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한 집을 여러 입주자에게 임대하는 거주형태. 개인 공간과 공용 공간을 구분하여 사용하며, 입주자 간 교류가 활발하기 때문에 컨셉 중심의 쉐어하우스도 등장했다. 개인이 운영하던 게스트하우스에서 유래하되, 기업형으로 운영된다는 특징이 있다. 개인 여럿이 한 집을 임대 사용하는 ‘룸 쉐어’와는 임대자와 운영자의 차이가 있다.
한 집에 여러 입주자가 거주하면서 개인 공간과 공용 공간을 구분하여 사용하는 거주의 한 형태. 단독 임대에 비해 보증금 등의 초기 비용과 월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입주자 간 공동생활이 전제되므로 폭넓은 교류가 필요한 경우에 선호되고 있다. 개인 공간 외 공용 공간에 해당하는 부분은 거실, 주방, 욕실, 화장실 등이다.
쉐어하우스의 전신은 게스트하우스라고 볼 수 있다. 일본에서 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개인 운영의 게스트하우스가 점점 발전하면서 2000년대 들어 기업형 쉐어하우스 형태가 나타났다. 한국에서 쉐어하우스 개념이 본격적으로 등장한 것은 2010년 이후이다. 높은 임대료와 생활비로 청년 주거문제가 떠오르면서 이를 해결하는 한 방법으로 등장했기 때문에, 외국인이 주로 거주했던 게스트하우스와는 달리, 한국의 쉐어하우스는 주로 청년과 대학생이 주된 입주자이다.
‘쉐어하우스’는 운영자가 직접 건물을 임대하여 입주자를 모집, 운영하는 경우를 의미하기 때문에 개인 몇 명이 모여 아파트를 같이 임대 사용하는 ‘룸 쉐어’와는 차이가 있다. 공동생활을 전제로 한다는 특징에 따라, 분야별로 특화된 컨셉 중심 쉐어하우스도 등장하고 있다. 취미 생활을 공유하는 취미 중심의 하우스, 창업이나 기술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는 비즈니스 중심의 하우스, 미혼 여성들을 위한 하우스 등이 그 사례이다.
대부분의 쉐어하우스는 기본적인 가구, 가전제품, 인터넷 등 생활에 필요한 조건들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개인용품만 갖고도 생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개인 공간의 경우에도, 개인 1실, 2인 1실, 다인 1실 등 여러 경우가 있어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