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과사전 상세 본문
설립 | 1982-04-07 |
---|---|
국가 | 대한민국 |
기업형태 | 주식회사 |
업종 | 금융업 |
취급품목 | 신용카드, 체크카드, 선불카드 |
사이트 | http://www.bccard.com/ |
본사 주소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70 |
요약 KT그룹 계열의 신용카드 회사. 1982년 조흥은행·한국상업은행·제일은행·한일은행·서울신탁은행이 공동 출자해 설립한 은행카드협회로 시작해, 이듬해 1983년 (주)비씨카드로 출범했다. 2011년 11월 KT 계열사로 편입했다. 신용카드·체크카드·선불카드 등을 취급한다. 국내 카드시장의 포화상태가 오랫동안 지속되면서, 2000년대부터 현금을 선호하는 해외 국가로 진출을 시도했다.
기업스토리
역사
비씨카드(주)는 1982년 4월 조상제한서(당시 5대 시중은행을 창립 순으로 줄여 일컫던 말)로 불리던 조흥은행, 한국상업은행, 제일은행, 한일은행, 서울신탁은행이 공동 출자하여 설립한 은행신용카드협회를 모체로 한다. 1983년 6월 은행신용카드 업무를 시작으로, 비씨마스타카드를 발행하면서 자본금 15억원 규모의 (주)비씨카드가 설립되었다. 이듬해에 국내 3개 특수은행인 농협중앙회, 기업은행, 주택은행이 비씨카드 업무를 개시했고, 1985년에는 4개 지방은행인 대구·부산·경기·경남은행이 비씨카드 업무를 개시했다. 1987년 10월, 회원 100만을 돌파했다.
이후 1994년에 12월에는 전국 가맹점 40만 업소를 돌파했고, 회원수 1,000만을 기록했다. 1997년에는 한국통신, 마스터카드코리아 등 10여 업체와 전자상거래 협력사업 협정을 체결했고, 이어 1999년에는 중소기업협동조합중앙회와 (주)두루넷, (주)메타랜드와 4자간 중소기업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정에 체결하는 등 1990년대 후반, 2000년대부터 활성화 되기 시작한 전자상거래 업무체계의 기반을 마련했다. 2001년에는 가맹점 150만 업소, 회원 2,000만명을 돌파했다. 2004년 중국 인롄과 신용카드 업무 제휴 조인식을 체결했으며, 2008년 2월 중국 인롄카드사와 제휴하여 제휴카드인 중국통카드를 발급했다.
2009년에는 카드업계 최초로 지불결제연구소 신기술자문단을 발족하고, 금융권 최초로 국제 및 국내 정보보호 표준 수준 인증을 동시에 획득했다. 이 시기 2009년 2010년에 IT서비스 관리 ISO200000인증과 전사부문 정보보안 ISO27001인증을 획득했다. 한편, 2011년 3월에는 국내 최초로 해외 카드 프로세싱 시장 진출에 나서 인도네시아로 사업 영역을 확장했고, 2014년에는 인도네시아 Mandiri은행과 신용카드 프로세싱 합작사 설립 MOU를 체결했다. 한편, 2011년 10월 최대주주가 (주)케이티캐피탈로 변경되면서, 11월 1일 KT 계열사로 편입되었다.
2015년 6월 대한민국 핀테크 산업의 발전을 위해 한국 표준 모바일카드 원천기술을 무상으로 공유하기로 했다. 국내 금융사 중 유일하게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진행하는 '국가 빅데이터 과제'를 수주하기도 했으며, 서울대 빅데이터연구원과 연구 협약을 체결하는 등 사업뿐만 아니라 제반 기술을 위한 연구에도 공헌해왔다. 2016년에는 인도네시아 법무부로부터 신용카드 합작법인을 승인 인가 받아, '미뜨라 뜨란작시 인도네시아(MTI, Mitra Transaksi Indonesia)'를 개소했다. 2017년 8월에 베트남 ‘NAPAS’ 결제사업 네트워크를 제휴함으로써 베트남 ‘현금 없는 사회 만들기’에 일조했다. 2018년 4월에는 국내 최초로 파이도(FIDO)를 기반으로 한 자체 범용 안면인증 서비스를 도입했고, 10월에는 국내 카드사 최초로 'QR' 코드 결제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9년 9월 본사 사옥을 중구 을지로로 이전했다. 2020년 차세대시스템을 오픈했다. 2021년 기업내 최초로 PLCC(Private Label Credit Card, 상업자 표시 신용 카드)인 '케이뱅크심플카드'를 출시했다. 2022년 두나무와 메타버스 기반 PLCC 출시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2023년 2월 대한항공과 협업하여 스카이패스 마일리지를 적립할 수 있는 'BC 바로 에어 플러스'를 출시했다.
