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생 | 1938. 1. 28, 평안남도 강동군 고천면 |
---|---|
사망 | 2023. 4. 4, 서울 용산 |
국적 | 대한민국 |
직업 | 가수 |
요약 1960년대를 대표하는 한국의 가수. 본명은 김명선이다. 작곡가 이봉조와의 협업으로 발표한 <밤안개>, <떠날때는 말 없이>, <보고 싶은 얼굴> 등의 곡으로 유명하다. 1938년 평안남도 출생으로, 6.25 전쟁 때 가족과 함께 내려와 1957년 미8군 무대를 통해 데뷔했으며, 서구적인 감각, 허스키한 음색과 탁월한 성량으로 큰 인기를 얻어 한명숙, 이금희와 함께 당대를 대표하는 여성 가수로 알려졌다.
초기 생애
1938년 평안남도 강동군에서 8남매 가운데 셋째로 태어났으며, 주로 평양에서 어린 시절을 보냈다.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자 두 여동생만 남기고 가족과 함께 피난하여 서울로 내려왔다. 전후 혼란 속에서 1955년 덕성여자대학에 입학했으나 2학년 무렵부터 가족의 생계를 위해 무대에 서면서 학업을 중단해야 했다. 1957년 당시 한국에 주둔하고 있던 미8군 공연에 무용수로 참여했다가, 공연이 취소된 가수 대신 무래에 올라 노래를 부르면서 가수의 길을 걷게 되었다.
가수 활동
현미는 탁월한 성량과 허스키한 음색으로 당시 유행하던 서구의 재즈와 팝 등 유행음악들을 개성 있게 소화하면서 곧 미8군 쇼 무대에 전속으로 오르게 되었다. 초기에는 김정애, 현주와 함께 '현시스터즈'라는 여성 그룹으로 활동했는데, 이 무렵 작곡가 이봉조가 <오 대니 보이(O Danny Boy)>의 번안곡인 <아 목동아>라는 곡을 주어 첫 데뷔곡이 되었다. 현미의 가수 생활은 이후 대부분 이봉조와 함께 이루어졌으며, 곧 사실상 부부의 관계로 발전했다.
1962년 이봉조가 미국의 탑 가수였던 냇 킹 콜(Nat King Cole)의 <외로운 옛 마을(It's Lonesome Old Town)>을 번안하여 만든 <밤안개>가 크게 유행하면서 현미는 60년대를 대표하는 여성 가수로 큰 대중적인 인기를 얻게 되었다. 당시 번안 가사는 이봉조와 현미의 공동 작업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회고되었다. 1963년 발표한 <보고 싶은 얼굴>은 연인 간의 그리움을 표현한 곡이지만, 두 동생을 북한에 남기고 온 현미의 가정사에 바탕을 두어 남북 이산가족의 애환을 담은 곡으로도 알려져 화제가 되었다.
이봉조와의 협업은 계속되었으며 1965년 발표한 <떠날 때는 말없이>도 현미의 대표작으로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이 곡은 김기덕 감독의 동명 영화 <떠날 때는 말없이>의 주제곡이었으며 영화계의 스타 신성일과 엄앵란이 주연을 맡았는데, 한국을 대표하는 배우와 가수의 조합으로도 유명세를 떨쳤고, 이후 엄앵란과 현미는 오랫동안 가장 가까운 교우 관계를 유지했다. 1971년에는 이봉조 작곡의 <별>로 1971년 제4회 그리스국제가요제에 참가, ‘송 오브 올림피아드’ 트로피를 수상했다.
후기 생애
1970년대 후반 들어 이봉조와의 관계가 소원해지면서 선곡의 경향도 종래의 재즈와 팝과 같은 서구적 경향 외에 트롯 등으로 변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가수 활동 외에도 '현미노래교실'을 운영하거나 예능 방송에 출연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벌였으며, 2001년 <아내>를 발표하는 노익장을 발휘했다. 2007년에는 데뷔 50주년 기념 앨범 발표와 함께 50주년 기념 콘서트를 열었으며, 말년에 이르기까지 여러 무대에서 젊은 시절과 다르지 않는 가창력을 보이는 등 지속적으로 활동했다. 2023년 4월 4일, 서울 용산구의 자택에서 별세했다.
현미는 이금희, 한명숙과 함께 1960년대를 대표하는 가수로 평가 받았다. 대표곡으로는 <밤안개>(1962), <내사랑아>(1962), <보고 싶은 얼굴>(1963), <떠날 때는 말없이>(1965 ), <무작정 좋았어요>(1966), <몽땅 내사랑>(1967), <바람>(1968), <별>(1971), <왜 사느냐고 묻거든>(1991) 등이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