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출처 다음백과

텔레매틱스

다른 표기 언어 Telematics

요약 자동차와 정보통신 기술의 결합을 뜻하는 말. 긴급 구난 서비스 등에 이용되는 단순한 기능에서 출발하여, 위치측정기술, 첨단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위치기반서비스, 지능형교통체계 등이 통합되면서 전방위적인 서비스로 발전하고 있다. 향후 무인주행 기능으로까지 발전될 예정이다.

통신(telecommunication)과 정보과학(informatics)의 합성어로 자동차와 컴퓨터·이동통신 기술의 결합을 의미하는 개념. 텔레매틱스의 발전은 크게 1세대, 2세대, 3세대로 구분된다. 1세대는 차량 혹은 무선단말기에서 긴급 버튼을 토해 경찰이나 응급구조대를 호출하는 긴급구호서비스와 같은 모델이었다. 2세대는 통상 사용하는 차량항법서비스를 들 수 있다. 차량 내 모니터에서 보여지는 지도를 통해 GPS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바탕으로 경로를 설정한다. 3세대는 생활의 모든 편의를 차량 또는 운송수단과 결합한 인공지능형 서비스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텔레매틱스

텔레매틱스 서비스를 갖춘 차량용 내비게이션(UVO)

ⓒ UVOwiki | CC BY-SA

자동차와 관련된 텔레매틱스의 본격적인 상용화는 1996년 GM에서 시작했다. GM은 자체 개발한 ‘온스타’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차량 사고 자동 보고, 도난차량 시동 차단, 자동차 상태 확인 등의 서비스를 제공했다. 2011년에는 포드, 토요타, 크라이슬러 등에도 적용되었다. 포드는 음성인식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인 ‘싱크’와 후속 프로그램인 ‘마이포드터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동통신망, 위치측정기술, 첨단지리정보시스템 기반의 위치기반서비스, 지능형교통체계 등의 통합이 가속화되면서, 전통적인 자동차업계 뿐 아니라 구글, 애플, 삼성 같은 인접분야 업체에서도 3세대 텔레매틱스 모델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텔레매틱스는 실시간 도로상황과 주행 관련 정보를 운전자에게 제공하고, 가까운 주유소와 현재 가격을 안내하는 것과 같은 지리 교통정보 안내에서부터, 동영상이나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를 이동수단에 도입하는 데에도 활용된다. 운전자 개인의 취향에 따라 차량 내 좌석 등 편의장치를 최적화하며, 도난 경보 및 추적 시스템을 자동화하는 등의 보안 분야에도 적극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인공지능 기반 주행경로 설정, 차량 거리 유지, 속도 자동 조정, 차선 자동 인식 등의 기능이 2015년부터 상용화되기 시작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한 무인주행 시스템도 상용화단계를 앞두고 있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출처

다음백과
다음백과 | cp명Daum 전체항목 도서 소개

다양한 분야의 전문 필진으로 구성. 시의성 이슈에 대한 쉽고 정확한 지식정보를 전달합니다.

TOP으로 이동


[Daum백과] 텔레매틱스다음백과, Daum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