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골쇄보

다른 표기 언어 骨碎補
요약 테이블
분류 양치식물문 > 고사리강 > 고사리목 > 고란초과
학명 Drynaria fortunei (Kunze) J. Sm.

요약 고란초과의 양치식물인 곡궐(槲蕨)의 뿌리줄기. 중국과 한국의 전통의학에서 약재로 사용한다. 같은 고란초과의 중화곡궐(中華槲蕨)이나 넉줄고사리과의 넉줄고사리 뿌리줄기도 골쇄보라 부른다.

개요

고란초과의 양치식물인 곡궐(槲蕨)의 뿌리줄기를 말한다. 중국과 한국의 전통의학에서 약재로 사용한다. 골쇄보란 뼈 골(骨), 부술 쇄(碎), 기울 보(補)의 합성어로, ‘부서진 뼈를 이어주는’ 효능이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곡궐 이외에도 같은 고란초과인 중화곡궐(中華槲蕨)각주1) 이나 넉줄고사리과의 넉줄고사리각주2) 의 뿌리줄기를 골쇄보라 부르기도 한다. 고란초과와 넉줄고사리과는 모두 고사리목에 속하는 양치식물로 형태학적 특징이 유사하다.

효능

한의학에서는 보신(補腎), 활혈(活血), 지혈(止血) 등의 효능이 있다고 본다. 보신(補腎)은 신장을 보호하는 기능이다. 활혈(活血)과 지혈(止血)은 혈액의 움직임을 활발하게 하거나 출혈을 멈추게 하는 효능을 말한다. 약재로는 골상(骨傷)이나 이명(耳鳴), 치통(齒痛), 설사 등을 치료할 때 사용한다. 또한, 골다공증이나 관절염 등의 질환이나 진정작용 등과 관련해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주의사항

전통의학에서는 골쇄보가 따뜻한 성질(性溫)을 가지고 있어, 몸에 열이 많은 사람은 복용을 주의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골쇄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