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99%의 롤
모델

드비어스

흑인 수탈과 다이아몬드 잔혹사의 상징

어니스트 오펜하이머(Ernest Oppenheimer)

ⓒ Koos Raucamp/위키피디아 | CC BY-SA 3.0

결혼 예물로 쓸 다이아몬드가 너무 비싸다고? 어니스트 오펜하이머(Ernest Oppenheimer) 탓이다. 세계 다이아몬드 시장의 70~90%를 쥐락펴락하는 '드비어스'사의 독점 구조를 만든 사람이다.

오펜하이머는 1880년 5월 22일 유대계 독일 담배상의 아들로 태어나 세계 최고의 갑부 대열에 오른 자수성가형 인물. 16세에 영국의 다이아몬드 브로커사에 입사한 후 업계와 정치권을 넘나들며 세계적인 독점 구조를 만들어냈다. '다이아몬드는 영원하다'라는 광고 문구도 그가 퍼뜨린 것이다.

광산업의 이익을 대표하며 킴벌리 시장과 남아공 의회 의원을 지내던 그가 국제적 기업가로 성장하게 된 전기는 미국인 광산가 허버트 후버와의 만남. 훗날 미국의 31대 대통령에 취임하는 후버의 소개로 J. P. 모건의 자금을 지원받아 1917년 '앵글로 아메리칸'사를 설립한 후 피도 눈물도 없는 인수합병에 나섰다. 1925년에는 최대 회사인 드비어스사의 경영권도 따냈다.

오펜하이머는 대공황마저 기회로 바꾸었다. 드비어스를 완전 장악하여 회장직에 오른 1929년 뉴욕 증시발 공황과 새로운 광산 발견에 따른 공급 증가로 다이아몬드의 가격이 폭락하자 그는 두 가지에 몰두했다. 다른 회사를 헐값에 사들이는 한편 재고를 쌓기 시작한 것. 한때 42억 달러가 넘었던 다이아몬드 재고는 가격 회복세에 따라 조금씩 출하되기 시작했고 그가 사망하던 1957년까지 비싼 가격으로 시장에 나왔다.

오펜하이머와 드비어스의 성공에는 아프리카의 아픔이 깔려 있다. 600만 명이 희생된 시에라리온 내전도 그의 후손들이 주도한 국제 카르텔이 원석 확보를 위해 부족 간 감정싸움을 부추겼기 때문에 발발했다. 수급 조절의 전설적인 귀재로 전해 내려오는 오펜하이머라는 이름은 흑인 수탈과 다이아몬드 잔혹사의 상징이기도 하다.

본 콘텐츠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위 내용에 대한 저작권 및 법적 책임은 자료제공처 또는 저자에게 있으며, Kakao의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권홍우 집필자 소개

영문학과 경제학을 공부했다. 「서울경제신문」 경제부 기자, 증권부 차장으로 일하며 한국기자협회 ‘이 달의 기자상’(2회)과 백상기자대상을 받았다.

출처

99%의 롤모델
99%의 롤모델 | 저자권홍우 | cp명인물과사상사 전체항목 도서 소개

시간과 공간적 맥락에 따라 인간의 삶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역사를 공부하다 보면 일관적으로 목격되는 경향이 존재한다. 세계사를 수놓은 365가지의 장면과 인물을..펼쳐보기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역사 일반

역사 일반과 같은 주제의 항목을 볼 수 있습니다.



[Daum백과] 드비어스99%의 롤모델, 권홍우, 인물과사상사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