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99%의 롤
모델

일본 개항

준비된 자를 위한 과실

1853년 7월 8일 오후 5시, 일본 에도(현재 도쿄) 외항 우라가만. 매튜 페리(Matthew C. Perry) 제독이 이끄는 미국 군함 4척이 항구로 들어왔다. 고압적인 자세로 일관했던 페리는 개항과 통상을 요구하며 일본을 다그쳤다. 세계 최대의 포경 국가로서 어업 전진 기지 획득과 중국 무역을 위한 중간 석탄 보급소를 확보하려던 미국은 결국 일본을 개항시켰다.

매튜 페리와 일본 천왕이 체결한 '미일화친조약'(1854)

ⓒ 인물과사상사 | 저작권자의 허가 없이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막부 정권이 발동한 쇄국령으로 220년간 막혀 있던 일본의 문이 열린 이후의 일은 익히 아는 대로다. 서양 따라잡기에 나선 일본은 개항 50년 뒤 열강의 일원으로, 1차 대전 직후에는 3대 강대국으로 인정받았다. 개항 이후 망국의 길을 걸은 조선과는 대조적이다.

과연 무엇이 일본의 급속한 현대화를 만들었을까. 한순간에 마음을 고쳐먹었다고? 그렇지 않다. 일본의 도약은 누적된 결과다. 강력한 쇄국 정책을 펼 때도 네덜란드만은 예외로 인정해 제한적이나마 세계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었기에 빠른 변신이 가능했다. 페리의 회고록에는 일본인들이 네덜란드어를 유창하게 구사해 놀랐다는 대목이 나온다.

페리의 내항 이전에도 미국 선박이 적어도 8차례 네덜란드 국기를 달고 일본에 기착했으며 1846년에는 함포 72문을 탑재한 전함 2척으로 구성된 미국 함대가 개항을 요구하다 물러난 적도 있다. 급변하는 세계정세에 일본 학자들은 1846년 막부 정권의 탄압에도 죽음을 불사하며 일본 판형으로 164권 분량에 이르는 프랑스 백과사전을 번역하고 일본어·네덜란드어 사전, 인체해부도 등을 편찬해 세상에 알렸다.

철권통치에서도 예외를 인정했던 '소통' 정책과 선각자, 양심적 지식인들의 투쟁, 지식에 대한 욕구가 일본의 눈부신 도약을 이끌었다고 정리할 수 있다. 페리 제독의 내항은 격발 장치였을 뿐이다. 준비된 자만이 과실을 얻을 수 있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홍우 집필자 소개

영문학과 경제학을 공부했다. 「서울경제신문」 경제부 기자, 증권부 차장으로 일하며 한국기자협회 ‘이 달의 기자상’(2회)과 백상기자대상을 받았다.

출처

99%의 롤모델
99%의 롤모델 | 저자권홍우 | cp명인물과사상사 전체항목 도서 소개

시간과 공간적 맥락에 따라 인간의 삶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역사를 공부하다 보면 일관적으로 목격되는 경향이 존재한다. 세계사를 수놓은 365가지의 장면과 인물을..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역사 일반

역사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일본 개항99%의 롤모델, 권홍우,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