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요약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질. 뛰어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여주며 광안정성이 비교적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서 선크림 등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미국의 한 환경보고서에서 선크림에 포함된 옥시벤존이 산호의 디엔에이를 손상시켜 기형을 만들게 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자외선 차단제의 성분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질. 제라늄과 유사한 향이 나는 사방정계 결정(斜方晶系 結晶)각주1) 인 벤조페논류에 속한다. 뛰어난 자외선 차단 효과를 보여주며 광안전성(Photostability)각주2) 이 비교적 우수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서 선크림 등 자외선 차단제로 사용된다. 자외선(Ultraviolet)은 그 파장에 따라 장파장 자외선(UVA, 오존 층에 흡수되지 않음)과 중파장 자외선(UVB, 오존층에 대부분 흡수됨), 단파장 자외선((UVC 대기와 오존층에 대부분 흡수됨)으로 나뉜다. 옥시벤존은 UVB의 차단력이 우수하고, UVA의 일부를 차단한다. 또한 빛에 의해서 변화하지 않는 광안전성이 뛰어나다.
옥시벤존은 보통 자외선 차단제로 이용되기 위해 아보벤존(Avobenzone)과 같이 사용하여 사용자 활용성을 높인다. 아보벤존은 UVA의 차단력이 우수하고 UVB를 일부 차단하는 효과가 있어 옥시벤존과 같이 사용할 경우 상보적인 효과를 주기 때문이다. 또한 아보벤존은 피부에 투명하게 보이기 때문에 메이크업의 효과를 잘 유지해 주기도 한다. 다만 자외선에 의해서 변화가 심하기 때문에, 광안전성이 떨어지고 화학적으로도 피부에 안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학적인 차단제로 인한 피부 자극을 없애기 위해 개발된 것이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이다. 보통 미네랄 차단제로 불리는데 이는 타이타늄이나 아연과 같은 천연 무기물로 만들어진다. 타이타늄은 타이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로 분말화된 원료를 사용하는데, UVB의 차단력이 우수하고, UVA의 일부를 차단하지만 피부에서 하얗게 뜨는 현상이 발생하여 미용상 부담이 있다. 징크옥사이드(Zinc Oxide)는 아연을 원료로 만들며 UVB와 UVA에 걸쳐 충분한 차단효과가 있다고 평가받고 있다.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 독성정보에 의하면, 벤조페논류는 합성착향료로 허가받은 식품첨가제이며, 내분비계를 교란하는 환경 호르몬이다. 향수의 고정제로, 항히스타민제, 수면제, 살충제의 제조, 자외선 흡수제로 사용된다. 인체 발암성 추정 물질이다. 위험물 분류에서는 비위험물로 분류된다. 국립환경과학원 물질상세정보 자료에는 옥시벤존에 대해서 특별한 독성 관련 자료가 없다. 2015년 10월, 환경오염과 독성 물질을 연구하는 미국의 국제학술지에서 옥시벤존이 산호의 디엔에이를 손상시켜 기형을 만들게 하는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작용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 보고서는 선크림에 포함된 옥시벤존이 바닷물에 섞여 들어갈 경우 산호초 생태계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