연혁
• 1982년 4월 : 조흥·상업·제일·한일·서울신탁은행, 은행신용카드협회 설립
• 1982년 6월 : 은행신용카드 업무 개시
• 1982년 9월 : 마스타카드 인터내셔널 회원사 가입
• 1983년 9월 : (주)비씨카드 설립
• 1984년 8월 : 3개 특수은행(농협중앙회, 기업, 주택은행) 비씨카드 업무 개시
• 1985년 8월 : 4개 지방은행(대구, 부산, 경기, 경남은행) 비씨카드 업무 개시
• 1987년 9월 : 비씨카드(주)로 상호 변경
• 1989년 10월 : 비자인터내셔널 회원사 가입
• 1991년 8월 : 비씨 비자카드 발행
• 1994년 12월 : 회원 1,000만 돌파
• 1995년 8월 : 스카이패스 비씨카드 발행
• 1996년 4월 : 거래승인 자동화시스템 가동
• 1997년 11월 : IMF로 일부 시중은행이 합병에 따라 비씨카드(주) 회원사 자격을 승계
• 1999년 7월 : 가맹점 100만 업소 돌파
• 2001년 11월 : 연간 이용액 100조원 돌파
• 2003년 10월 : 전자사거래 인터넷 안전결제(ISP) 전면 시행
• 2004년 9월 : 중국 인롄(유니온페이)과 신용카드 업무 제휴 체결
• 2006년 5월 : 비씨카드 3,000만번 째 카드회원 탄생
• 2008년 2월 : 중국 인롄과 제휴카드인 중국통카드 발급
• 2009년 3월 : 카드업계 최초 지불결제연구소 신기술자문단 발족
• 2010년 1월 : 미국 DFS사와 상호 네트워크 공유에 대한 제휴 체결
• 2011년 3월 : 해외(인도네시아) 카드 프로세싱 시장 진출
• 2011년 11월 : KT 계열사로 편입
• 2012년 5월 : 국내 최초 영수증 미출력 제도 시행
• 2013년 12월: BC 은련카드 600만 발급 달성
• 2014년 8월 : 업계 최초 월 매입액 13조원 달성
• 2015년 6월 : 국내 금융사중 유일하게 '국가 빅데이터 과재' 수주
• 2016년 11월 : BC카드-인도네시아 신용카드 합작법인 'MTI' 오픈
• 2017년 8월 : 베트남 ‘NAPAS’, 인도 'NPCI'와 결제사업 네트워크 제휴 MOU 체결
• 2018년 4월 : 국내 최초 범용 안면인증 서비스 도입
• 2019년 9월 : 본사 사옥 이전 (중구 을지로 170)
• 2020년 1월 : 차세대시스템(DIPS) 오픈
• 2021년 6월 : 업계 최초 러시아 결제 브랜드 'Mir' 국내 매입
• 2022년 5월 : 휴대폰 번호만으로 결제할 수 있는 '폰페이 출시'
• 2023년 3월 : 인도네시아 정부구매카드 발급 본 계약 체결
주요 사업
(주)비씨카드는 KT 그룹에 속해있다. KT 그룹에는 (주)비씨카드를 포함하여 국내 40개, 국외 19개의 계열회사가 있다. 비씨카드(주)의 주요 사업은 카드 발행서비스, 매입서비스, 마케팅서비스, 멤버쉽서비스, R&D서비스, 커머스플랫폼서비스 등 6개 분야로 나뉜다. 발행서비스 부문은 고객모집과 카드발급에서 승인, 대금청구까지의 지불결제 프로세스를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매입서비스 부문은 국내 최대 규모의 가맹점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국내뿐 아니라 해외 주요 국가에서 카드 거래 승인부터 매입 정산까지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마케팅서비스 부문은 회원사를 위해 상품개발, 리워드 프로그램, 연계서비스를 제공한다.
멤버십서비스 부문은 회원사와 고객사에 대한 대외 커뮤니케이션 지원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적으로는 브랜드 서비스, 공동 프로모션 서비스, 협의체 지원 서비스가 있다. R&D서비스 부문은 결제사업의 전문성 강화와 운영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 국내 최대 규모의 데이터 베이스를 바탕으로 인사이트 및 혁신 기술, 새로운 사업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커머스플랫폼서비스 부문은 온라인 쇼핑몰과 레저상품, 금융상품 및 고객 신용도 관리 서비스를 제공한다.
현황
본사는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 170에 소재한다. 2023년 9월 기준 895명의 임직원이 근무하고 있다. 2023년 9월 기준 매출액은 2조 9,981억 원, 영업이익은 746억 원, 당기순이익은 696억 원, 자산총액은 7조 2,108억 원, 자본금은 440억 원이다.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으로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에 따라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참고
・ 최종 업데이트 2024.03.11