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감마 변이

다른 표기 언어 코로나바이러스 변이형 , SARS-CoV-2 Gamma variant , ─ 變異

요약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바이러스의 변이형. 2020년 11월 브라질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베타 변이와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2021년 1월 11일 계통은 P.1으로 분류되었으며, '감마 변이'로 명명되었다. 2021년 초 영국과 일본 등 전 세계로 확산되었으며, 우려변이로 분류되었다.

정의

2019년말 발생하여 전 세계에 팬데믹 상황을 가져온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바이러스의 변이형. 2020년 11월 브라질에서 처음 보고되었고, 베타 변이와 유사한 특성을 보이면서 세계 각국으로 급격하게 확산되었다. 돌연변이가 많으며 감염력이 높고 기존 백신에 대한 저항성이 있어 세계보건기구(WHO)는 2021년 1월 11일 이 변종을 '감마 변이(Gamma variant, P.1)'로 명명했다.

특성

감마 변이는 바이러스에 17개의 변이가 발생하여 알파 변이(Alpha variant)의 감염력과 베타 변이(Beta variant)의 백신 회피성을 함께 보이는 보이는 변이형이다.

증상

감마 변이의 감염자는 후각과 미각이 둔화되는 기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일반적인 증상과 유사한 양상을 보인다.

분류

코로나바이러스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유전자 염기서열이 변경된 다양한 변이형이 나타남에 따라, WHO는 변이형을 '관심변이(VOI, Variant of Interest)' 바이러스와 '우려변이(VOC, Variants of Concern)' 바이러스로 구분했다. 관심변이 바이러스는 아직 우려할 정도는 아니지만 지속적인 출현과 확산세를 통해 세계 공중보건에 위협이 될 가능성이 있어 관심을 갖고 관찰해야 하는 바이러스이며, 우려변이 바이러스는 전파된 국가가 많거나 전파 속도가 빠르고, 감염성이 증가하거나 중증도에 변화가 있는 경우, 백신이나 치료제의 유효성이 저하되는 것이 확인된 바이러스를 의미한다. 2021년 1월 11일 WHO는 감마 변이를 우려변이로 분류했다.

현황

2020년 11월 브라질에서 처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며, 2021년 1월 일본에서 처음 보고되었다. 1월에는 미국, 유럽, 한국 등에서도 감염자가 보고되었으며, 3월에는 남아메리카 대륙의 여러 나라로 확산되었다. 5월 이후 델타 변이가 확산되면서 감마 변이의 확진자는 감소 추세를 보였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태그 더 보기


[Daum백과] 감마 변이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