 인용할 때는 반드시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의 결과물 임을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출처

ICT 시사상식 2017
ICT 시사상식 2017 전체항목 도서 소개

신문과 방송뉴스를 보면 하루가 멀다 하고 신조어가 등장합니다. 읽을수는 있지만 무슨 뜻인지 모르는 단어가 많습니다. 정보통신기술(ICT) 발전 속도는 그만큼 빠릅니다...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컴퓨터/정보통신

컴퓨터/정보통신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디지털 패션 테크ICT 시사상식 2017,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